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인조실록15권, 인조 5년 1월 20일 무자 9번째기사 1627년 명 천계(天啓) 7년

청나라 군이 출발했다는 장계를 보고 그 대책을 논의하다

비국이 아뢰기를,

"방금 윤훤의 장계를 보니 적병 70여 기가 가산(嘉山)으로 출발하였다 하니, 그 의도는 필시 깊이 들어오려는 데에 있을 것입니다. 가산에서 곧바로 안주(安州)로 가는 길이 있고 또 곧장 평양(平壤)으로 나가는 길이 있으며, 또 곧바로 황주(黃州)를 공격하는 길이 있는데 적이 어느쪽으로 갈지 모릅니다. 만일 사잇길을 취한다면 후망(候望)을 하기가 매우 곤란하니, 도체부와 황해도·평안도의 감사·병사에게 하유하여 즉각 탐문 청취해서 치계토록 하소서.

이들 적들이 이미 우리가 감히 그들과 겨뤄 싸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거리낌없이 멋대로 하고 있으니 만일 그 교만하고 나태한 틈을 타서 요격(邀擊)을 하거나 아니면 야습(夜襲)을 한다면 진실로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기발한 계책이 될 것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여 나라 안으로 깊숙이 들어온다면 각성의 나누어 수비하던 군병들이 합세하여 후미를 차단하고, 삼남의 여러 군병들과 앞뒤에서 협격한다면 족히 큰 공을 이룩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우리 나라의 정병(精兵)이 전적으로 함경북도강계(江界) 등의 일곱 고을에 있기 때문에 일찍이 조발해 쓰기를 청하였었는데 윤허를 받지 못하였습니다. 오늘날의 형세가 진실로 그만둘 수 없는 상황에 있기에 감히 다시 품달합니다."

하니, 상이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15책 15권 12장 A면【국편영인본】 34책 162면
  • 【분류】
    군사-전쟁(戰爭) / 외교-야(野)

    ○備局啓曰: "卽見尹暄狀啓, 賊兵七十餘騎, 進向嘉山云, 其意必在於深入。 自嘉山有直抵安州之路, 又有徑出平壤之路, 又有直擣黃州之路, 賊之所向, 未可知也。 若取間路, 則候望甚難, 請下諭于都體府、黃海平安監ㆍ兵使, 使卽探聽馳啓。 此賊旣知我不敢爭鋒, 肆然無忌, 若能乘其驕惰, 或邀擊、或夜斫, 誠爲制勝之奇策。 如其不然, 而深入腹內, 則各城分守之軍, 合勢躡後, 與三南諸軍, 前後夾擊, 足辦大功。 我國精兵, 專在於咸鏡北道江界等七邑, 故曾請調用, 而未蒙允許矣。 今日形勢, 誠有不可已者, 敢此更稟。" 上從之。


    • 【태백산사고본】 15책 15권 12장 A면【국편영인본】 34책 162면
    • 【분류】
      군사-전쟁(戰爭) / 외교-야(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