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재 등이 신안관에 이르자 이호민에게 문안하고 온 이유를 물어보라고 분부하다
사용재·서일관·심유경이 신안관(新安館)에 이르렀는데, 상이 우부승지(右副承旨) 이호민(李好閔)을 보내어 문안하게 하였다. 이어 분부하기를,
"승지는 마땅히 그들에게 ‘대인들은 지금 무슨 일을 주관하고 있고 어디로 가려는 것인가?’ 하고 물어보아야 한다. 그들이 사실대로 대답하면 곧 나의 뜻을 말해주기를 ‘왜적의 흉역 무도(兇逆無道)함은 천하 만세가 모두 알고 있는 바이다. 지금 대인은 당당한 중국 사신으로서 위험을 무릅쓰고 흉적의 소굴로 들어가려 하니 삼가 대인들을 위해 위태롭게 생각한다. 대인들이 일찍이 전의 역사에서 보았듯이 중국 사신들이 일본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한 사람이 많았다. 더구나 풍신수길은 매우 흉악해서 자기 임금 시해하기를 마치 여우나 토끼 사냥하듯 하였으니 어찌 중국 사신을 예(禮)로 대접할 리가 있겠는가. 저들은 평양에서 패전하여 자기들의 간계(奸計)를 행할 수 없게 된 것을 분해하고 있는데 【간계는 요동을 침범하려는 계획인데, 이 말은 표현하기가 곤란할 것 같으므로 좋은 말로 구사하여 이 사람들에게 알리려는 것이었다. 】 만일 뜻밖의 변고가 있게 되면 중국의 위신이 개돼지 같은 자들에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대인들에게 있어서도 어찌 되겠는가. 대인들은 왜 그간의 사정을 극력 경략에게 진달하여 도모하지 않는가? 심 장군(沈將軍)으로 인하여 천하의 대사를 무너뜨릴 수 있겠는가?’라고 하라. 대개 이러한 내용으로 말을 잘 만들어 위급한 상황을 극력 진술함으로써 그들을 두렵게 만들면 저들은 반드시 스스로 일본에 가지 않을 계책을 도모할 것이다."
하였다. 이호민이 문안하고 나서 아뢰기를,
"저들의 주된 뜻은 알 수 없습니다. 단지 자신의 머리를 가리키며 ‘우리들이 가는 것은 매우 위태롭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저들이 무어라고 말하던가?"
하니, 이호민이 아뢰기를,
"대략은 최흥원이 아뢴 내용과 같습니다. 신이 ‘그대들은 조명(詔命)을 받고 가는 것인가, 경략이 보내는 것인가? 왜적이 만약 천자의 명을 받지 않고 경략의 말만 듣고서 왔다 하여 사실이 아니라고 하면서 잡아 가두고 욕을 보인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하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그 점은 잘 알고 있다. 관백이 진실로 조공할 것을 요청하고 두 왕자도 보내준다면 장차 강화는 이루어질 것이다. 경략은 우리들이 담기(膽氣)가 있음을 알고 이와 같이 분부한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에 신이 또 ‘불길이 맹렬히 타오르면 소나무나 잣나무도 가리지 않고 태워버린다. 담기가 있다한들 무슨 도움이 있겠는가.’ 하니 ‘그 점은 우리들도 잘 알고 있다. 우리에겐 죽음이 있을 뿐이다. 우리 두 사람은 동갑으로 함께 37세이고 나의 어머니와 사용재의 어머니도 동갑이다. 우리들은 자식이 없는데, 살아서 돌아오면 천운이고 죽게 되면 다시는 노모(老母)를 뵙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스스로 목이 메어 비통해하기를 마지 않았습니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0책 37권 6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680면
- 【분류】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
○謝用榟、徐一貫、沈惟敬, 至新安館, 上遣右副承旨李好閔問安。 仍敎曰: "承旨當致辭曰: ‘大人今幹何事? 往何處?’ 渠若以實對之, 則卽以予意告之曰: ‘倭奴之兇逆不道, 天下萬世之所共知也。 今大人以堂堂天朝之使, 冒入兇賊之窟, 竊爲大人危之。 大人曾見前史, 天朝使臣到日本, 其不得還者多矣。 況秀吉窮兇極惡, 弑其君如獵狐兎, 寧有禮待天朝使臣之理乎? 彼憤平壤戰敗, 不得售其奸計, 【奸計卽犯遼之計也, 似難措辭, 宜好爲措辭, 使此人等知之。】 萬一有不測之變, 則不但天威有損於犬豕, 而其於大人何? 大人何不力陳此間曲折於經略公而圖之, 豈可因沈將軍而壞天下大事也?’ 大槪以此善爲措辭, 極陳危殆之狀, 使之恐怯畏怖, 則彼必有自圖免往之計矣。" 李好閔問安後, 啓曰: "渠之主意, 則不知矣。 但指其頭曰: ‘俺等之行, 十分九分危殆矣。’" 上曰: "渠之所言如何?" 李好閔曰: "大略與崔興源啓辭同矣。 臣問曰: ‘有 詔命而往耶? 經略差送耶? 倭若曰: 「不待天子之命, 而只聽經略之言而來?」 以爲不實而拘囚辱之, 則奈何?’ 曰: ‘知之矣。 關白若實請貢, 兩王子亦爲出送, 則和事且成矣。 經略知俺等有膽氣, 而分付如此。’ 臣又曰: ‘烈火將焚松栢無賴。 雖有膽氣, 將何益哉?’ 曰: ‘知之。 俺有死而已。 吾二人同庚生, 年皆三十有七, 吾母與謝母亦同庚。 吾等無子, 生則天也, 死則無復見老母矣。’ 仍自悲噎不已云。"
- 【태백산사고본】 20책 37권 6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680면
- 【분류】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