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광해군일기[중초본]58권, 광해 4년 10월 16일 병자 4번째기사 1612년 명 만력(萬曆) 40년

추국청의 대신 등 여러 신하들에게 물품을 하사하다

추국청의 대신에게 각각 안구마 1필씩을, 심희수에게는 숙마 1필을, 이원익에게는 아마(兒馬) 1필을 주었다. 금부 당상 4원(員)과 양사 장관 3원, 형방 승지·문사 낭청 4원에게는 각각 한 자급씩 가자하였으며, 최동식(崔東式)·이성(李惺)·김치(金緻)에게는 각각 활 1정(丁)을 주었다. 금부 낭청은 가자하되 자궁자(資窮者)는 대가(代加)하였다. 형방 도사(刑房都事) 홍집(洪)은 6품에 천전하였으며 문서 차지 도사(文書次知都事) 강홍적(姜弘勣)은 승서하였고 죄인을 잡아온 낭청 및 선전관은 각자 한 자급을 가자하였는데 자궁자는 대가하였다. 도사 이국량(李國樑) 등 두 사람과 전 도사 권온(權鞰) 등 여섯 사람에게는 각각 활 1 정을 내려주었고, 가랑청(假郞廳) 안극제(安克悌) 등 20인에게는 각각 한 자급씩 가자하였으며 자궁자는 대가하였다. 조경진(趙景禛) 등 35인에게는 각각 아마 1필씩을 내려주었고, 이린(李麟) 등 35인에게는 각각 활 1정씩 내려주었다. 율관(律官)·의원·서리·나장·녹사에게는 면포를 등급을 나누어 내려주었는데, 형방 서리(刑房書吏)는 수청 서리(隨廳書吏)보다 넉넉하게 주었고 집장 나장(執杖羅將)은 수청 나장보다 넉넉하게 주었으며, 친국할 때의 율관은 6품직을 제수하고 의원은 활 1정을 주었으며, 서리와 나장은 또 등급을 더하여 주었다. 가주서 최정원(崔貞元)은 6품에 천전하였고, 대교(待敎) 홍경찬(洪敬纘)은 가자하였으며, 검열 신득연(申得淵), 주서 정기광(鄭基廣), 겸춘추 박문준(朴文浚)·양극선(梁克選)은 각각 활 1정씩을 주었으며, 승정원의 검률(檢律)·서리(書吏)·사령(使令)에게는 면포를 등급을 나누어 주었다.


  • 【태백산사고본】 20책 20권 98장 B면【국편영인본】 32책 118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사법(司法) / 왕실-사급(賜給) / 변란-정변(政變)

    ○推鞫廳大臣, 各鞍具馬一匹, 沈喜壽熟馬一匹, 李元翼兒馬一匹。 禁府堂上四、兩司長官三、刑房承旨·問事郞廳四, 各加一資; 崔東式李惺金緻, 各弓子一丁。 禁府郞廳加資, 資窮者代加。 刑房都事 六品遷轉, 文書次知都事姜弘勣陞敘, 罪人拿來郞廳及宣傳官等, 各加一資, 資窮者代加。 都事李國樑等二、前都事 等六, 各弓子一丁; 假郞廳安克悌等二十, 各加一資, 資窮者代加。 趙景禛等三十五, 各兒馬一匹; 李麟等三十五, 各弓子一丁賜給。 律官、醫員、書吏、羅將、錄事, 以綿布分等題給, 而刑房書吏則優於隨廳書吏, 執杖羅將則優於隨廳羅將。 親鞫時律官, 六品職除授; 醫員, 弓子一丁; 書員、羅將, 則又爲加等題給。 假注書崔貞元, 六品遷轉; 待敎洪敬纘, 加資; 檢閱申得淵、注書鄭基廣、兼春秋朴文 ·梁克選, 各弓子一丁; 承政院檢律、書吏、使令, 綿布分等題給。


    • 【태백산사고본】 20책 20권 98장 B면【국편영인본】 32책 118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사법(司法) / 왕실-사급(賜給) / 변란-정변(政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