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23권, 선조 22년 12월 14일 정해 1번째기사 1589년 명 만력(萬曆) 17년

전라 유생 정암수 등이 이산해·정언신·정인홍·유성룡 등을 지척하는 상소를 올리다

전라도 유생(儒生) 정암수(丁巖壽) 등이 소(疏)를 올리기를,

"신 등이 성대(盛代)에 나서 함께 성화(聖化)를 받아 오다가 뜻밖에 역적이 이 지방에서 발생하였으므로 서로 마음이 아프고 뼈가 깎이는 듯합니다. 선견(先見)의 지혜로 청토(請討)058) 하는 소장(疏章)을 미리 올리지 못하고 오랫동안 흉도(兇徒)로 하여금 몰래 결탁하고 널리 만연하게 하여 오늘날의 변을 야기시키게 한 것이 유감스럽습니다. 다행히 천지(天地)와 묘사(廟社)의 묵우(默佑)를 힘입어 괴수가 복주(伏誅)되고 많은 도당이 체포되었는데, 아직도 대간(大姦)이 직위에 있고 강호(强豪)가 법망(法網)에서 벗어나, 인심이 의구(疑懼)하고 사설(邪說)이 자행(恣行)되는 실정입니다. 신 등이 변을 들은 처음부터 이를 속히 진달(陳達)하고 싶었으나 감히 본분을 넘어 번거로이 말할 수 없어 조정의 처리만을 기다린 지가 지금 한 달이 넘었는데도 아직까지 소청(掃淸)되지 못하여 정난(靖難)을 기약할 수 없고 그 후환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신 등은 모든 서적을 두루 살펴보아 안위(安危)의 기미(幾微)를 약간 짐작하는 터인데 어찌 끝내 본분에 어긋난다는 경계만으로 입을 다물어, 우리 임금께서 선비를 양육하신 은혜를 저버릴 수 있겠습니까.

아, 사람의 천성(天性)은 본시 선(善)한 것이므로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것은 사람의 상정(常情)입니다. 성인(聖人)이 만민(萬民)을 감복시키고 윤기(倫紀)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딴 도리가 없고 다만 호오(好惡)의 바름을 밝히고 추향(趨向)의 방향을 정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 본심을 상실치 않도록 한 뒤에야 윤기가 서고 국맥(國脈)이 유지되었던 것입니다. 세도(世道)가 쇠미(衰微)하고 윤기가 해이해져도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기지 않고, 언행이 바르지 않아도 세상이 미워하지 아니하여, 하늘이 위에서 노하고 풍속이 아래에서 퇴패되어, 난신 적자(亂臣賊子)가 뒤를 이어 일어나니 이런데도 나라가 보존되는 것은 요행일 뿐입니다. 오늘날의 걱정거리는 인심이 바르지 못하고 사설(邪說)이 종식되지 않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습니다. 간인(姦人)이 국권과 요직을 절취(竊取)한 뒤로 충현(忠賢)을 마구 밀어뜨리고 사당(私黨)을 널리 확장하여, 그 모계(謀計)는 국가를 위하는 것이 아니고 진퇴(進退)를 현부(賢否)에 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자기 집을 이롭게 하고 직위를 보존할 수만 있다면, 그 마음과 행동이 도척(盜跖)이나 장교(莊蹻)와 같아도 끌어다가 응원을 삼을 뿐 임금을 망각하고 나라를 병들게 하는 것은 걱정하지 않으니, 이는 비록 온 조정이 다 모역했다고는 할 수 없으나 그 적괴(賊魁)를 존경하여 성세(聲勢)로써 서로 의지하는 것을 보면 ‘역당(逆黨)’이라 해도 그 죄를 벗어나지 못할 것입니다. 더욱이 시종 역적을 두호하고 조정을 방자히 저버리면서 혹은 지극한 음(陰)이 기회를 노리기를 마치 수척한 돼지가 날뛰려는 생각을 하는 것과 같음이겠습니까.059)

신들이 듣고 보았던 바를 죄다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산해(李山海)는 본시 음휼한 자질로 부시(婦寺)의 태도를 외식(外飾)하여 성상(聖上)을 속여 온 지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요즈음 역적과의 상면(相面)이 비록 드문 편이나, 그 간담(肝膽)이 서로 맞아 교의(交誼)가 깊다는 것은 사람들이 다 보아온 터이니 어찌 엄폐할 수 있겠습니까. 또 적신(賊臣)의 집에서 문서를 수색해 낼 때 익산 군수(益山郡守) 김영남(金穎男)이산해 등의 수필(手筆)을 남몰래 찾아내어 소각시킨 뒤에 이산해에게 편지를 보내 걱정하지 말라 하였고, 이발(李潑)은 자신이 여립심교(心交)060) 하였다 하여 궐하(闕下)에 대죄(待罪)하려고 멀리 산해에게 문의하니, 산해는 경솔히 움직일 필요가 없다고 답하였습니다. 아, 이미 역적과 더불어 순치(唇齒)가 되었고 반형(叛形)이 이미 드러난 뒤에도 대죄하려 하지 않았으니, 다시 무어라 하겠습니까. 여기서 더욱 그 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적변(賊變)이 보고된 처음에 이산해정언신 등이 국가를 걱정하지 않고 다만 화(禍)가 사당(私黨)에 미칠까 염려하여 포적사(捕賊使)에게 말하기를 ‘지금 해서(海西)에 이이(李珥)의 제자가 많은데 감사(監司)는 식견이 없고, 수령 중에 서인(西人)이 많다. 반드시 무고(誣告)하고 얽어 매어 조정의 진신(搢紳)들을 모함하려는 계략을 만날 것이니 공(公) 등은 이를 잘 처리하라.’ 하였습니다. 무부(武夫)는 천한 관원이라 군명(君命)의 지중(至重)함을 알지 못하고, 다만 권신(權臣)의 지휘만을 듣고 전주(全州)에 도착하던 날에 여립의 소재를 자주 물으면서 종을 울리고 군사를 뽑아 역적의 부내(府內) 옛 집부터 수색한 뒤에야 거주하는 촌사(村舍)를 포위함으로써 그가 도피할 수 있게 하여, 끝내 도하(都下)061) 까지 압송하여 나라의 전형(典刑)을 보이지 못하였으니, 어찌 통탄을 금할 수 있겠습니까. 여당(餘黨)을 국문할 적에도 서로 두호하고 엄폐하기를 정언신처럼 하고 홀로 그 죄를 벗어나 구차히 그 직위를 보전하였습니다. 성상의 호선 오악(好善惡惡)을 쉬 헤아릴 수 없으나, 죄는 같은데 벌이 다르니, 혹 왕법(王法)이 흔들릴까 염려됩니다.

