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외의 대소신료 기로 군민에게 내리는 교서
임금이 인정전(仁政殿)에 나가서 백관(百官)들이 하례(賀禮)를 받았다. 중외(中外)의 대소 신료(大小臣僚)와 기로(耆老)·군민(軍民)에게 교서(敎書)를 내리기를,
"난적(亂賊)이 어느 시대인들 없었겠는가? 그러나 지금의 흉변(凶變) 같은 경우는 있지 않았다. 음산한 여기(沴氣)346) 를 금방 쓸어내고 나니 곧 구우(區宇)347) 가 맑아짐을 보게 되었다. 이에 진실한 환음(渙音)을 널리 반포하여 더없이 큰 새로운 경사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바이다. 과거에 과덕(寡德)한 내가 외람되이 큰 기업(基業)을 이어받았으나 상성(常性)으로 사람을 꾸짖어도 일찍이 반역(反逆)을 모의하리라고는 의심하지 않는 법인데, 사악(邪惡)한 붕당(朋黨)들이 나라에 화(禍)를 끼치는 것이 반드시 같은 반열의 신하에게서 나올 줄이야 생각이나 했겠는가? 그런데 악종(惡種)들을 폐고(廢錮)시키던 처음에 추류(醜類)들의 감별(鑑別)을 철저히 하기가 어려웠다. 명의(名義)의 대안(代案) 때문에 여러 족속(族屬)들의 원망과 저주가 더욱 깊어졌고, 교문(敎文)에 흉언(凶言)이 있었는데도 한 명의 역적에 대한 주토(誅討)를 이미 늦추게 되었으므로 결국 불령(不逞)한 무리들이 교결 합심하여 감히 오랫동안 병란(兵亂)이 없었던 시기를 이용하여 일어났다. 한번 자칫 차질(差跌)이 있게 되면 나라가 전복될 뻔했으니, 말이 여기에 이르자 통분스런 마음을 감당할 수 없다.
역적 이인좌(李麟佐)·이웅보(李熊輔)와 민관효(閔觀孝)·이의징(李義徵)·이홍발(李弘渤)의 지친(至親)과 민종도(閔宗道)·민언량(閔彦良)의 유얼(遺孽)들이 사나운 기운을 뭉쳐 과연 그 효음(梟音)을 고치지 않고 오래도록 은밀한 계획을 품고 있었던 것이 마치 궁지에 몰린 짐승이 돌아서서 사람을 무는 것과 같았다. 박필현(朴弼顯)·이유익(李有翼)은 귀역(鬼蜮)348) 의 모습에 시랑 같은 심장(心臟)을 지니고 있었다. 치초(郗超)349) 가 역적 환온(桓溫)의 막빈(幕賓)이 된 것을 당시에 자취가 은밀하게 살필 수 없었고, 월초(越椒)350) 가 약오(若敖)의 귀신을 굶주리게 한 것을 지금 사람은 분명히 아는 이가 없었다. 그리하여 중외(中外)의 무뢰배들과 교결하여 시종 불궤(不軌)한 짓을 주장했던 것이다. 남태징(南泰徵)·이사성(李思晟)은 혹은 훈구(勳舊)를 빙자하여 작위(爵位)를 승습(承襲)하기도 하였고 혹은 보잘것 없는 처지에서 발신(發身)하기도 하여 주려(周廬)351) 의 숙위군(宿衛軍)을 총괄하게 되었으니, 어찌 안녹산(安祿山)의 반상(反相)352) 을 알 수가 있었겠는가? 정병이 집결되어 있는 대곡(代谷)에 있었으므로, 도리어 진희(陳豨)353) 의 흉악한 마음을 계발(啓發)하게 되었다. 심유현(沈維賢)·정희량(鄭希亮)의 처지는 어떠했는가? 선조(先祖)의 공렬이 아직도 남아 있었는데도 조정에서 대우하는 간곡한 은혜를 잊고 폐족(廢族)들과 교통도 남아 있었는데도 조정에서 대우하는 간곡한 은혜를 잊고 폐족(廢族)들과 교통(交通)하였으며 향리(鄕里)의 호족(豪族)의 권세에 의지하여 어리석은 백성들을 협박해서 난리를 일으킬 것을 생각하였다. 비록 세대가 바뀌어도 선조의 공렬은 보존되지 않음이 없을 터인데 수자(竪子)354) 에 대해 또한 무엇을 꾸짖을 수 있겠는가?
