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집청에서 열조의 《보감》을 당상과 낭청이 나누어 찬집·교정하게 할 것을 청하다
찬집청(纂輯廳)에서 아뢰기를,
"당상과 낭청에게 열조(列朝)의 《보감(寶鑑)》을 나누어 주어 찬집하고 교정하게 하소서."
하였다. 【정종(定宗)·단종(端宗)·예종(睿宗)·인종(仁宗)·경종(景宗) 오조(五朝)의 《보감》을 찬집한 당상(堂上)은 조준(趙㻐), 낭청(郞廳)은 어석광(魚錫光)이다. 세조조(世祖朝)의 《보감》을 찬집한 당상은 정창성(鄭昌聖), 낭청은 이엽(李燁)이다. 성종조(成宗朝)의 《보감》을 찬집한 당상은 김노진(金魯鎭), 낭청은 허전(許晪)이다. 중종조(中宗朝)의 《보감》을찬집한 당상은 홍양호(洪良浩), 낭청은 이현도(李顯道)이다. 명종조(明宗朝)의 《보감》을 찬집한 당상은 서유린(徐有隣), 낭청은 서배수(徐配修)이다. 인조조(仁祖朝)의 《보감》을 찬집한 당상은 민종현(閔鍾顯), 낭청은 송전(宋銓)이다. 효종조(孝宗朝)의 《보감》을 찬집한 당상은 김익(金熤), 낭청은 박장설(朴長卨)이다. 현종조(顯宗朝)의 《보감》을 찬집한 당상은 이명식(李命植), 낭청은 오익환(吳翼煥)이다. 정종·단종·예종·인종·경종 오조(五朝)의 《보감》을 교정한 당상은 이복원(李福源), 도청 낭청(都廳郞廳)은 조성진(趙城鎭)이다. 세조·성종·중종·명종·인조·효종·현종 칠조(七朝)의 《보감》을 교정한 당상은 서명응(徐命膺), 낭청은 윤행원(尹行元)·윤이상(尹履相)이다.】
- 【태백산사고본】 12책 12권 29장 A면【국편영인본】 45책 264면
- 【분류】역사-편사(編史) / 출판-서책(書冊)
○乙巳/纂輯廳啓: "堂上、郞廳, 分授《列朝寶鑑》纂輯校正。 【定宗、端宗、睿宗、仁宗、景宗 《五朝寶鑑》纂輯堂上趙㻐, 郞廳魚錫光。 世祖朝《寶鑑》纂輯堂上鄭昌聖, 郞廳李爗。 成宗朝《寶鑑》纂輯堂上金魯鎭, 郞廳許晪。 中宗朝《寶鑑》纂輯堂上洪良浩, 郞廳李顯道。 明宗朝《寶鑑》纂輯堂上徐有隣, 郞廳徐配修。 仁祖朝《寶鑑》纂輯堂上閔鍾顯, 郞廳宋銓。 孝宗朝《寶鑑》纂輯堂上金熤, 郞廳朴長卨。 顯宗朝《寶鑑》纂輯堂上李命植, 郞廳具翼煥。 定宗、端宗、睿宗、仁宗、景宗 《五朝寶鑑》校正堂上李福源, 都廳郞廳趙城鎭。 世祖、成宗、中宗、明宗、仁祖、孝宗、顯宗 《七朝寶鑑》校正堂上徐命膺, 郞廳尹行元、尹履相。】
- 【태백산사고본】 12책 12권 29장 A면【국편영인본】 45책 264면
- 【분류】역사-편사(編史) / 출판-서책(書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