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전에 나가 친경하는 의식을 진행하다
동적전(東耤田)에 나아가 친경(親耕)하였다. 【 돈화문(敦化門)으로 나가서 동적전에 이르렀다. 친행할 때가 되자 헌가(軒架)가 음악을 연주하였으며 장전관(掌典官)이 앞에서 인도하여 친경대(親耕臺)에 이르러 남쪽을 향하여 서자 음악이 멎었다. 예의사(禮儀使)가 ‘보습을 받아야 합니다.’라고 주청하자 임금이 보습을 받았으며 음악이 연주되었다. 시종(侍從)이 보습을 함께 잡고 주마 과장(主馬課長)이 고삐를 잡은 가운데 친히 쟁기를 미는 의식을 진행하자 음악이 멎었다. 예의사가 앞에서 인도하여 관경대(觀耕臺)에 가서 자리에 올랐다. 음악이 연주되자 의왕(義王) 이강(李堈), 완흥군(完興君) 이재면(李載冕), 완순군(完順君) 이재완(李載完), 의양군(義陽君) 이재각(李載覺), 영선군(永宣君) 이준용(李埈鎔), 창산군(昌山君) 이해창(李海昌), 내부 대신(內部大臣) 박제순(朴齊純), 탁지부 대신(度支部大臣) 고영희(高永喜), 경적사(耕籍使) 농상공부 대신(農商工部大臣) 조중응(趙重應), 학부 대신(學部大臣) 이용직(李容稙), 궁내부 대신(宮內府大臣) 민병석(閔丙奭), 중추원 의장(中樞院議長) 김윤식(金允植), 궁중 고문관(宮中顧問官) 이윤용(李允用), 중추원 고문(中樞院顧問) 이지용(李址鎔)·이근택(李根澤)·이하영(李夏榮), 친위부 장관(親衛府長官) 이병무(李秉武), 승녕부 총관(承寧府總管) 조민희(趙民熙), 시종원 경(侍從院卿) 윤덕영(尹德榮), 장례원 경(掌禮院卿) 성기운(成岐運), 표훈원 총재(表勳院總裁) 조희연(趙羲淵), 감사원 경(監査院卿) 장석주(張錫周), 규장각 경(奎章閣卿) 조동희(趙同熙), 수학원장(修學院長) 민상호(閔商鎬), 궁내부 차관(宮內府次官) 고미야 미호마쓰〔小宮三保松〕,내장원 경(內藏院卿) 최석민(崔錫敏), 한성 부윤(漢城府尹) 장헌식(張憲植), 주전원 경(主殿院卿) 이겸제(李謙濟), 적전 영(耤田令) 농무 국장(農務局長) 나카무라 히코〔中村彦〕, 봉책관(奉策官) 전사(典祀) 이원승(李源昇), 집비관(執轡官) 주마 과장(主馬課長) 이기홍(李起泓), 봉청상관(奉靑箱官) 장전관(掌典官) 이강주(李康周), 봉춘관(奉春官) 궁내부 주사(宮內府主事) 유시찬(劉時燦), 봉호관(奉鎬官) 장례원 주사(掌禮院主事) 윤재병(尹載炳)이 뒤따라 밭갈이하는 예식을 행하였다. 음악이 멎자 노인들과 백성들이 차례로 밭이랑을 갈았다. 밭갈이가 끝나자 관경대 밑에 가서 네 번 절을 하였다. 장전관이 조령(詔令)을 선포하기를 ‘기민(耆民)의 노고를 치하한다.’ 하였다. 적전 영이 올벼와 늦벼 종자를 심고 관경대 밑에 이르러 ‘행사가 끝났습니다.’라고 아뢰었다. 친왕(親王) 이하 모든 관리들과 백성들이 모두 네 번 절을 하였다. 전선사장(典膳司長)이 술을 부어 첫 잔을 올리니 가창대가 노래를 불렀으며 임금이 술을 들었다. 친왕 이하 모든 관리들과 백성들 모두가 잔을 받았다. 뒤이어 두 번째 잔과 셋째 잔도 위의 의식과 같이 하였다. 친왕 이하가 모두 네 번 절을 하자 음악이 멎었다. 장전관이 ‘의식이 끝났습니다.’라고 아뢰었다.】 농상공부 대신(農商工部大臣) 조중응(趙重應)을 인견(引見)하고 칙유(勅諭)하기를,
"짐이 지난해에 친경식(親耕式)을 거행하고 올해에 다시 행하는 지극한 뜻은 나라의 근본이 되는 농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이다. 경은 이 뜻을 본받아 온 나라의 신민들에게 농업에 더 부지런히 힘쓰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하였다. 또 배관(陪觀)한 농림 학교 직원(農林學校職員) 및 생도(生徒)에게 칙유하기를,
"그대들은 친경하는 뜻을 본받아 더욱더 농업과 임업에 대한 학업을 부지런히 성취하여 앞으로 농업과 임업을 발전시키는 일에 이바지하도록 힘써라."