가장 안타까운 것은 박필몽(朴弼夢)으로 세 조정을 두루 섬겼고 지위가 2품에 이르렀는데도 은밀한 모의와 비밀스런 계책을 주장하였으며 패려스러운 아들 박유관(朴有寬)이 흉역(凶逆)을 일으킬 마음을 품고 서로 관여하였다. 그들의 사우(死友)는 김일경(金一鏡)인데 나라 사람들이 모두 죽어야 한다고 했지만 천지(天地)는 본디 자애심(慈愛心)이 많아 살생(殺生)하기를 꺼리는 것이므로 절도(絶島)에 안치(安置)시켰다가 육지(陸地)로 옮겨 오게 하였으니, 내가 무엇을 저버렸기에 네가 반역을 일으킨다는 말인가? 그리하여 하늘을 보고 맹세하지 않으면 땅을 그어 다짐을 하면서 오직 나라를 원망하는 마음뿐이었다. 이것이 모두 외방의 적도들로서 내응(內應)한 괴수(魁首)가 10명이었고 협박에 의하여 따라붙은 자들은 1천여 명이나 되었다. 반역을 일으킬 마음을 품어온 지가 오래 되었으니, 실상은 적신(賊臣)의 부도(不道)한 말에서 시작이 된 것이고 역도들은 배포(排布)한 것이 갈수록 커졌으니, 복법(伏法)된 죄인들의 후손인 자들이 많게 되었다. 이에 심유현(沈維賢)은 그지없이 흉악한 말을 만들어 난역(亂逆)의 계제(階梯)를 순치(馴致)시켰고 이유익(李有翼)은 마치 수컷이 부르면 암컷이 화답하듯이 적도가 되어 스스로 모주(謀主)라고 일컬었다. 그리하여 몰래 화약(火藥)을 훔쳐 내고서, 불에 탔다는 내용으로 핑계댄 거짓 공문을 올렸으며, 각각 가정(家丁)을 출동시켜 흉악한 계획을 밤중에 일으킬 것을 의논하기에 이르렀다. 전후 서로 호응한 상황을 따져본다면 실로 천지 사이에 용납하기 어렵다.
민관효(閔觀孝)가 그림자와 자취를 감춘 채 팔을 걷어 올리고 주동자(主動者)로 나서서 임금을 매도하는 망극한 짓을 한 것은 김일경·심유현과 선후를 통하여 뿌리를 같이하였으며 나라를 안중에도 없는 것으로 여겨 이유익(李有翼)·이순관(李順觀)을 사주(使嗾)하여 방문(榜文)을 걸게 하였다. 귀신(鬼神)이 환히 살펴보고 있는데 네가 이런 마음을 지니고 어디로 갈 수 있겠는가? 강상(綱常)이 무너지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모두 분노하여 살점을 먹으려 하고 있으며, 추대(推戴)한 사람이 본디 있는데 또 지목(指目)하여 장차 어떻게 하려고 하는 것인가? 약속이 이미 정하여졌으니 기일(期日)을 아! 또한 헤아릴 수 없었다. 신광원(愼光遠)은 도성(都城)의 오랑캐들이 숨어 의지하는 장본인이 되었고, 인엽(人燁)도 또한 역적에게 화물(貨物)을 도와주게 되었다. 아! 저 역적 남태징(南泰徵)이 어떻게 차마 국은(國恩)을 저버릴 수가 있단 말인가? 훈장(訓將)의 자리를 스스로 대신하겠다고 한 것은 모두가 분수에 넘치는 일을 바라는 의도에서였다. 원룡(元龍)355) 의 태상(台相)356) 의 글자란 말에서 더욱 주도 면밀한 형지(形止)를 알 수가 있겠다. 이는 다만 그가 군병을 거느린 것을 빙자한 것뿐이요 실제로 지휘(指揮)한 자는 이사성(李思晟)이었다. 