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29권, 선조 25년 8월 2일 기축 1번째기사 1592년 명 만력(萬曆) 20년

비변사 당상을 인견하고 양 총병 등 중국군의 형편, 요동 파천 등을 논의하다

상이 행궁(行宮)의 동헌(東軒)에 나와 비변사 당상(堂上)을 【윤두수·한응인(韓應寅)·이항복·이성중(李誠中)·이덕형과 승지(承旨) 유근(柳根), 주서(注書) 강욱(康昱)·구사맹(具思孟)·신잡(申磼)이 함께 입시하였다. 】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적의 형세가 어떠한가?"

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전사(戰士)들이 전진할 마음만 있고 후퇴할 마음은 없으니 해볼 만합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반드시 훌륭한 장수를 얻은 뒤라야 싸울 수 있을 것이다."

하니, 항복이 아뢰기를,

"조승훈(祖承訓)을 오도록 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고, 성중이 아뢰기를,

"신이 조승훈양 총병(楊總兵)에게 요청하니, 그가 ‘내가 바야흐로 공죄(功罪)를 논하여 상벌(賞罰)을 시행하고 있다.’ 하였는데, 그 말이 엄격한 듯 하였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양 총병은 어떤 사람인가?"

하니, 성중이 아뢰기를,

"전일 양 총병에게 ‘우리 나라가 복이 없어서 패배하기에 이르렀다.’ 하였더니, 양 총병이 ‘조정의 장령(將領)들이 엄하지 못하여 이 지경에 이르렀다.’고 답하였으니, 참으로 도량이 큰 사람입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이미 천자(天子)의 명을 받들고 왔는데, 만약 한 번 패했다는 것을 이유로 철병(撤兵)해 버린다면 우리 나라의 일은 진실로 걱정할 게 못 되지만 황제의 위엄이 손상될 것이니 사이(四夷)가 알도록 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이 적은 대군(大軍)으로 대진(對陣)하여 서로 전투할 수는 없습니다. 반드시 군사를 뽑아 그들의 흩어져 있는 군사[散卒]를 휩쓴 뒤라야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

하고, 신잡은 아뢰기를,

"신이 이빈(李薲)을 만났더니, 이 신의 아우인 신립(申砬)·신할(申硈)이 패배한 것을 거론하면서 말하기를 ‘나는 많은 수의 군사를 나누어 험조(險阻)한 곳에 숨어 있다가 나오는 적을 덮치려 한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지금 차질이 생긴다면 혹 난처한 일이 있지 않겠는가?"

하니, 신잡이 아뢰기를,

"영변(寧邊) 근처도 아직 대가(大駕)가 머물고 있는 곳을 알지 못하여 유언 비어가 전파되고 있는데 더구나 강원도·황해도 등지이겠습니까. 길이 막혀 이 한 곳에 머물러 있기는 하나 호령이 통하지 못할까 염려됩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만일 불행하여 적세가 온 나라에 가득 찬다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수상(水上)으로 가야 될 것입니다."

하고, 신잡은 아뢰기를,

"현재에는 다만 요동으로 건너가는 것, 바다로 나가는 것, 수상으로 가는 것 이 세 계책이 있을 뿐입니다. 중국에서는 장전보(長奠堡)에 머물러 있기만을 허락했을 뿐이니 요동으로 건너가는 것은 결코 할 수가 없습니다. 의당 정주(定州)에 가서 사변의 추이를 살피든지 혹은 바다로 나가거나 수상으로 가든지 편의에 따라서 조처하는 것이 옳습니다."

하고, 덕형은 아뢰기를,

"수상은 위험할 듯하니 해로(海路)가 합당합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바다로 나가려 하나 어디로 갈 것인가? 내가 가는 데는 적도 갈 것이다."

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강계는 길이 험하니 피란할 만합니다."

하고, 항복은 아뢰기를,

"이곳은 두 강(江)이 앞에 있으므로 중국군이 구원하면 적은 반드시 바로 돌아오지 못할 것입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적이 요동을 침범하려 하는데 어찌 소소한 원병(援兵)을 꺼리겠는가. 적이 나오지 않는 것은 두려워서가 아니라 반드시 간사한 계책이 있어서일 것이다."

하니, 신잡이 아뢰기를,

"인심이 차츰 안정되는 까닭은 대가(大駕)가 이곳에 머물고 있어서이니, 가볍게 움직일 수 없습니다."

하고, 또 아뢰기를,

"이 도(道)의 인심이 크게 소란한 까닭은 오직 대가가 요동으로 건너간다는 것 때문입니다. 만일 장전(長奠)으로 간다면 그 중간의 길이 험하고 어려운 것은 돌아볼 겨를도 없겠지만 난에 임하여 강을 건너게 될 때 그곳의 인심 또한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이 말은 지나치다."