아, 옛적에 간인(姦人)들이 불궤(不軌)를 무고한 자가 있었지만 이는 다 임금이 어리어 혼암했던 세대를 이용하고, 환관 궁첩(宦官宮妾)들의 세력을 힘입어 이루어졌던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성상이 임어하시어 궁금(宮禁)이 엄숙하여 어디에 빌붙어 무함할 길이 없고, 한준(韓準)·박충간(朴忠侃) 등 역시 시배(時輩)들이 미워하는 대상이 아니니, 그들이 유감을 품고 화를 좋아하여 조정의 진신(搢紳)을 일망 타진하려 하지 않았음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전 현감 나사침(羅士忱)은 그 아들 덕명(德明)·덕준(德峻) 등이 평소 여립과 교분이 매우 깊었다 하여 화(禍)가 자기에게 미칠까 두려워하여 아들을 구출하면서 ‘무고하는 사례가 어느 세대인들 없었겠는가.’ 하였으니, 그 소행은 정언신과 꼭 같아 신 등이 통분을 금할 수 없습니다. 지난 해 가을에 덕준 형제가 한성시(漢城試)를 보러 갔다가 여립을 찾아 보자, 여립이 말하기를 ‘그대들은 훌륭한 재주를 가지고 어찌 쇠미(衰微)한 세대에 시험을 보려 하는가. 앞으로 몇 해만 지나면 반드시 태평 성대를 보게 될 터이니, 그대들은 아직 기다리라.’ 하였습니다. 덕준이 과장(科場)에서 남의 손을 빌어 응시한 일로 죄를 받게 되자, 덕윤(德潤)이 분개해 하면서 ‘장자(長者)062) 의 가르침을 듣지 않다가 이같은 환(患)을 당했다.’ 하였는데, 지금 그 아비의 말이 또 그러하니, 그들이 역적의 교우(交友)가 되었음은 너무도 뚜렷하여 엄폐할 수 없습니다. 또한 신 등이 역적의 사건에 대해 소(疏)를 올리려 한다는 말을 듣고 덕윤이 자기 부자(父子)에 관한 말이 소에 언급될까 염려하여 그 아우 덕헌(德憲) 등을 많은 선비가 모인 공석에 보내 난동을 부리고 욕을 마구하여 진소(陳疏)를 저지시키려 하였습니다. 그들이 만약 조정에 있는 여당(餘黨)을 믿지 않는다면, 그 패역(悖逆)이 어찌 여기까지 이르렀겠습니까.

또한 정인홍(鄭仁弘)정여립과의 정의가 매우 돈독하여 마치 한 몸과 같은 사이입니다. 그러므로 인홍으로 하여금 여립의 여당을 보호하여 지방의 이론(異論)을 수습해서 후일의 시비를 혼동시킬 목적으로 감히 전주 제독(全州提督)에 주의(注擬)하자, 전형(銓衡)을 맡은 자가 여립을 위하는 일에 적극 힘을 다하였으니, 그 계략이 어찌 교묘하지 않습니까. 신 등은 이 고장에서 생장하여 여립의 평소 심술(心術)과 처사를 듣고 보아온 지가 이미 오래입니다. 비록 그 역모는 알지 못하였으나, 탐폭(貪暴)을 일삼고 이익을 좋아하는 등 궁흉 극악(窮兇極惡)한 양상에 대해 말하자면 입이 더러워지고 보자면 눈이 욕되므로, 선비로서 약간의 식견만 가졌다면 아무리 향리(鄕里)의 친구 사이였어도 모두 여지없이 나무라고 미워하여 왔습니다. 여립도 고장에서 용납되지 못할 것을 알고서 산을 유람한다 핑계하고 많은 요승(妖僧)·이류(異類)들을 거느리고는 해서(海西)·영남 등을 횡행하며 몰래 무뢰배들과 결탁했을 뿐 아니라 소위 글을 읽는다 하는 자들과도 수 없이 친교를 맺었습니다. 지금 그의 사우(死友)들이 다 역모에 참여했다고 하지는 못하더라도 시종 동아리지어 그의 흉추(兇醜)를 엄호하다가 결국 호선 오악(好善惡惡)하는 본심까지 상실하게 된다고 한다면, 어찌 가까운 시일에 역적의 무리로 화하지 않겠습니까. 처음부터 그 역상(逆狀)을 알지 못하고 있다가 늦게야 교우(交友)에 신중하지 못하였던 것을 스스로 뉘우치는 자는 오히려 용서할 수 있지만, 전날의 친절을 숨기고 일체 상종하지 않았다 하여 저 한효순(韓孝純)·이정립(李廷立)처럼 사실을 속이고 교묘하게 모면하려 한다면 그 심술의 소재가 끝내 의심스럽습니다.

전 현감 정개청(鄭介淸)은 오랫 동안 여립과 교우가 친밀하여 온갖 사설(邪說)에 서로 호응한 자입니다. 여립은 일찍이 말하기를, ‘남자는 양(陽)에 속하여 여자와 같지 않으니, 누구를 섬긴들 임금이 아니겠는가. 소위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것은 왕촉(王觸)의 일시적인 말이고 성현의 통론(通論)은 아니다.’ 하였고, 정개청은 일찍이 배절의설(排節義說)063) 을 만들어 후배나 제자들을 현혹시키니, 사람들이 하는 말이 ‘그 폐단이 반드시 간귀(姦宄)를 야기시켜 마침내 나라를 망치고야 말 것이다.’ 하였습니다. 아, 성인이 《춘추(春秋)》《강목(綱目)》을 저술할 때 절의를 매우 소중하게 여겼는데, 지금 정개청은 글을 읽는 데 힘써 유민(流民) 출신으로 사대부의 서열에 참여한 뒤에는 감히 터무니없는 말을 마구 만들어 스스로 역란(逆亂)의 길에 빠졌으니, 군친(君親)을 망각하고 버리는 마음이 뚜렷합니다. 진주(晉州)유종지(柳宗智)여립과의 상종이 각별하여, 산중에서 서로 회합할 때 그의 제자 양형(梁泂)만이 그 뜻을 알아서 편지를 전달하여 보고난 뒤에 즉시 소각시켜 버렸다고 합니다. 그 편지의 왕복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지난번에 이들 몇 사람이 한 고을의 선비를 창솔하여 과거에 응시하지 말라고 하면서 ‘장차 망하는 나라에 응시해서 무엇하겠는가.’ 하였으니, 이것이 어찌 신자(臣子)로서 차마 할 말이겠습니까. 아, 고인(古人)이 과거(科擧)에만 치중하면 구도(求道)하려는 의지(意志)를 빼앗긴다고 경계는 하였지만, 군중을 창솔하여 과거에 응시하지 말라고 하지는 않았는데, 유종지의 그 의론은 과연 무슨 속셈입니까.