역적 이괄(李适)이 왜병(倭兵)을 사용했던 자리를 점거하여 근왕(勤王)을 핑계하면서 기미를 살폈고, 역적 허견(許堅)이 오랑캐의 복색(服色)을 하게 한 계획을 답습하여 사람들을 협박해서 변란을 일으켰던 것이다. 조아(爪牙)의 임무는 안추(安樞)·안엽(安熀)이 쓰여졌고 성식(聲息)은 한세홍(韓世弘)·정세윤(鄭世胤)이 내통하였다. 그리하여 도성의 성문을 화공(火攻)하도록 계책을 세웠고 육군(陸軍)과 수군(水軍)이 연합하도록 지시했으나 일이 발생되기 전에 급변(急變)이 먼저 서울로 올라왔고, 옥사(獄事)가 이루어지자마자 경보(警報)가 곧이어 전하여졌다.
이인좌·이웅보와 정희량이 과연 상당성(上黨城)에서 반역을 일으켰고 또 두류산(頭流山) 아래다 적도들을 불러모아, 나의 군읍(郡邑)과 성수(城守)를 함몰시키고 나의 절진(節鎭)의 수신(帥臣)을 살해하였다. 혹은 먼저 일어나기도 하고 혹은 뒤에 일어나기도 하면서 호남과 영남에 나누어 웅거하여 거짓으로 원수(元帥)라 일컫고는 흉악한 관문(關文)과 격문(檄文)을 보내어 아랫사람을 속이고 윗사람을 방자하게 기망(欺罔)하였으므로 쓸리듯이 극휘(極徽)가 정성을 다하였고 통분스럽게 박종원(朴宗元)이 무릎을 꿇었다. 일이 이미 돌풍처럼 급박하게 되자 독봉(毒鋒)이 드디어 기좌(畿左)에까지 이르렀고 형세가 매우 강성해지자 반기(叛氣)가 남쪽 지방에서 점차 번지게 되었다. 박필현(朴弼顯)이 하읍(下邑)에서 군사를 일으켰고 박필몽(朴弼夢)도 또한 수산(囚山)에서 몸을 빼어 나와서, 곧바로 완산부(完山府)·고성(高城)을 범하기 위해 밤중에 말을 달려 이르렀고, 스스로 은대(銀臺)의 장관(長官)이라고 일컬으면서 대낮에 멋대로 돌아다녔다. 사로(四路)의 적도가 일제히 일어나 반역한 것은 옛날에 이런 일이 있었던가? 백년 동안 내려온 세족(世族)에서 반역자가 많이 나왔으니, 내가 실로 통한스럽게 여긴다. 소란이 계속되자 여리(閭里)가 거의 텅 비게 되었고, 국가의 안위(安危)가 실로 호흡(呼吸)하는 사이에 박도(迫到)하게 되었다. 다행히 나의 하경(夏卿)357) 이 스스로 분발하여 드디어 천토(天討)를 크게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 삼군(三軍)이 주먹을 쳤으니, 모두들 필사(必死)의 뜻을 품었고 적도들이 혼비 백산하니 거칠 것이 없는 군사를 휘몰아 갔다. 안성(安城)·죽산(竹山)의 첩보(捷報)가 계속 날아들었고 거창(居昌)·합천(陜川)의 적진(賊陣)이 저절로 무너졌다. 그리하여 거추(巨酋)가 모두 참획(斬獲)되었고 도망한 무리가 남김없이 체포되었다. 군대를 돌려 승전고를 올리니 한 명의 군졸도 손상된 탄식이 없었고, 남문(南門)에 올라 수괵(首馘)을 받으니 많은 백성들이 다투어 구경하면서 기뻐하였다. 국청(鞫廳)에 갇힌 죄수들에 이르러서도 모두 기시(棄市)하는 국법(國法)을 시행하였다. 일이 일어나기 전에 고발하여 적도들을 벤 것은 대로(大老)358) 의 충성이요 일거에 적의 소굴을 소탕한 것은 상장(上將)359) 의 힘이었다.