하였다. 신잡이 아뢰기를,

"요동을 건너면 필부(匹夫)가 되는 것입니다. 필부로 자처하기를 좋게 여긴다면 이 땅에 있더라도 피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고, 성중은 아뢰기를,

"요동으로 건너간 뒤에 중국에서 적을 막지 못하여 그들과 화친(和親)한다면 뜻밖의 변고가 없지 않을 것입니다."

하고, 신잡은 아뢰기를,

"여기 있는 군신(群臣)들이 누군들 국가를 위하여 죽으려는 마음이 있지 않겠습니까? 대가가 우리 땅에 머물러 계신다면 거의 일푼의 희망이라도 있지만 일단 요동으로 건너가면 통역(通譯)하는 무리들도 반드시 복종하지 않을 것은 물론, 곳곳의 의병들도 모두 믿을 수가 없게 될 것입니다. 제장(諸將)들은 패배를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대가가 요동으로 건너가는 것만을 두려워합니다."

하였다. 군신들이 차례로 나갔다. 신잡이 나가려 하자, 상이 만류하면서 이르기를,

"경의 말과 같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는가?"

하니, 신잡이 아뢰기를,

"의당 전진하여 수습할 계책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오늘의 형세로 보건대 정주(定州)에는 결코 갈 수가 없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4책 29권 2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524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 / 왕실-행행(行幸)

    ○己丑/上御行宮東軒, 引見備邊司堂上。 【尹斗壽、韓應寅、李恒福、李誠中、李德馨、承旨柳根、注書康昱ㆍ具思孟ㆍ申磼同入侍】 上曰: "賊勢如何?" 斗壽曰: "戰士有有進無退之心, 庶可爲矣。" 上曰: "必得良將, 然後可戰。" 恒福曰: "祖承訓可請而來。" 誠中曰: "臣請承訓楊總兵處, 則曰: ‘吾方論功罪而賞罰之。’ 云其言似爲嚴厲。" 上曰: "楊總兵何如人耶?" 誠中曰: "前日致謝於楊總兵曰: ‘小邦無福, 乃至於敗。’ 總兵答曰: ‘天朝將領不嚴, 以至此耳。’ 眞大度之人也。" 上曰: "旣奉聖旨而來, 若因一敗, 撤兵送去, 則我國之事, 固不足恤, 而皇威虧損, 不可使聞於四夷也。" 斗壽曰: "此賊不可以大軍對陣相戰。 必抄兵掠其散卒, 然後可勝矣。" 申磼曰: "臣見李薲, 以臣弟申砬申硈之敗, 爲之言曰: ‘吾則欲多數分兵, 隱伏險阻, 掩殺出來之賊也。’" 上曰: "今若蹉跌, 則無乃有難處之事乎?" 曰: "寧邊近處, 尙不知大駕所駐之處, 訛言傳播, 況如江原黃海等道耶? 雖由路梗, 不能前進, 駐此一方, 悉不能通號令也。" 上曰: "若不幸賊勢充斥, 則將何以爲之?" 斗壽曰: "可往水上。" 申磼曰: "當今只有渡、航海、水上三策而已。 天朝只許長奠堡接留, 渡則決不可爲也。 宜往定州觀變, 或航海或往水上, 隨便處之可也。" 德馨曰: "水上似危, 海路爲當。" 上曰: "雖欲航海, 將焉往? 吾之所往, 賊亦往。" 斗壽曰: "江界路險, 避亂則可。" 恒福曰: "此處兩江在前, 天兵爲援, 賊必不直來矣。" 上曰: "賊且欲犯, 豈憚小小援兵乎? 賊之所不出者, 非畏也, 必有奸謀。" 曰: "人心之所以稍定者, 只爲大駕駐此, 不可輕動也。" 且曰: "此道人心所以大亂者, 惟以渡也。 若往長奠, 則其中間關之事, 雖不暇顧, 而當臨亂渡江之時, 此處人心, 亦難測也。" 上曰: "此言過矣。" 曰: "渡將爲匹夫。 以匹夫甘心自處, 則雖在此地, 亦可避亂也。" 誠中曰: "渡後, 天朝人不能拒賊, 與之和親, 則不無意外之變。" 曰: "在此群臣, 孰不有死國之心乎? 大駕駐此吾土則庶有一分之望, 若一渡, 則舌官輩亦未必服從, 處處義兵, 皆不可恃也。 諸將不以敗軍爲懼, 惟以渡爲懼也。" 群臣以次出。 將出, 上止之曰: "如卿言, 未知何如則可?" 曰: "當爲前進, 以思收拾之策也。" 上曰: "以今日之勢觀之, 定州決不可往。"


    • 【태백산사고본】 14책 29권 2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524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 / 왕실-행행(行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