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35권, 선조 26년 2월 24일 기유 7번째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호조가 이 제독과 3대장 등에게 봄옷감을 나누어주는 일을 아뢰다

호조가 아뢰기를,

"이 제독 및 3대장·중군(中軍)·제장 등의 봄옷감을 나누어 주라고 전교하였습니다. 여러 장수들은 총 63원(員)인데 이미 돌아간 자 및 북도를 들어간 사람을 제외하고 군중에 현재 남아 있는 자는 47인입니다. 각기 토산 명주 2필 씩을 분급했으나 제독과 3대장에게는 소략하게 주단(紬緞)만 줄 수 없습니다. 북도에 간 여러 장수들에게는 돌아오기를 기다렸다가 나누어줌이 마땅합니다."

하였는데, 중국 장수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제독 중군 방시춘(方時春), 참장(參將) 이방춘(李芳春), 유격 도사(遊擊都司) 방시휘(方時輝), 유격 주홍모(周弘謀), 부총병(副總兵) 임자강(任自强), 유격 전세정(錢世禎), 참장 양소선(楊紹先)·소국부(蘇國賦), 유격 대조변(戴朝卞)·이영(李寧)·조문명(趙文明)·양심고(梁心高)·고철(高澈)·시조경(施朝卿)·척금(戚金)·왕승은(王承恩)·장기공(張奇功)·심유경(沈惟敬), 참유(參遊) 동양중(佟養中)·호난(胡鸞)·이욱(李郁)·조지목(趙之牧), 원임 도사(原任都司) 이진중(李鎭中), 유격(遊擊) 고승(高昇), 부총병 사대수(査大受), 참장 낙상지(駱尙志), 참유(參遊) 섭방영(葉邦榮)·갈봉하(葛逢夏), 독전장 도사(督戰將都司) 왕필적(王必迪)·양대유(楊大有)·오몽표(吳夢豹), 유격 장모(張某),042) 참장 주역의(周易義), 참장 이여매(李如梅), 참유 이여오(李如梧), 무거 지휘(武擧指揮) 이여남(李如楠), 동지(同知) 정문빈(鄭文彬), 지현(知縣) 조여매(趙如梅), 지휘 황응양(黃應陽), 비어(備禦) 왕개(王玠) 이상 41인이다. 】


  • 【태백산사고본】 18책 35권 51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646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

  • [註 042]
    유격 장모(張某), : 이름 미상.

○戶曹啓曰: "李提督及三大將中軍諸將等, 春服之資贈給事傳敎矣。 諸將都數六十三員, 而除已還去及北道入歸人外, 軍中時留者四十七人。 各給土紬二匹矣, 提督與三大將處, 則不可略呈紬端。 北去諸將, 待其還來, 贈給宜當。" 天朝將官。 【提督中軍方時春, 參將李芳春, 遊擊都司方時輝, 遊擊周弘謨, 副摠兵任自强, 遊擊錢世禎, 參將楊紹先、蘇國賦, 遊擊戴朝 卞、李寧、趙文明、梁心高、高澈、施朝卿、戚金、王承恩、張奇功、沈惟敬, 參遊佟養中、胡鸞、李郁、趙之牧, 原任都司李鎭中, 遊擊高昇, 副摠兵査大受, 參將駱尙志, 參遊葉邦榮、葛逢夏, 督戰將都司王必迪、楊大有、吳夢豹, 遊擊張名未詳, 參將周易義, 參將李如梅, 參遊李如梧, 武擧指揮李如楠, 同知鄭文彬, 知縣趙如梅, 指揮黃應陽, 備禦王价已上四十七人。】


  • 【태백산사고본】 18책 35권 51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646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