이미 역적 이인좌(李麟佐)·이웅보(李熊輔)·정희량(鄭希亮)·민관효(閔觀孝)·박필몽(朴弼夢)·박필현(朴弼顯)·이사성(李思晟)·남태징(南泰徵)·심유현(沈維賢)·이유익(李有翼)·나숭곤(羅崇坤)·나숭대(羅崇大)·이하(李河)·이지인(李志仁)·신광원(愼光遠)·윤덕유(尹德裕)·안추(安樞)·이문저(李文著)·이배(李培)·이순관(李順觀)·이익관(李翼觀)·박종원(朴宗元)·목함경(睦涵敬)·나만치(羅晩致)·신윤조(辛胤祖)·안엽(安熀)·박사관(朴師寬)·안정(安𤊟)·한세능(韓世能)·조세추(曹世樞) 등은 모두 잡아서 능지 처사(凌遲處死)하고 재산을 적몰(籍沒)하였으며, 연좌(緣坐)된 사람 이인엽(李人燁)·이정(李檉)은 감등(減等)시켜 교형(絞刑)에 처하였으며, 이홍관(李弘觀)·김옥성(金玉成)·이일(李溢)·이일좌(李日姉) 등은 그 자신만 주참(誅斬)하였다. 그리고 역적 김일경(金一鏡)도 소급하여 대역률(大逆律)에 처하였다. 오랫동안 없었던 간과(干戈)의 종사(從事)가 불생하게도 지금 있게 되었고, 전에 없던 부월(鈇鉞)의 위엄이 어찌 내가 즐겨하는 것이겠는가? 거듭 생각하건대, 많은 백성들이 생업(生業)을 잃었으니 더욱 침반(寢飯)이 달갑지 않음을 깨닫겠다. 그러나 신인(神人)의 분노를 푼 것은 실로 종사(宗社)의 큰 복에 힘입은 것이고 모든 동식물(動植物)이 다같이 기뻐하고 있으니, 어찌 큰 은택을 함께 베푸는 것을 아낄 수 있겠는가? 전후 반포한 윤음(綸音)에서 거론된 것에 대해 내가 바야흐로 포용하려고 힘쓰고 있으니, 비록 잘못을 범하여 의구심을 품고 있는 자들이라도 어찌 마음을 고치기를 꺼려 해서야 되겠는가? 이달 22일 새벽 이전을 기준으로 하여 모반(謀叛)·대역(大逆)과 자손(子孫)이 조부모(祖父母)나 부모(父母)를 모살해·구타·매도하였거나, 처첩(妻妾)이 남편을 모살했거나 노비(奴婢)가 주인(主人)을 모살(謀殺)했거나, 고의로 사람을 살해했거나, 염매(廉魅)360) ·고독(蠱毒)361) 을 했거나, 국가의 강상(綱常)에 관계되거나, 장오(贓汚)나 강·절도(强竊盜)를 제외한 잡범(雜犯)의 사죄(死罪) 이하 도(徒)·유(流)·부처(付處)·안치(安置)·충군(充軍)된 자는 이미 배소(配所)에 이르렀거나 아직 배소에 이르지 않았거나, 이미 발각되었거나 아직 발각되지 않았거나 이미 결정되었거나 결정되지 않았거나 모두 사유(赦宥)하여 준다. 감히 유지(有旨)가 있는 이전의 일을 가지고 서로 고발할 경우에는 그 죄로 죄주겠다. 관직(官職)에 있는 사람은 각각 한 자급(資級)씩 가자(加資)하고 자궁자(資窮者)는 대가(代加)하라. 아! 조용히 생각하여 보니, 그 이유가 있었다. 만촉(蠻觸)362) 이 서로 다투다가 국가의 위망(危亡)을 초래하게 되었는데 혹시 간과(干戈)의 쟁투가 거듭 있었다고 하더라도 나의 신자(臣子)가 아니겠는가? 나의 진심을 부연(敷衍)하여 크게 고하는 것은 건곤(乾坤)의 일신(一新)되기를 바라서인 것이다. 때문에 이렇게 교시(敎示)하는 것이니, 의당 다 알고 있으리라고 생각이 된다."
