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인조실록19권, 인조 6년 8월 4일 임진 2번째기사 1628년 명 천계(天啓) 8년

김류 등이 진휼에 대해 아뢰다

좌의정 김류가 탑전에서 아뢰기를,

"대개 진휼은 으레 다음해 봄에 실시해야 하는데, 올해는 그렇지 않아 초가을부터 개시하였으니, 그야말로 계속 이어대기가 어렵습니다. 삼가 듣건대 전라도 금성 산성(金城山城)에 곡식 3천 석이 저장되어 있다 하니, 1천여 석을 운반하여 진휼을 돕게 하소서."

하니, 상이 이르기를,

"진휼청으로 하여금 처리하게 하라."

하였다. 회계하기를,

"해조의 회계를 가져와 상고해 보건대 담양(潭陽) 금성 산성에 저장된 미두(米豆) 3천여 석 가운데 1천 석을 운송하여 진구용(賑救用)으로 쓰고 인근 고을에서 회부(會付)040) 되는 미곡을 차차 수송해 들여와 그 액수를 채우는 것이 매우 온당하겠습니다. 다만 금성 산성과 선소(船所)와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는데, 본도의 감사로 하여금 운송책을 강구하도록 하소서.

그리고 양남(兩南)의 연해 지역에 있는 통영(統營)의 곡식을 미두나 잡곡을 막론하고 각각 5천 석씩 방출하여 1만 석을 채운 뒤, 경상도의 미곡은 통영의 일반 배로 경창(京倉)에 운반하고 전라도의 미곡은 병선(兵船)으로 해주(海州) 결성창(結城倉)에 운반하게 해야 합니다. 이러한 뜻으로 양남의 감사와 통제사에게 하유하여 강이 얼어붙기 전에 운반하도록 하소서."

하니, 답하기를,

"아뢴 대로 하라. 그리고 산성의 미곡은 어쩔 수 없어서 옮겨다 쓰는 것이니, 인근 고을의 별수미(別收米)로 그만큼 채워 넣도록 하라."

하였다. 호조가 아뢰기를,

"금성 산성은 적상 산성(赤裳山城) 등과 같이 꼭 지켜야 할 중요한 지역도 아니고 급하게 그 군량을 쓸 곳도 없기 때문에, 대신이 탑전에서 아뢰어 그곳의 군량을 옮겨 우선 급한 불을 끄려고 한 것입니다. 그런데 본도의 별수미는 곧 삼수량(三手糧)041) 으로서 군사에게 지급하는 양식인 까닭에 산군(山郡)이나 해변을 막론하고 모두 본색(本色)으로 상납합니다. 따라서 지금 만약 상납하는 미곡을 덜어 산성에 운반해 들여 보낸다면 이해관계로 볼 때 도치된 일이니, 정상적으로 납부하여 거둬들이는 미곡은 그대로 놔두는 것이 차라리 낫지 않겠습니까. 어찌 꼭 운반하기 어려운 산성미를 채우기 위하여 별수미를 대체하여 써야 하겠습니까. 진휼청의 계사대로 별수미 대신 담양 인근 고을에서 회부되는 미곡을 가지고 추수 때에 채워 넣도록 하고 산성의 미곡을 우선 갖다 쓰는 것이 타당하겠습니다."

하니, 상이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19책 19권 7장 A면【국편영인본】 34책 281면
  • 【분류】
    구휼(救恤) / 군사-병참(兵站)

  • [註 040]
    회부(會付) : 특정계정(特定計定).
  • [註 041]
    삼수량(三手糧) : 포수(砲手)·사수(射手)·살수(殺手) 등을 양성하는 군량.

○左議政金瑬於榻前啓曰: "凡賑恤, 必始於翌年之春, 而今則不然, 始於今年初秋, 此實難繼之道。 伏聞全羅道 金城山城, 有貯穀三千石云。 請運致千餘石, 以助賑救。" 上曰: "令賑恤廳處之。" 回啓曰: "取考該曹會計, 則潭陽 金城山城所儲米豆, 三千餘石。 運致一千石, 以爲賑救之用, 而隣邑會付之米, 次次輸入, 以充其數甚便, 而但未知金城去船所道里。 令本道監司, 料理輸運之策。 且統營之穀, 在兩南沿海者, 勿論米豆、雜穀, 各出五千石, 以準萬石之數, 慶尙道米穀, 則以統營船隻, 載運於京倉; 全羅道米穀, 則以兵船載運於海州結城倉。 以此意, 下諭於兩南監司、統制使, 使之移運於未凍前。" 答曰: "依啓。 且山城之米, 不得已移用, 則以隣邑別收米充數。" 戶曹啓曰: "金城山城, 非如赤裳等緊關必守之地, 而其軍糧, 無朝夕可用之處。 大臣榻前之啓, 蓋欲移用, 以救燃眉之急矣, 本道別收米, 卽三手糧, 係是軍兵所饋之糧也。 無論山郡、海邊, 皆以本色上納。 今若除上納之米, 移入山城, 則事之利害倒置。 無寧仍存恒納之收米, 何必換用難運之山城米乎? 依賑恤廳啓辭, 潭陽隣近官會付米, 待秋成充數, 而山城米姑先取用宜當。" 上從之。


  • 【태백산사고본】 19책 19권 7장 A면【국편영인본】 34책 281면
  • 【분류】
    구휼(救恤) / 군사-병참(兵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