아, 국가는 큰 기구(器具)이고 모역(謀逆)은 큰 악입니다. 큰 악으로 큰 기구를 엿보는 것은 일조 일석의 일이 아닙니다. 역적 여립은 온 서책을 관통하여 자기의 성패(成敗)를 헤아린 자입니다. 어찌 감히 품계 낮은 벼슬아치로서 하찮은 도당들만을 얽어 매어 나라를 도모하려는 계책을 세웠겠습니까. 혹은 농락 또는 음모로써 형세를 배치하여 그 전략이 매우 치밀하였고, 또 일대(一代)의 인심이 모두 정상(正常)을 상실하여 사설(邪說)이 널리 세상에 횡행하도록 만든 뒤에야 그 흉계를 부릴 수 있다고 생각하여 세월을 지연시켜 왔었습니다. 내부에는 정언신(鄭彦信)이 있어 오랫 동안 병권(兵權)을 장악하고 많은 무사(武士)들과 결탁하는 한편, 정언지·권극례(權克禮)·권극지(權克智) 등과 더불어 친구가 되고 요로를 차지하여 상호 주선하였으며, 안으로는 쓸데없는 역사(役事)를 일으켜 사섬시(司贍寺)의 재화(財貨)를 소비하고 밖으로는 수송해 온 곡식을 풀어 사사로이 은혜를 베푸는가 하면, 북호(北胡)가 변방에 침투하여 도둑질을 일삼는데 그들에게 땅을 떼주는 문권(文券)을 마음대로 만들어 주었고, 이일(李鎰)이 명을 받아 변방으로 나가는데 사사로이 검(劍)을 끌러 주었으니, 이미 임금을 무시하는 마음을 가진 것입니다. 녹둔(鹿屯)을 설치하여 한 지방에 해를 끼쳤고 추쇄(推刷)를 거행하여 제도(諸道)의 원성을 일으켰으니 나라를 좀먹고 백성을 동요시킨 바가 일체 오피(伍被)가 회남왕(淮南王)을 위한 계책064) 과 같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지목해 온 지가 이미 오래되었기 때문에, 전번에 조헌(趙憲)이 이를 사전에 간파하고 충성을 다해 극언(極言)하자, 삼사(三司)가 동시에 일어나 군부(君父)를 협제(脅制)하여 마침내 먼 지역에 찬배(竄配)시켜 사람들의 입을 막으려는 계략을 삼았습니다. 여립의 역모가 누설되어 선전관(宣傳官)을 파견하였을 때 천위(天威)065) 와 가까운 자리에서 입을 삐죽거리며 비웃고, 함께 추국(推鞫)하여 안험(安驗)066) 할 때 사당(私黨)에 관련되는 말이 나오자 급히 그 사람의 입을 쳐서 모진 매로 즉살(卽殺)하였으나 이를 감히 핵실하는 자가 없었으니, 전하의 신하 중 거기에 따르지 않은 사람이 몇이나 되겠습니까. 고인(古人)의 말에 ‘양민(良民)으로서 도적을 감싸 주는 자도 역시 도적이다.’ 하였는데, 신 등도 신하로서 역당(逆黨)을 두호하는 자는 다 역당으로 간주합니다.

또한 군부(君父)를 속이는 자는 으레 해당되는 율(律)이 정해져 있습니다. 저번에 권극례(權克禮)정언신이 젊었을 때 장람죄(贓濫罪)를 범한 사실을 환히 알고도 회계(會計)에 철저히 하라는 명을 즉석에서 어겼습니다. 그러나 당시에 그 죄를 밝혀 교정하지 못하여 식견있는 이가 많이 걱정하였습니다. 이번에 정언신이 감히 자신을 철저히 속였는데, 공론(公論)이 약간 일어나려다가 그만 중지되고 왕법(王法)을 의당 거행하여야 하는데도 지금까지 지연하고 있으니, 군부를 기만한 죄를 징계하지 않고 기강을 진작시키지 못하면 장차 국가를 다스릴 방법이 없을까 두렵습니다. 정언신의 관직이 삭탈되자 무사(武士)들이 듣고 저마다 한숨을 짓고 개탄하며 의뢰할 곳이라도 잃은 듯하였는데, 부도(不道)한 정언신이 그처럼 무사(武士)들의 인심을 얻었다면 어찌 큰 후환이 아니겠습니까. 더욱이 요즘 변방의 수비가 더욱 우려되고 있는데, 이들이 마구 날뛰어 문관(文官)을 제압하고 위세를 드날리는 실정이겠습니까. 이일(李鎰)은 본시 정언신의 조아(爪牙)로 남북(南北)에서 기염을 부리던 자입니다. 처음 호번(湖藩)에 있으면서 외람되이 편비(褊裨)의 보강을 청하였는데 이번의 변을 듣고 항상 스스로 불안해 하니, 이일의 속셈을 누가 알겠습니까. 미연에 방지하여 잘 처리하는 것이 국가의 복입니다.

아, 왕망(王莽)이 거짓으로 겸공(謙恭)한 체하고 조조(曹操)가 으레 천자(天子)를 앞세웠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이 모두 거기에 속았는데 이는 혹 그럴 수도 있는 일입니다. 지금 여립은 처음에는 비록 글 읽는 선비로 알려졌으나 뒤에 온갖 악행이 다 갖추어지자 성주(聖主)만이 그를 배척하였고, 여러 신하들은 그와 한 당파가 되어 혹 정직한 사람이 감히 그의 잘못을 말하면 여러 사람이 함께 밀어뜨리고 무함하여 그의 의사에 부회(傅會)하였습니다. 역모가 이미 탄로되어 국세(國勢)가 더욱 위태롭게 되어서는 사사로이 서로 엄폐하여 못하는 짓이 없었으니, 오늘날과 같은 인심(人心)은 오래전부터 점차 길들여져 왔던 것입니다. 당파를 마음대로 한 뒤로부터는 당파만 알고 군부(君父)를 알지 못했기 때문에 계미년067) 에 삼사(三司)가 몇 사람의 현인(賢人)들을 공격하여 오래도록 윤허를 얻지 못하고 있을 때 한 대신(臺臣)이 ‘지금 상께서 걱정이 심하여 언짢아하시는 기색이 있으니, 우선은 논계(論啓)를 중지하는 것이 어떤가?’ 하자, 홍여순(洪汝淳)이 ‘지금같은 시기에는 사직(社稷)이 소중하다.’ 하므로 동료(同僚)들이 고개를 떨구며 손을 흔들었고 중외(中外)가 모두 이를 갈며 속을 썩혔으나, 홍여순의 무군 부도(無君不道)한 죄를 한 사람도 탄핵 토벌을 청하는 자가 없었으니, 군신(君臣)의 의리가 거의 없어졌던 것입니다.

