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8권, 五禮 吉禮序例 祝版

五禮 / 吉禮序例 / 祝版

◎ 축판(祝版)

축판(祝版)은 소나무로 만드는데, 길이는 1척(尺) 2촌(寸)이요, 너비는 8촌, 두께는 6푼(分)이다. 【자[尺]는 조례기척(造禮器尺)을 사용한다. 】

사직(社稷)에는,

"조선 국왕(朝鮮國王) 성(姓) 서명(署名) 감소고(敢昭告)"

라 일컫고, 섭사(攝事)031) 에는

"근견 신 모관 성명(謹遣臣某官姓名) 감소고(敢昭告)"

라 일컫는다. 종묘(宗廟)는, 목조실(穆祖室)·익조실(翼祖室)·도조실(度祖室)에는 모두

"효증손(孝曾孫) 사왕 신(嗣王臣)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환조실(桓祖室)에는

"효손(孝孫) 사왕 신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태조실(太祖室)에는

"효자(孝子) 사왕신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섭사(攝事)에는

"근견 신 모관 성명 감소고"

라 일컫고, 정안 왕후(定安王后)에게는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여러 능(陵)은, 덕릉(德陵)032) ·지릉(智陵)033) ·의릉(義陵)034) 에는

"효증손(孝曾孫) 사왕 신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안릉(安陵)035) ·숙릉(淑陵)036) ·순릉(純陵)037) 에는

"효증손 국왕 신(國王臣)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정릉(定陵)038) 에는

"효증손 사왕 신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화릉(和陵)039) 에는

"효증손 국왕 신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건원릉(健元陵)040) 에는

"효자 사왕 신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제릉(齊陵)041) 에는

"효자 국왕 신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정릉(貞陵)042) 에는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후릉(厚陵)043) 에는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는다.

풍운뢰우(風雲雷雨)에는

"조선 국왕 신(朝鮮國王臣)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산천(山川)에는 "국왕(國王) 성(姓) 서명(署名) 감소고(敢昭告)"라 일컫고, 성황(城隍)에는 "국왕(國王) 감소고(敢昭告)"라 일컫는다. 】 영성(靈星)에는

"조선 국왕 신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악·해·독(嶽海瀆)에는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명산 대천(名山大川)에는

"국왕 감소고"

라 일컫고, 영제(禜祭)에는

"국왕 감소고"

라 일컫고, 선농(先農)에는

"조선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배위(配位)도 이와 같이 한다. 】 선잠(先蠶)에는

"조선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우사(雩祀)에는

"조선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문선왕(文宣王)에게는

"조선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고, 【배위도 이와 같이 한다. 】

단군(檀君)·기자(箕子)·고려 시조(高麗始祖)에게는 모두

"조선 국왕 성 서명 감소고"

라 일컫는다. 사한(司寒)·마조(馬祖)·선목(先牧)에게는

"조선 국왕 감소고"

라 일컫고, 마사(馬社)·마보(馬步)·칠사(七祀)에게는

"국왕(國王) 감소고(敢昭告)"

라 일컫는다.

무릇 축판(祝版)은 교서관(校書館)에서 미리 준비한다. 사직종묘는 행사(行事) 전 1일에 전하(殿下)께서 재궁(齋宮)에 머무시는데, 관원(館員)이 받들어 바친다. 근시(近侍)가 전해 받들어 이를 바치면, 전하가 서명(署名)한다. 이를 마치면, 근신(近臣)이 받들고 나가서 유사(有司)에게 맡긴다. 【사직(社稷)은 단사(壇司)에게 맡기고, 종묘(宗廟)는 종묘서(宗廟署)에 맡긴다. 】 섭사(攝事)할 때는, 행사(行事) 전 1일에 관원이 받들어 바치는데, 근신이 전해 받들어 이를 바치면, 전하가 서명한다. 이를 마치면, 북쪽을 향하여 두 번 절하고 친히 헌관(獻官)에게 주기를 의식과 같이 한다. 혹 일로 인하여 기고(祈告)할 때에는 【만약 수재(水災)·한재(旱災)나, 오랫동안 비가 오고, 전쟁이나 재이(災異)가 있으면 기도(祈禱)하고, 만약 어가(御駕)가 거둥하고 정지하거나, 봉립(封立)에 책명(策命)하는 모든 나라의 일은 이를 고(告)한다. 】 행사(行事) 전 1일에 관원(館員)이 받들어 바치는데, 근신(近臣)이 전해 받들어 이를 바치면, 전하가 서명한다. 이를 마치면, 친히 헌관에게 준다. 그 보사(報祀)에도 또한 이와 같이 한다. 종묘(宗廟)·계성전(啓聖殿)·문소전(文昭殿)·준원전(濬源殿)과 여러 산릉(山陵)의 세시(歲時)·삭망(朔望)의 전례(奠禮)도 이와 같이 하며, 선농(先農)에 친향(親享)할 때는 사직(社稷)과 같이 하며, 선농에 섭사(攝事)할 때 및 풍운뢰우(風雲雷雨)와 선잠(先蠶)·우사(雩祀)와 문선왕에게 섭사할 때에는 행사 전 1일에 관원이 받들어 바치는데, 근신이 전해 받들어 이를 바치면, 전하가 서명한다. 이를 마치면, 친히 헌관에게 준다. 풍운뢰우 악·해·독과 【망기(望祈). 】 우사에 기고하고 보사(報祀)하는 것도 이와 같이 한다. 악·해·독과 단군·기자·고려 시조에게는 기일 전에 관원이 받들어 바치는데, 근신이 전해 받들어 이를 바치면, 전하가 서명하고, 이를 마치면 친히 사신(使臣)에게 준다. 악·해·독에 기고(祈告)하고, 보사(報祀)하는 것도 이와 같이 한다. 그밖의 소사(小祀)는 교서관(校書館)에서 축판(祝版)을 갖추고, 유사(有司)가 위에 계문(啓聞)하고 이를 헌관에게 준다. 주현(州縣)의 석전(釋奠)과 여러 제사에는 모두