하였다.
- 【원본】 5책 4권 5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49면
- 【분류】왕실-국왕(國王) / 왕실-종친(宗親) / 왕실-의식(儀式) / 농업-권농(勸農) / 교육-특수교육(特殊敎育)
五日。 詣東耤田親耕。 【出敦化門至東耤田。 親耕時, 至軒架作。 掌典官前導至親耕臺, 南向立, 樂止。 禮儀使奏, "請受耒耟。" 上受乘耟, 樂作。 侍從共執耟主馬課長執轡, 行親推之禮, 樂止。 禮儀使前導至觀耕臺, 陞座。 樂作, 義親王 堈、完興君 李載冕、完順君 李載完、義陽君 李載覺、永宣君 李埈鎔、昌山君 李海昌、內部大臣朴齊純、度支部大臣高永喜、耕耤使農商工部大臣趙重應、學部大臣李容稙、宮內府大臣閔丙奭、中樞院議長金允植、宮中顧問官李允用、中樞院顧問李址鎔·李根澤·李夏榮、親衛府長官李秉武、承寧府總管趙民熙、侍從院卿尹德榮、掌禮院卿成岐運、表勳院總裁趙羲淵、監査院卿張錫周、奎章閣卿趙同熙、修學院長閔商鎬、宮內府次官小宮三保松、內藏院卿崔錫敏、漢城府尹張憲植、主殿院卿李謙濟、耤田令農務局長中村彦、奉策官典祀李源昇、執轡官主馬課長李起泓、奉靑箱官掌典官李康周、奉春官宮內府主事劉時燦、奉鎬官掌禮院主事尹載炳, 行從耕之禮。 樂止, 耆老庶民以次耕于干畝。 耕畢, 進臺下四拜。 掌典官宣詔曰: "敬勞耆民。" 耤田令播種稑之種, 至臺下奏, "功畢。" 親王以下百官庶民皆四拜。 典膳司長酌酒, 第一爵登, 歌作, 上擧酒。 親王以下百官庶民皆受爵。 仍行第二爵、第三爵如上儀。 親王以下皆四拜, 樂止。 掌典官奏, "禮畢。" 】 引見農商工部大臣趙重應勅諭曰: "朕이 昨年에 親耕式을 擧야 今年에 復行 至意 益히 國本이되 農業發達을 期기 爲이니, 卿은 此意를 體야 全國臣民으로야금 農業에 勤勉을 加力케이 可니라。" 又勅諭于陪觀農林學校職員及生徒曰: "爾等은 親耕 意를 體야 益히 農林學業을 勤勵成就야 他日農林業에 達 事에 資케을 勉라。"
- 【원본】 5책 4권 5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49면
- 【분류】왕실-국왕(國王) / 왕실-종친(宗親) / 왕실-의식(儀式) / 농업-권농(勸農) / 교육-특수교육(特殊敎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