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병부 상서 형개가 보낸 우리측을 질책하는 내용의 자문
형 군문(邢軍門)이 【이름은 형개(邢玠)이다. 】 이자(移咨)하였다.
"병부 상서(兵部尙書) 형(邢)은 긴급히 왜정(倭情)에 대한 일로 알립니다. 우급사중(右給事中) 후(候)가 앞의 사항에 대해 올린 제본(題本) 내에 ‘조선(朝鮮)의 임금은 견고한 뜻이 없고 신하는 도피하려는 마음만 품고 있으며 백성들은 또 부상당한 새가 빈 총소리에도 놀라 떨어지는 것과 같으니, 우리가 누구와 함께 원수를 무찌르겠습니까. 신 등의 생각으로는 마땅히 독신(督臣)에게 명령을 내려 분명히 국왕(國王)에게 묻게 하기를 「중국에서는 속국(屬國)이 멸망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어 왕사(王師)를 재차 동원하여 기대 이상의 은혜를 베풀었는데, 그대 나라는 상하가 어정거리면서 싸울 뜻은 없고 오직 도피할 것만 생각하여 나라를 헌신짝 버리듯이 하니 무슨 까닭인가? 그대는 오래도록 중화(中華)의 풍교(風敎)를 사모하여 관대지국(冠帶之國)으로 일컬음을 받고 있는 처지이니 필시 왜노(倭奴)의 마졸(馬卒)이 되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데 스스로 분발하여 중국과 보조를 맞추려고 하지 아니하니, 왕의 마음을 모르겠다. 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다 털어놓을 뿐더러, 병사(兵事)에 관계되는 것도 거짓말로 꾸며대는 일이 없도록 하라. 그대들이 만약 힘써 보존을 도모하여 삼군(三軍)을 거느리고서 전진만 하고 후퇴함이 없다면 중국에서도 재력(財力)을 아끼지 않고 싸움터에 나아가겠지만, 만약 스스로 사직(社稷)을 경시하여 풀숲에 숨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하고 잠시 동안의 편안함만 구한다면, 중국이 어찌 그대를 대신하여 지켜줄 수 있겠는가. 그저 우리의 강토만을 견고히 지킬 것이고 동서남북 어디로 가든 그대들 임의대로 하게 할 것이니 속히 결단하여 두 마음을 가지지 말라. 전자를 따른다면, 우리도 작은 혐의를 버리고 합세하여 앞다투어 나아가 지친 적병을 견제하면서 대병이 오기를 기다렸다가 기회를 보아 움직이겠지만, 후자를 따른다면 역시 일찍 주저하지 않고 결단을 내려 병사를 거두어 서서히 후퇴하여 우리 군사와 강토를 보존할 것이며 굳이 왜노와 짧은 시간내에 생명을 다투지 않겠다. 」라고 하게 하십시오.’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 제본(題本)에 대한 성지(聖旨)를 받드니 ‘이미 제본(題本)을 거쳐 상지(上旨)를 받들었으니 자문을 갖추어 보내게 하라. 해국(該國)이 과연 수치를 씻을 뜻이 있고 나라를 보존할 마음이 있다면 먼저 분발하고 통렬하게 스스로 경성(警省)한 뒤에 대의(大義)로써 신민(臣民)을 권면하고 은혜와 신의로써 인심을 굳게 결속하여, 상하(上下)가 서로 일깨워 죽음을 각오하고 지키기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중국이 즉시 병사와 군량을 많이 보내 그들을 도와 왜적을 토벌하겠지만, 만약 먼저 스스로 나라를 사랑하지 않고 숨으려만 한다면, 우리도 또한 그들을 위하여 지켜주지 않고 즉시 병사를 국경 근처로 철수하여 물러나 봉강(封疆)을 보전하다가 서서히 조처하여 해분(海氛)을 정화(淨化)할 것이다. 해국은 스스로 귀착할 곳을 계획하여 되도록이면 충심(衷心)을 토로하되 실지대로 상세하게 대답할 것이요, 두 마음을 가져 우리 군기(軍機)를 그르치지 말도록 하라.’ 하였습니다."
- 【태백산사고본】 59책 92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3책 296면
- 【분류】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軍事)
○邢軍門 【玠。】 移咨曰:
兵部尙書邢爲緊急倭情事。準右給事中侯題前事內稱, 朝鮮君無堅志, 臣有避心, 民且如擘鳥, 驚虛彈而下墜矣, 我其誰與同讎哉? 臣等謂宜令督臣, 明問國王, 中國悶屬國淪沒, 再動王師, 惠出非望, 爾國上下, 儻佯無鬪志, 惟思逃遁, 視國如(敞)〔敝〕 屣, 何哉? 爾久慕華風, 稱冠帶之國, 必不甘爲倭奴馬前卒, 乃不自刻勵, 期成輔車中國, 未知王心。 其盡攄底蘊, 兵間, 毌浮於虛辭。 若勉力圖存, 則奬率三軍, 有進無退, 中國不惜財力以赴, 若自輕社稷, 不羞竄伏草莽, 求緩須臾, 中國豈得代爲爾守? 亦且自固其疆, 爾東西南北, 自任也, 其速審, 毌持二端。 由前則我當捐棄小嫌, 合勢競進, 扼老賊兵, 俟大兵至, 而相機動止; 由後則亦早斷狐疑, 斂兵徐退, 全師保疆, 不必與倭奴, 爭一朝之命等因。 題本聖旨, 旣經題奉旨, 備咨前來。 該國如果志存雪恥, 心欲圖存, 恐當首先淬勵, 痛自警省, 然後以大義, 勉責臣工, 以恩信固結人心,上下交警, 力圖死守。 中國卽當大發兵餉, 助爾討賊, 若先不自愛, 甘自竄伏, 我亦不爲爾戍守, 卽當還師境上, 退保封疆, 當徐爲處分, 以淨海氛。 該國自計歸着之地, 務吐由衷, 從實詳答, 勿持兩端, 悞我軍機
- 【태백산사고본】 59책 92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23책 296면
- 【분류】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軍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