아, 시역(弑逆)의 죄는 사람마다 분노해 하는 바인데, 요즘 호남에 하인이 상전을 살해하여 그 정상이 이미 드러났는데도 감사(監司) 유영립(柳永立)·추관(推官) 김우굉(金宇宏) 등이 뇌물을 받고 석방해 주었으니, 이는 관직이 있는 자가 악을 미워하는 마음이 없어 강상(綱常)이 무너진 것입니다. 조정(朝廷)의 청탁(淸濁)은 시대의 승강(升降)에 관계되는데, 요즘에 이양원(李陽元)·윤의중(尹毅中)·윤탁연(尹卓然)의 무리가 높은 직위에 있으면서 날마다 이익을 추구하고 악행만을 좋아하여 청탁이 끊이지 않으니, 이는 조정에 있는 자가 그지없는 욕심을 부려 염치가 없어진 것입니다. 모든 인심이 그러하기 때문에 나라에 변란이 있어도 항상 사당(私黨)만을 생각하여, 충의(忠義)에 항쟁하는 선비가 있으면 기어이 논척(論斥)하게 합니다. 계미년의 진소(陳疏)는 딴 사람의 사주를 받았다 하고, 정해년068) 의 봉장(封章)은 난민(亂民)으로 지목하였다가 다행히 성상의 보호를 입어 군흉(群兇)들의 참벌(斬伐)을 모면하였습니다. 그러나 시배(時輩)의 자제들이 학궁(學宮)069) 에 마구 모여 붕간(朋姦)과 실없는 논의로 한세상을 어지럽히고 허풍과 공갈로 서로 을러대어 정기(正氣)를 좌절시키므로 수년 사이에 점차 말을 조심하여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직언(直言)하는 이가 없게 되었습니다.

이 세상을 둘러보면 모두가 서로 멸망의 길로 들어가는데, 성주(聖主)께서 배양하신 학맥(學脈)이 아직도 심후(深厚)하기 때문에 양천회(梁千會)·백유함(白惟諴) 등이 이어서 충언(忠言)을 올려 모두 가납되었고, 직언으로 찬적(竄謫)되었던 자들도 방면(放免)되었으며, 간녕(奸佞)을 통찰하고 충현(忠賢)을 불러들여 직언을 구하시는 교지(敎旨)의 뜻이 간절하기 때문에 사기가 다시 진작되고 국세가 점차 신장되어 온 나라가 함께 유신(惟新)을 갈망하니, 어찌 전하께서 성찰하고 근면하여 앞으로 큰 사업을 이룩할 시기가 아니겠습니까. 전번에 국사를 그르쳐 나라를 팔려다가 기밀이 탄로난 자의 죄상이 이미 드러났으니 전하께서도 그 정상을 환히 알고 계실 것입니다. 김응남(金應南)은 남몰래 모의를 주관하면서 외부로는 모르는 체 겸손을 가장하고 내부로는 시기가 심하여 현인을 헤치고 당파를 만드는 등 그 죄가 가장 무거운데, 성상께서 이를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린 양(陽)은 매우 미약하고 쌓인 음(陰)은 해소시키기 어려우니 전하께서 금니의 경계[金柅之戒]070) 에 밝지 못하시면 뒤에 반드시 박상의 환[剝狀之患]071) 이 있을 것입니다.

유성룡(柳成龍)은 소위 사류(士類)로 일신(一身)에 큰 명망을 차지하고 시론(時論)을 주관하면서 남의 말을 교묘히 피합니다. 이전의 일은 추구(推究)할 필요가 없으나, 요즘 국사가 날로 위태로워지는 것을 보고도 사당(邪黨)을 배치시킬 뿐, 충현을 끌어들여 지난번의 과오를 고치는 계책으로 삼겠다는 한 마디의 말도 없으며, 도리어 우성전(禹性傳)이산해·김응남(金應南) 등의 기세를 꺾으려 한다 하여 옛 친구를 배반하고 새 붕당에 구합(苟合)하며, 매번 역적을 위하여 부회(傅會)와 찬양으로 온갖 정태(情態)를 써서 그를 끌어들여 우익을 삼으려고 천의(天意)072) 를 탐지하고 병관(兵官)에 주의하여 낙점까지 받았으나, 그 때 마침 조헌(趙憲)의 소가 올라와 취임시키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그가 만약 병정(兵政)을 차지하여 흉모를 재촉하였다면 당당한 국가야 아무런 걱정이 없겠지만, 혈전(血戰)에 임한 군사들이야 어찌 조그마한 손해 뿐이겠습니까. 유성룡은 진실로 역모에 가담한 사람은 아니지만, 지금 만약 반성해 본다면 태양 아래서 어떻게 낯을 들고 살 수 있겠습니까.

역적과의 심계(心契)가 가장 친밀한 자들로는, 송언신(宋言愼)은 역적에게 심중(心中)을 숨기지 않았고, 윤기신(尹起莘)은 앞장 서서 아첨을 부렸고, 남언경(南彦經)은 선물에 찬양까지 곁들였고, 이언길(李彦吉)은 목재를 수송해다가 집을 지어 주었고, 조대중(曹大中)은 역적을 위해 눈물을 흘렸고, 김홍미(金弘微)는 반드시 이진길(李震吉)의 집에서 유숙하였고, 이홍로(李弘老)여립의 적삼[杉]을 자랑삼아 입었습니다. 이상은 다 역적의 집에 드나들면서 사의(邪議)를 선동한 자들로 시골 사람의 사귐에 비할 바가 아니고, 이순인(李純仁)·유몽정(柳夢井)의 무리는 하찮아서 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이는 모두 신 등이 다같이 알고 있는 사실로, 평소 침 뱉고 비루하게 여겨 온 바인데, 전하께서도 들으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아, 삼강 오상(三綱五常)은 천지의 상경(常經)이고 고금의 공통된 의리입니다. 그 조목은 다르나 그 이치는 한 가지이므로, 행실이 불효(不孝)한 자는 임금을 범하게 되고 사귐이 불신(不信)한 자는 반드시 불충(不忠)하게 됩니다. 지금 여립에게 불효·불충한 행실이 있는데도, 권세를 탐내어 흉사(兇邪)를 일삼는 무리와 이익을 함께하는 붕당이 되어 상호 결탁하여 오늘날의 변을 만들어 낸 것입니다. 이 때문에 임금이 사람을 쓰고 버리는 데에는 반드시 소행(素行)이 선악(善惡)과 교유(交遊)의 현부(賢否)부터 먼저 살펴서 진퇴시킨 뒤에야 어진이가 서로 끌어들이는 길(吉)함이 있고 당파를 만들거나 권세를 농단하는 자들이 저절로 종식될 것입니다.