하였다. 【대제학(大提學) 윤순(尹淳)이 지어 올렸다.】
- 【태백산사고본】 14책 17권 26장 B면【국편영인본】 42책 47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사법-행형(行刑) / 윤리-강상(綱常) / 어문학(語文學) / 가족-친족(親族) / 변란(變亂)
- [註 346]여기(沴氣) : 요악한 기운.
- [註 347]
구우(區宇) : 천하(天下).- [註 348]
귀역(鬼蜮) : 귀신과 물여우. 물여우가 모래를 입에 물고 있다가, 물에 비치는 사람의 그림자에 뿌리면 그 사람이 병에 걸리는데, 물여우는 귀신과 같이 그 형태를 볼 수 없다 함. 한편으로 음흉한 사람을 일컫는 말로도 쓰이는데, 여기에서는 이러한 뜻으로 쓰였음.- [註 349]
치초(郗超) : 동진(東晉) 때 사람으로, 반역(叛逆)할 마음을 품고 있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들을 획책하였음.- [註 350]
월초(越椒) : 초(楚)나라 약오씨(若敖氏) 집안의 사람으로 성질이 난폭하였는데, 초왕(楚王)을 배반하여 군대를 일으켰다가 초왕에게 전멸당하여 제사지낼 후손도 끊겨 버렸음.- [註 351]
주려(周廬) : 한(漢)나라 때 숙위군(宿衛軍)이 머무는 장소(場所)임. 여기서는 금군 삼청(禁軍三廳)인 내금위(內禁衛)·겸사복(兼司僕)·우림위(羽林衛)를 가리키는 뜻으로 쓰였음.- [註 352]
안녹산(安祿山)의 반상(反相) : 안녹산은 당 현종(唐玄宗) 때의 반신(叛臣)임. 안녹산이 처음에 평로 토격사(平虜討擊使)가 되어 오랑캐를 치다가 패전하여 군율(軍律)을 범했으므로, 재상(宰相) 장구령(張九齡)이 안녹산(安祿山)의 용모에 반상(反相:반골(反骨))이 있으니 죽이지 않으면 반드시 후환(後患)이 있을 것이라고 했으나 현종이 사면(赦免)하고 범양(范陽)·하동(河東)의 절도사(節度使)로 중용(重用)하였다. 뒤에 안녹산이 양국충(楊國忠)과의 반목으로 반란을 일으켜 국호(國號)를 대연(大燕)이라고 했으나 곧이어 패망하였음.- [註 353]
진희(陳豨) : 한 고조(漢高祖) 때 사람으로 양하후(陽夏候)에 봉해졌었으나 대곡(代谷)에서 군사를 일으켜 배반하다가 드디어 복주(伏誅)되었음.- [註 354]
수자(竪子) : 어린애.- [註 355]
원룡(元龍) : 남태징(南泰徵)의 자(字).- [註 356]
태상(台相) : 대신(大臣).- [註 357]
하경(夏卿) : 원수(元帥).- [註 358]
대로(大老) : 최규서를 가리킴.- [註 359]