"구관(具官)044) 성명(姓名) 감소고(敢昭告)"

라 일컫는다.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177면

  • [註 031]
    섭사(攝事) : 대리 행사(代理行事).
  • [註 032]
    덕릉(德陵) : 목조(穆祖)의 능.
  • [註 033]
    지릉(智陵) : 익조(翼祖)의 능.
  • [註 034]
    의릉(義陵) : 도조(度祖)의 능.
  • [註 035]
    안릉(安陵) : 목조의 비 효공 왕후의 능.
  • [註 036]
    숙릉(淑陵) : 익조의 비 정숙 왕후의 능.
  • [註 037]
    순릉(純陵) : 도조의 비 경순 왕후의 능.
  • [註 038]
    정릉(定陵) : 환조(桓祖)의 능.
  • [註 039]
    화릉(和陵) : 환조의 비 의혜 왕후의 능.
  • [註 040]
    건원릉(健元陵) : 태조능.
  • [註 041]
    제릉(齊陵) : 태조의 비 신의 왕후의 능.
  • [註 042]
    정릉(貞陵) : 태조의 비 신덕 왕후의 능.
  • [註 043]
    후릉(厚陵) : 정종(定宗)의 능.
  • [註 044]
    구관(具官) : 관직(官職)을 갖추어 씀.

◎ 祝版

祝版以松木爲之, 長一尺二寸, 廣八寸, 厚六分。 【尺用造禮器尺。】 社稷, 稱朝鮮國王姓署, 敢昭告。 攝事稱謹遣臣某官姓名, 敢昭告。 宗廟, 穆祖翼祖度祖室, 竝稱孝曾孫嗣王臣署, 敢昭告。 桓祖室稱孝孫嗣王臣署, 太祖室稱孝子嗣王臣署。 攝事, 稱謹遣臣某官姓名, 敢昭告。 定安王后, 稱國王姓署。 諸陵, 稱孝曾孫嗣王臣署。 , 稱孝曾孫國王臣署。 , 稱孝曾孫嗣王臣署。 , 稱孝曾孫國王臣署。 , 稱孝子嗣王臣署。 , 稱孝子國王臣署。 , 稱國王姓署。 , 稱國王姓署。 風雲雷雨, 稱朝鮮國王臣姓署。 【山川, 稱國王姓署; 城隍, 稱國王。】 靈星, 稱朝鮮國王臣姓署。 嶽海瀆, 稱國王姓署。 名山大川, 稱國王。 禜祭, 稱國王。 先農, 稱朝鮮國王姓署。 【配位同。】 先蠶, 稱朝鮮國王姓署。 雩祀, 稱朝鮮國王姓署。 文宣王, 稱朝鮮國王姓署。 【配位同。】 檀君箕子高麗始祖, 竝稱朝鮮國王姓署。 司寒、馬祖、先牧, 稱朝鮮國王。 馬社、馬步、七祀, 稱國王。 凡祝版, 校書館預備。 社稷宗廟, 前一日, 殿下停齊宮, 館員捧進, 近侍傳捧以進, 殿下署訖, 近臣捧出, 附有司。 【社稷附壇司, 宗廟附宗廟署。】 攝事則前一日, 館員捧進, 近臣傳捧以進, 殿下署訖, 北向再拜, 親授獻官如儀。 或因事祈告, 【若水旱久雨、軍旅災異祈之, 若大駕動止、封立策命凡國之事告之。】 則前一日, 館員捧進, 近臣傳捧以進, 殿下署訖, 親授獻官。 其報祀, 亦如之。 宗廟啓聖殿文昭殿濬源殿、諸山陵歲時朔望奠同。 先農親享與社稷同。 先農攝事及風雲雷雨、先蠶、雩祀、文宣王, 前一日, 館員捧進, 近臣傳捧以進, 殿下署訖, 親授獻官。 風雲雷雨嶽海瀆 【望祈。】 雩祀祈報同。 嶽海瀆、檀君箕子高麗始祖, 前期, 館員捧進, 近臣傳捧以進, 殿下署訖, 親授使臣。 嶽海瀆祈報同。 自餘小祀, 校書館具祝版, 有司啓聞, 以授獻官。 州縣釋奠及群祀, 竝稱具官姓名敢昭告。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17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