대체로 상·벌(賞罰)은 천하의 공동의 것으로, 임금도 사정(私情)을 둘 수 없습니다. 선유(先儒)의 말에 ‘요(堯)·순(舜)을 임금으로 삼고 고요(皐陶)를 신하로 삼더라도 상벌이 분명하지 못하면 나라가 나라의 구실을 할 수 없다.’ 하였는데 오늘날의 상벌은 과연 적절하다 할 수 있겠습니까. 너무 급박하면 원기(元氣)를 손상하고 너무 느리면 기율(紀律)을 방해할 염려가 있습니다. 전하께서 애틋한 마음을 두터이 하시고 또 적절한 형(刑)을 사용하시어, 죄 없는 자가 횡액에 걸리는 억울함이 없게 하고 죄 있는 자가 요행히 벗어나는 길이 없게 하신다면 백성들이 서로 권계(權戒)할 줄을 알아서 나라가 거의 다스려지게 될 것입니다. 아, 임금의 마음은 치도(治道)를 내는 근원이니 임금의 마음이 한번 정하여지면 나라가 안정되는 것입니다. 전하께서 사당(私黨)을 만들어 공론을 폐지하는 것을 모르시는 바가 아니고 현류(賢類)가 충심(忠心)을 가져 국가를 걱정한다는 사실을 모르시는 바가 아니나, 사람을 쓰고 버리는 일이 상반(相反)되어 그른 사람을 믿고 의지하시니, 나라 사람들이 저마다 ‘전하께서 사·정(邪正)의 소재를 잘 아시면서도 저들의 무리를 모조리 버리지 못하여 그 당원(黨援)이 이미 이루어지고 주세(主勢)가 날로 고립되었으니, 아무리 이를 전환시키려 하나 이제는 어찌할 수 없다.’ 합니다. 그리하여 나라 사람들이 모두 시세(時勢)가 있는 곳을 그들이 나아갈 방향으로 삼고,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본심을 더 이상 지키려 하지 않으니, 전하께서 이 까닭을 소급해서 생각하신다면 어찌 스스로 반성하여 깊이 뉘우치지 않겠습니까.

아, 전날을 잊지 않는 것은 후일의 교훈이 되기 때문입니다. 송(宋)나라원부(元符)073) 초기에 비록 진관(陳瓘)·추호(鄒浩) 등 제현(諸賢)을 기용하였으나 간인(姦人)을 물리치기를 멀리하지 않아 훈유(薰蕕)074) 를 한 그릇에 두었다가 마침내 군자는 날로 물러가고 소인은 한꺼번에 진출하여 정강(靖康) 시대의 화(禍)075) 를 빚었습니다. 지금 아무리 많은 현자를 기용하고 여러 간인을 물리친다 하더라도 덕을 지킴이 확고하지 않아 참소가 혹 편승한다면, 전하의 오늘날 마음이 시종 한결같기를 보장하기 어려울까 합니다. 아, 탁란(濁亂)이 지난 뒤에 폐정(弊政)이 날로 불어나고 기근을 겪은 뒤에 굶주려 죽는 사람이 속출하여, 변방에는 근심이 많고 국내에는 도적이 발생하며 수령이 탐잔(貪殘)하여 부역이 번중(煩重)합니다.

오늘날의 일에 대해 말할 것이 진실로 많으나, 본(本)이 다스려지지 않았는데 말(末)이 다스려지는 일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신 등의 진달(陳達)이 거기까지 언급할 겨를이 없으니, 삼가 바라건대 전하께서는 호·오(好惡)의 근본부터 먼저 바루고, 진퇴시키는 즈음을 자세히 살펴, 상벌에 적당함을 얻고 시비에 알력이 없으며, 난관(難關)을 징계하고 정신을 가다듬어 백성을 기르고 어진이를 부르며, 충신·효자를 장려하여 세교(世敎)를 펴고, 은일(隱逸)한 재지(才智)와 준걸(俊傑)을 찾아 조정에 배치하여 학교의 행정을 증수(增修)하고 도학(道學)의 선비를 흥기(興起)시키소서. 그리고 날로 유신(儒臣)을 접촉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도를 자문하여, 백성을 보전하는 도와 변방을 편안케 하는 계책을 내외로 함께 닦고 상하(上下)가 태만함이 없으며, 어진이를 임용하는 데 의심치 아니하여 능히 군사(君師)의 임무를 다하고, 근본을 견고하게 할 것을 깊이 생각하여 사설(邪詋)이 종식되어 인심이 바루어지며 삼강(三綱)이 확립되어 대법(大法)이 전개되도록 하신다면, 많은 난관이 도리어 나라를 일으킬 수 있는 기회로 오늘날에 들어맞아 아마도 천명(天命)이 만세토록 다함이 없을 것이니, 이는 종사(宗社)의 큰 다행일까 합니다."

하였다. 이 소(疏)를 올리자 상이 즉시 이산해·유성룡을 인견하여 위유(慰諭)하고 이어 전교하기를,

"진사(進士) 정암수(丁巖壽)·박천정(朴天挺)·박대붕(朴大鵬)·임윤성(任尹聖)·김승서(金承緖)·양산룡(梁山龍)·이경남(李慶男)·김응회(金應會)·유사경(柳思敬)·유영(柳瑛) 등이 국가의 역변(逆變)을 이용하여 감히 무함하는 술책을 써서 근거 없는 말을 날조하고 사휼(邪譎)의 소(疏)를 올려 현상 명경(賢相名卿)을 모조리 지척(指斥)하여 온 나라가 텅 빈 뒤에야 그만두려고 하니, 그 속셈을 따져 보면 장차 어찌하려는 것인가. 그 흉참(兇摻)한 양상이 더욱 해괴하다. 이는 반드시 간인(奸人)의 사주를 받은 것이 단연 의심이 없으니, 잡아들여 추국하고 율에 따라 죄를 적용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2책 23권 23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467면
  • 【분류】
    정론-정론(政論) / 변란-정변(政變) / 사법-탄핵(彈劾) / 사법-행형(行刑)