상장(上將) : 오명항.- [註 360]
염매(廉魅) : 주문(呪文)이나 주술(呪術)로 남을 저주하여 죽게 만드는 것. 염(魘)은 사람의 형상을 만들어 놓고 쇠꼬챙이로 심장을 후벼 파고 손발을 묶는 것이고, 매(魅)는 나무나 돌로 귀신을 만들어 놓고 저주를 비는 것임. 염승술(魘勝術).- [註 361]
고독(蠱毒) : 뱀·지네·두꺼비 등의 독으로 만든 독약을 사람에게 몰래 먹여서 배앓이·토혈(吐血)·하혈(下血)·부종(浮腫) 등의 증세를 일으켜 점차 미치거나 실신하여 죽게 만드는 일.- [註 362]
만촉(蠻觸) : 《장자(莊子)》에 나오는 이야기로 달팽이의 왼쪽 뿔에는 만씨(蠻氏)가 있고 오른쪽 뿔에는 촉씨(觸氏)가 사는데 이들이 늘 서로 싸웠다고 한 데서 온 말로, 하찮은 일로 다투는 것을 비유한 말임.○壬寅/上御仁政殿, 受百官賀。 敎中外大小臣僚、耆老軍民, 書曰:
亂賊何代則無? 未有今玆之凶變。 陰沴不日乃掃, 載見區宇之淸夷。 肆播用亶之渙音, 庸飾莫大之新慶。 粤予寡德, 叨此洪基, 以常性責人, 曾不疑乎爲逆, 謂淫朋禍國, 期必臻於同寅? 然惡種錮廢之猶初, 抑醜類鑑別之難盡。 名義大案, 數族之怨詛彌深, 敎文凶言, 一賊之誅討已緩, 終致群不逞之合締, 敢乘久無兵之時幾。 一有跌差, 幾乎顚覆, 興言及此, 痛心奈何? 逆賊麟佐、熊輔曁觀孝、義徵、弘渤之至親, 宗道、彦良之遺孽, 均鍾厲氣, 果梟音之不悛, 久蓄陰圖, 若獸窮而反噬。 弼顯、有翼, 鬼蜮面貌, 豺豕心腸。 郗超爲賊溫之賓, 當時莫察秘跡, 越椒餒若敖之鬼, 今人蓋無明知。 交結中外無賴之流, 主張終始不軌之事。 泰徵、思晟, 或藉勳舊而襲爵, 或由蠢微而發身, 摠周盧宿衛之軍, 那知祿山之反相? 居代谷精兵之處, 反啓陳豨之凶心。 維賢、希亮, 地處何如? 祖烈猶在, 忘朝廷視遇之眷, 與廢族而通交, 倚鄕里豪右之權, 脅蚩氓而思亂。 雖世變無不有矣, 在竪子亦何誅焉? 最是弼夢, 歷事三朝, 位至二品, 陰謀秘計之是主, 悖子有寬, 逆腸凶肚之相關。 死友則鏡, 雖國人皆曰可殺, 而天地本自好生, 從島置而陸移, 何負汝叛? 不天視則地畫, 惟怨國心。 肆皆外盜內應者十魁, 若其脅從附麗則千數。 醞釀蓋久, 實俑於賊臣不道之辭, 排布轉深, 多出於罪人伏法之裔。 玆乃賢做窮凶極惡之說, 馴作亂階, 翼爲雄唱雌和之徒, 稱謂謀主。 潛偸火藥, 誣牒反諉於燒灰, 各出家丁, 凶圖至議於夜發。 原其首尾之相應, 實是覆載之難容於是焉。 觀孝匿影藏蹤, 攘臂稱首, 詬天罔極, 貫鏡、賢而同根, 視國如無, 嗾翼、順而揭榜。 鬼神昭布, 汝持此而安歸? 綱常未頹, 人皆憤而欲食, 推戴自有, 指目將欲何爲? 約束已定, 日期吁亦叵測。 光遠是仗藏轂下之羗胡, 人燁亦從資賊中之貨物。 噫! 彼徵賊, 忍負國恩? 