  • [註 058]
    청토(請討) : 역적 토벌을 청함.
  • [註 059]
    지극한 음(陰)이 기회를 노리기를 마치 수척한 돼지가 날뛰려는 생각을 하는 것과 같음이겠습니까. : 신하가 역모를 갖는 것을 뜻함. 《주역(周易)》 구괘(姤卦)의 초육(初六)에 나오는 말로 초육(初六)이 앞으로 나아가 구사(九四)와 응할 경우 아비와 임금을 시해하는 상(象)이 있음.
  • [註 060]
    심교(心交) : 마음의 사귐.
  • [註 061]
    도하(都下) : 서울 지방.
  • [註 062]
    장자(長者) : 정여립을 가리킴.
  • [註 063]
    배절의설(排節義說) : 정개청이 지은 동한절의진송청담설(東漢節義晉宋淸談說)을 말함. 정개청은 본디 서인(西人) 박순(朴淳)의 문인이었으나 박순이 영의정에서 파직되자, 동인(東人) 이발(李潑)·정여립과 교분을 맺음으로써 스승을 배반했다는 비난을 받고는 절의청담변을 지어 자신의 처지를 변명하니, 정철(鄭澈) 등 서인들로부터 배절의론이라는 비난을 얻었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권40.
  • [註 064]
    오피(伍被)가 회남왕(淮南王)을 위한 계책 : 오피는 한(漢)나라 초(楚)땅 사람이고 회남왕은 한 고조(漢高祖)의 자손이자 유장(劉長)의 아들인 유안(劉安). 회남왕이 수많은 천하의 영재를 초치했을 때 오피가 그중에 으뜸을 차지하여 회남왕의 총애를 받았다. 나중에 회남왕이 역모를 꾀할 때 처음에는 말리다가 결국 역모를 도왔다. 나중에 일이 발각되어 회남왕은 자살하고 오피는 복주(伏誅)되었다. 《한서(漢書)》 권44 유안전(劉安傳), 권45 오피전(伍被傳).
  • [註 065]
    천위(天威) : 임금을 뜻함.
  • [註 066]
    안험(安驗) : 자세히 조사하여 증거를 세움.
  • [註 067]
    계미년 : 1583 선조 16년.
  • [註 068]
    정해년 : 1587 선조 20년.
  • [註 069]
    학궁(學宮) : 성균관의 별칭.
  • [註 070]
    금니의 경계[金柅之戒] : 《역경(易經)》 구괘 초육(姤卦初六)의 어린 음(陰)을 경계하라는 것.
  • [註 071]
    박상의 환[剝狀之患] : 《역경》 박괘 육사(剝卦六四)의 군음(群陰)이 일양(一陽)을 침해한다는 것.
  • [註 072]
    천의(天意) : 임금의 의향.
  • [註 073]
    원부(元符) : 송 철종(宋哲宗)의 연호.
  • [註 074]
    훈유(薰蕕) : 향취 나는 풀과 악취 나는 풀.
  • [註 075]
    정강(靖康) 시대의 화(禍) : 정강은 송 흠종(宋欽宗)의 연호. 1126년 1월에 금(金)이 송나라 변경(汴京)을 함락시키고 화친 조건으로 태자와 상황(上皇)·후비(后妃) 등 3천 명을 인질로 잡아가고 태원(太原)·중산(中山)·하간(河間) 세 진(鎭)을 빼앗은 일을 말한다. 《송사(宋史)》 권23·권24.

○丁亥/全羅道儒生丁巖壽等上疏曰:

臣等生逢昭代, 共沐聖化, 不意逆賊近出此方, 相與痛心刻骨。 恨無先機之見, 早進請討之章, 久使兇徒潛結蔓延, 以致今日之變也。 幸賴天地廟社之默祐, 渠魁就戮, 黨與多逮, 而尙有大姦據位, 劇豪漏網, 人心疑懼, 邪說肆行。 臣等自聞變初, 亟欲陳達, 而未敢越俎煩聒, 姑待朝家處置, 今旣有月, 尙未掃淸, 靖亂無期, 遺患愈大。 則臣等歷覽典籍, 粗識安危之機, 豈敢終以出位爲戒, 以負吾君養育之恩乎? 嗚呼! 人性本善, 好善而惡惡, 人之情也。 聖人所以率服人民, 維持倫紀者, 無他焉, 惟其明好惡之正, 而定趨向之方, 使人不失其本心, 然後倫紀立, 而國脈植矣。 及其世衰道微, 綱弛倫斁, 而人不知怪, 行詖說淫, 而世不知惡, 天怒於上, 俗敗於下, 亂臣賊子, 接迹而起, 國之所存者幸也。 則今日之患, 莫大於人心之失其正, 邪說之未得息, 原其本, 蓋有啓之者矣。 一自姦人竊柄樞要, 擠陷忠賢, 廣植私黨, 謀猷非爲國家, 進退不以賢否。 故苟可以利吾家保五位, 則行蹠心蹻, 而引與爲援, 遺君病國, 而莫以爲憂, 是雖非擧朝謀逆, 而觀其崇長魁賊, 聲勢相倚, 則謂之逆黨, 無所逃其罪也。 況有終始營護, 恣相欺負, 而或至陰伺機便, 有類於羸豕孚躑躅者乎? 臣等請隨耳目所及, 極言之。 李山海, 本以陰譎之資, 外飾婦寺之態, 欺誣聖明, 亦已久矣。 近與逆賊, 會面雖罕, 而旰膽所屬文契深密, 十目所視, 其可掩乎? 當搜取賊臣家文書時, 益山郡守金穎男爲之謀出山海等手迹而火之, 然後飛簡於山海, 使之勿慮, 李潑自以汝立心交, 欲待罪闕下, 遠問於山海, 山海答之以不須輕動。 噫! 與逆賊已爲唇齒, 則叛形旣著之後, 不肯待罪, 將復何爲? 於此益見其心矣。 上變之初, 山海彦信等, 不以國家爲虞, 惟恐禍及私黨, 乃語捕賊使曰: "海西多李珥弟子, 而監司無識慮, 守令多西人。 必見誣告, 羅織傾陷朝紳之計也, 公等可善處" 云云。 武夫小官, 不知君命爲重, 但聽權臣指揮, 到全州日, 煩問汝立所在, 動鍾抄軍, 先搜府內舊家, 然後乃圍其所居村舍, 使之避匿, 終不得檻致都下, 明示典刑, 可勝痛哉? 及其鞫餘黨也, 營護壅蔽, 一如彦信, 而獨逭其罪, 苟保厥位。 聖明好惡, 未易窺測, 而罪均罰異, 竊恐王法之有所屈撓也。 嗚呼! 古之姦人, 誣告不軌者, 固有之矣。 是皆乘幼沖昏暗之世, 藉宦官宮妾之勢, 以成之也。 今者聖明臨御, 宮禁肅淸, 固無因緣構隉之路, 而彼韓準朴忠侃亦非時輩所疾, 則其不爲挾憾樂禍, 網打朝紳者明矣。 而前縣監羅士忱, 以其子德明德峻等, 與汝立交契素密, 知禍及己, 譸張其說, 顯然伸救曰: "誣告之事, 何代無之?" 士忱之與彦信等, 若合符節, 臣等不勝痛惋焉。 去年秋, 德峻兄弟, 赴漢城試, 歷省汝立, 汝立曰: "以君等可用之才, 何必應擧衰世? 若過數年, 當見(大)〔太〕 平, 君等且待之。" 及德峻以場中借述被罪, 德潤憤曰: "悔不用長者之敎, 乃遭此患。" 今其父之言, 又如此, 此輩爲逆賊交, 照不可掩。 聞臣等爲逆賊事陳疏, 德潤慮其父子之言及於疏中, 遣其弟德顯德憲等, 作亂于多士公坐, 極其怯辱, 謀沮擧疏。 此輩若不恃其餘黨在朝者, 悖逆安得至此? 如鄭仁弘汝立, 情事甚篤, 合爲一體。 故欲令仁弘保護汝立餘黨, 收拾一方異論, 以眩他日之是非, 乃敢注擬於全州提督, 則秉銓衡者, 力爲汝立地, 其計不亦巧乎? 臣等生長此方, 耳目乎汝立平日處心行事者久矣。 雖未曾識其識逆, 而其貪暴嗜利, 窮兇極惡之狀, 言之汚口, 見之辱目, 故士之稍有知識者, 雖其鄕里親舊, 亦皆極詆深嫉。 汝立知不容一方, 乃遊山爲言, 多率妖僧異類, 橫行海西、嶺南等地, 非但陰結無賴, 至有讀書爲名者, 亦多與爲相先相死之友。 雖不可謂盡參逆, 謀而論其終始締結, 護其兇醜, 以至於失好惡之本心, 則幾何其不胥而爲賊也? 今有初不知逆狀, 而悔不擇交者, 則猶可恕察, 若有掩諱舊好, 謂不相從如韓孝純李廷立之欺明巧免, 則其心所存, 終可疑也。 前縣監鄭介淸, 久與汝立, 交遊親密, 壎箎邪說者也。 汝立嘗謂: "男子陽也, 非如女子, 何事非君? 所謂不事二君者, 乃王蠋一時之言, 非聖賢通論。" 介淸嘗著《排節義》一說, 以惑後生小子。 其言曰: "其弊必使姦宄竝起, 終必至於亡人之國而後已。" 噫! 聖人修《春秋》《綱目》, 莫不以節義爲重, 今介淸勤苦讀書, 發跡流氓, 得列於士大夫之行, 而敢肆無謂之說, 自陷逆亂之歸, 則其遺君後親之心著矣。 晋州 柳宗智, 與汝立相隨, 亦密會合山中, 惟弟子梁泂, 通其意而往來書尺, 見則投火云。 則雖未知其所往復者何事, 而頃年此數人者, 倡一州士, 使不赴擧曰: "將亡之國, 赴擧何爲?" 此豈臣子所忍言乎? 噫! 古人固戒人以奪志者, 未有倡衆以廢擧, 宗智此論, 果何心耶? 嗚呼! 國家大器也, 謀逆大惡也。 以大惡窺大器, 非一朝一夕之故。 逆賊汝立囊橐書史, 料度成敗者。 豈敢以秩卑小官, 徒結草間, 嘯聚以爲圖國之計哉? 必其或以籠駕, 或以陰謀, 布置形勢, 其機至密。 又使一代人心, 皆失其常, 邪說廣行于世, 然後或可逞其兇計, 而冀延歲月矣。 內有鄭彦信, 久握兵權, 多結武士, 與彦智權克禮克智等, 表裏親舊, 根據要津, 互相周旋, 內作無益之役, 虛罄司贍之貨, 外散輓輸之穀, 私施喣嚅之恩, 北胡寇邊, 匪茹而割地, 成券以擅與之。 李鎰受命出塞, 而脫解劍以私遣之, 則已有無君之心也。 鹿屯之設, 貽害一隅, 推刷之擧, 斂怨諸道, 凡所以蠧國搖民者, 無非伍被淮南之畫耳。 人心悶懼, 指目蓋久, 故前日趙憲, 先事有見, 竭忠極言, 而三司齊發, 黨脅君父, 竟竄荒域, 以爲鉗制人口之計。 及其汝立謀洩, 發遣宣傳, 則天威咫尺, 反唇竊笑, 同推按驗, 辭連私黨, 則急擊其口, 嚴杖立殺, 而噤默無敢覈正, 殿下之臣, 其不爲從之者幾人? 古人有言曰: "良民之捍禦盜賊者, 亦盜賊也。" 臣等亦曰: "人臣之營護逆黨者, 皆逆黨也。" 至於欺罔君父, 自有其律。 往者權克禮, 明知彦信在少時贓濫之實, 而面瞞會計之命。 當時未能明正其罪, 識者多以爲憂。 今也彦信敢自厚誣, 公論稍發而還止, 王法當擧而尙稽, 臣等恐欺負不戒, 綱紀未振, 將無以爲國也。 當彦信削官, 武士聞之, 莫不歔欷嘆息, 若無所賴, 以彦信不道, 其得武士心如此, 則豈非遺患之大者乎? 況邇來邊備多聳, 此輩驕橫, 至若摧壓文官, 騁其威勢。 李鎰彦信之(瓜牙)〔爪牙〕 , 而肆氣焰於南北者也。 初帥湖藩, 濫請褊裨, 及聞此變, 常自不安, 之爲心, 知爲誰也? 防微而善處之, 國家之福也。 嗚呼! 詐謙恭, 挾天子, 當世被欺, 或其理也。 今汝立, 雖初名以讀書, 後有衆惡皆備, 聖主獨斥, 群臣黨比, 一有正人, 敢言其非, 則輒群擠衆陷, 以傅其意。 至於逆謀旣露, 國勢益危, 而私相蓋覆, 亦無不至, 今日人心, 其所馴致者漸矣。 一自擅黨之後, 知有其黨, 而不知有君父, 故當癸未三司之攻數賢也, 久未蒙允, 有一臺臣曰: "自上憂念比劇, 有不豫色焉, 姑停論啓何如?" 洪汝諄曰: "當此時, 社稷爲重。" 同僚亦縮頸搖手, 中外莫不腐心切齒, 而彼汝諄無君不道之罪, 無一人擧劾請討, 則君臣之義, 幾乎息矣。 嗚呼! 弑逆之罪, 人所共怒, 而近者湖南有奴殺主者, 情迹已著, 而監司柳永立, 推官金宇宏等, 皆以賄賂釋之。 是在位者無惡惡之心, 而綱常隳矣。 朝廷淸濁, 關時汚隆, 近者李陽元尹毅中尹卓然之徒, 身在崇班, 日事征利, 饕餐是尙, 關節絡繹, 是在朝者, 啓不厭之欲, 而廉恥喪矣。 惟其人心如是, 故國有變亂, 而恒慮私黨, 士抗忠義, 則必使議斥。 癸未陳疏, 謂人指嗾, 丁亥封章, 目以亂民。 幸賴聖上之保全, 得免群兇之斬伐。 而時輩子弟, 聚汚學宮, 朋姦浮議, 誑亂一世, 呀然互嚇, 摧折正氣, 數年之間, 漸至言遜, 則雖有急也, 將無言者。 顧瞻斯世, 殆胥及溺, 而聖主培養學脈猶厚, 梁千會白惟諴繼進忠言, 幷蒙嘉納, 以言被謫者, 亦命放還, 洞照奸佞, 收召忠賢, 求言有敎, 辭旨懇惻, 則士氣復振, 國勢稍長, 惟新之望, 率土攸同, 豈非殿下惕省勉强, 將大有爲之日乎? 雖然前日誤事賣國, 其機不深者, 其罪已露, 殿下亦必灼見其情狀也。 如金應南之陰主謀議, 而外若不知, 陽施謙退, 而內實多猜, 妨賢植黨, 其罪最重, 不識聖明其未之知乎? 穉陽甚微, 積陰難解, 殿下苟不明金柅之戒, 則後必有剝床之患矣。 柳成龍名稱士類, 身負重望, 主張時論, 巧避人言。 從前心事, 未必追咎, 近見國事日危, 邪黨布列, 而無一言及於汲引忠賢, 以爲改弦之計, 反以禹性傳爲欲折山海應南等氣勢, 背其舊要, 苟合新朋, 每爲逆賊, 傅會贊譽, 極其情態, 思欲引用, 以爲羽翼, 試探天意, 卽擬兵官, 至於受點, 適値趙憲疏上, 不得就職。 若覘據兵政, 促其兇謀, 堂堂國家, 雖無可虞, 血戰王師, 豈少所損? 成龍固非與知逆謀者, 今若反顧, 寧能擧顔於天日之下乎? 至如逆賊心契最密者, 則如宋言愼之肝肺無隱, 尹起莘之趨走取媚, 南彦經之賂遺贊詠, 李彦吉之輸材營第, 曺大中之爲賊涕泣, 金弘微之必宿震吉之家, 李弘老之誇着汝立之衫。 若此等輩, 皆嘗出入賊家, 煽亂邪議者, 非鄕曲交游之比, 而如李純仁柳夢井輩, 瑣瑣不足言。 則是皆臣等所共知, 而平日之所唾鄙者, 殿下其亦聞之乎? 嗚呼! 三綱五常, 天地之常經, 古今之通義。 其目雖殊, 其理則一, 故行不孝者, 必犯上, 交不信者, 必不忠。 今汝立有不孝不信之行, 而貪權樂勢, 兇邪無行之徒, 同利爲朋, 互相盤結, 致有今日。 則人君用舍, 必須先審其家行之善惡, 交游之賢否, 而進退之然後, 彙征拔茅之有吉, 而植黨擅權者, 自息矣。 夫賞罰, 天下之公也, 人君之所不得私也。 先儒曰: "以爲君, 以皋陶爲臣, 而賞罰不明, 則國非其國。" 今日之賞罰, 可謂得其當乎? 太急則恐傷元氣, 太緩則有妨紀律。 殿下旣敦欽恤之念, 又用刑中之制, 使無罪者, 免橫罹之冤, 而有罪者, 無幸逭之路, 則民知勸戒, 國庶幾也。 嗚呼! 君心出治之源, 一定君而國定矣。 殿下非不知植私黨廢公議也, 非不知賢類之抱忠懇憂國家也, 然而用舍相反, 倚仗非人, 則國人皆以爲, 殿下非不知邪正之所在, 而一隊流輩, 不能盡棄, 黨援已成, 主勢日孤, 雖欲轉改, 今無如之何也。 於是國人, 皆以時勢所在爲趨向, 而無復守其善善惡惡之本心, 殿下追思致此之由, 豈不自反而深悔之也? 嗚呼! 前日之不忘, 後事之師也。 宋元符初, 雖用陳瓘鄒浩諸賢, 而去邪不遠, 薰蕕同器, 卒之君子日退, 小人竝進, 以致靖康之禍。 今雖用群賢, 屛出衆邪, 執德不固, 讒間或乘, 則竊恐殿下今日之心, 難保其始終如一也。 嗚呼! 濁亂之餘, 弊政日滋, 飢饉之後, 餓殍相望, 邊圉多虞, 內盜竊發, 守令貪殘, 賦役煩重。 今日之事, 可言者固多, 而本之不治, 末之治者否矣。 故臣等所陳不暇於此, 伏惟殿下, 先正好惡之本, 先審進退之際, 使賞罰得其宜, 而是非無相軋, 徵難勵精, 養民致賢, 奬忠臣孝子, 以敷世敎, 搜隱淪才智俊彦, 以列王庭, 增修學 校之政, 作興道學之士。 日接儒臣, 咨詢治道保民之術, 安邊之策, 內外交修, 上下無怠, 任賢勿貳, 克盡君師之責, 深思根本之固, 使邪說息而人心正, 三綱立而大法敍, 則多難興邦, 或在今日, 而萬世無疆, 宗社幸甚。

疏上, 上卽引見李山海柳成龍慰諭之。 仍傳曰: "進士丁巖壽朴天挺朴大鵬任尹聖金承緖梁山龍李慶男金應會柳思敬柳瑛等, 當國家逆賊之變, 敢肆構陷之術, 捏造無形之言, 陰陳邪譎之疏, 賢相名卿, 無不指斥, 必欲空國然後已, 原其設心, 將欲何爲? 其兇慘之狀, 極爲駭愕。 此必聽奸人指嗾, 的然無疑, 拿來推鞫, 按律定罪。"


  • 【태백산사고본】 12책 23권 23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467면
  • 【분류】
    정론-정론(政論) / 변란-정변(政變) / 사법-탄핵(彈劾) / 사법-행형(行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