訓將窠自代之云, 罔非凱覦之意。 元龍 台相字之語, 益見綢繆之形。 此特資藉其將兵, 若夫指揮則在晟。 居賊适用倭之地, 托勤王而伺機, 襲逆堅服胡之謀, 擬怯衆而稱亂。 爪牙則樞、熀爲用, 聲息則弘、胤與通。 策之以火攻都門, 敎之以兵連海陸, 事未發而急變先上, 獄才成而警報俄傳。 麟、熊及亮, 果竊發於上黨城中, 又嘯聚於頭流山下, 淪陷我郡邑城守, 陰賊我節鎭帥臣。 蓋或先或後, 分據湖嶺而僞稱元帥, 以凶關凶檄, 下爲欺誑, 而上肆悖誣, 靡然極徽之輸誠, 痛矣宗元之屈膝。 事旣猋急, 毒鋒遂及於左畿, 勢甚鴟張, 叛氣滋熾於南服。 顯乃稱兵於下邑, 夢亦脫身於囚山, 直犯完府、高城, 半夜馳至, 自稱銀臺長席, 白日恣行。 四路之寇戎竝興, 古有是否? 百年之世族多叛, 予實痛焉。 繹騷殆空於里閭, 安危實迨於呼吸。 幸我夏卿之自奮, 遂致天討之用張。 三軍引拳, 擧懷必死之志, 群盜奪魄, 長驅無前之師。 安、竹之捷音繼騰, 昌、陜之賊陣自潰。 渠酋悉歸於斬獲, 逋逃莫漏於捕追。 據旅鳴鐃, 一卒無不備之嘆, 臨門受馘, 萬民有爭覩之觀。 至若在鞫之諸囚, 竝伏肆市之常憲。 先事而剪其戎莾, 唯大老其忠, 一擧而蕩其狐叢, 繄上將之力。 已將逆賊麟佐、熊輔、希亮、觀孝、弼夢、弼顯、思晟、泰徵、維賢、有翼、崇坤、崇大、河、志仁、光遠、德裕、樞、文著、培、順觀、翼觀、宗元、涵敬、瑞鳳、瑞麟、鏛、世弘、㑫、晩致、胤祖、熀、師寬、𤊟、世能、世樞等, 俱凌遲處死, 籍沒緣坐, 人燁、檉減等處絞, 弘觀、玉成、溢、日佐等, 只誅其身。 逆賊一鏡, 亦追正大逆律訖。 干戈之從事久闊, 不幸及玆, 鈇銊之飾威無前, 豈予所樂? 重念黎庶之失業, 彌覺寢飯之靡甘。 然而憤洩神人, 實賴宗社之洪福, 歡均動植, 寧靳霈澤之同宣? 惟前後絲綸之頒, 予方懋於置腹, 雖詿誤反側之類, 爾豈憚於革心? 本月二十二日昧爽以前, 除謀叛、大逆, 子孫謀殺敺罵祖父母、父母, 妻妾謀殺夫, 奴婢謀殺主, 謀故殺人, 魘魅蠱毒, 關係國家綱常, 贓汚强竊盜外, 雜犯死罪以下, 徒、流、付處、安置、充軍, 已至配所, 未至配所, 已發覺未發覺, 已決正未決正, 咸宥除之。 敢以宥旨前事相告言, 以其罪罪之。 在官者各加一資, 資窮者代加。 於戲! 靜言思之, 厥有由矣。 噫! 蠻觸之互鬪, 致國危亡, 倘干戈之重尋, 非我臣子? 敷心腹而誕告, 庶乾坤之一新。 故玆敎示, 想宜知悉。 【大提學尹淳製進。】
- 【태백산사고본】 14책 17권 26장 B면【국편영인본】 42책 47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사법-행형(行刑) / 윤리-강상(綱常) / 어문학(語文學) / 가족-친족(親族) / 변란(變亂)
- [註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