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6권, 선조 5년 9월 21일 갑진 2번째기사 1572년 명 융경(隆慶) 6년

윤대에서 홍보가 을사년 간신들의 행적을 아뢰다

윤대(輪對)하였다. 사재정(司宰正) 홍보(洪溥)가 나아가 아뢰기를,

"을사년023) 의 일은, 그 당시에는 인심이 위태하고 의구스러워하여 사람끼리 서로 만나도 눈으로만 통하고 감히 말을 하지 못하였으나 인심은 속이기 어렵고 천리(天理)는 멸하지 않아 선왕(先王)의 말년에 이르러 환하게 살펴 알았기 때문에 귀양간 사람은 돌아오게 하고 혹 적몰한 가산(家産)도 돌려주어 장차 큰 은혜를 내려 원통하고 억울한 것을 모두 씻어주려 하시었는데 신민(臣民)이 복이 없어 선왕께서 갑자기 돌아가셨습니다. 당시에 소위 죄인이란 사람들이 모두 풀려 돌아왔으니 그 때의 공신들은 이미 거짓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하께서 즉위하신 초기에 이전 사람들을 모두 등용하시고 죽은 사람에게도 관작을 돌려주셨으니 그들의 악하고 무망(誣罔)한 자취가 이미 분명하게 드러나 의심이 없는데, 어찌하여 그것이 거짓임을 아시고도 즉시 공신적(功臣籍)을 제거하지 않으시고 온 세상이 그르다고 하는데도 간하는 말을 따르지 않으십니까. 이 점을 어리석은 신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옛사람은 아비의 뜻을 받들고 그 일을 실행하는 것을 효(孝)라고 하였습니다.

을사년의 사람들을 발탁하여 쓰고 간악한 괴수의 벼슬을 혁파하는 일은 조정의 의논이 나오기 전에 스스로 하셔야 할 일인데 어찌 오늘까지 기다리십니까. 신은 원컨대 전하께서 평소 한가한 날에 마음을 바로하고 이치를 살펴 위로는 선왕의 마음을 생각하고 아래로는 신민의 통분함을 생각하여 편벽되고 사사로움에 구속되지 마시고 자기의 고집을 버리는 아량을 힘써 넓히시어 아래로 여정(輿情)을 물어 시원하게 윤허하시는 명을 내리시면 능히 하늘에 계신 선왕의 영을 위로하고 원통하게 죽어간 혼령의 한을 풀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옛날 한 무제(漢武帝)여 태자(戾太子)의 변을 만나 부자간의 천륜을 잊었다가 차천주(車千秋)가 간하는 말을 듣고 번연히 뉘우쳐 천리가 다시 회복되었습니다.024) 만일 전하께서 신을 비루하게 여기지 않으시고 사람이 미천하다 하여 말까지 버리지 않으신다면 신은 만 번 죽더라도 지하에서 천추(千秋)에게 부끄럽지 않겠습니다. 삼가 어리석은 자의 말이나마 조금이라도 살피소서."

하였는데, 홍보(洪溥)의 이 말은 충성스러운 말이라고 할 만하다.


  • 【태백산사고본】 3책 6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244면
  • 【분류】
    왕실-경연(經筵) / 변란-정변(政變) / 인사-관리(管理) / 사법-행형(行刑)

  • [註 023]
    을사년 : 1545 명종 1년.
  • [註 024]
    여 태자(戾太子)의 변을 만나 부자간의 천륜을 잊었다가 차천주(車千秋)가 간하는 말을 듣고 번연히 뉘우쳐 천리가 다시 회복되었습니다. : 한 무제(漢武帝)가 간신 강충(江充)의 모함으로 여 태자(戾太子)를 죽게 하였는데 뒤에 차천추(車千秋)가 강충의 간계(奸計)를 아뢰자 태자의 억울함을 불쌍히 여겨 사자궁(思子宮)을 짓고, 강충 등 간신 일당을 멸족한 고사. 《한서(漢書)》 권63 무오자전(武五子傳).

○輪對。 司宰正洪溥進言曰: "乙巳之事, 當其時人心危疑, 人之相遇, 以目相視, 不敢發言。 人心難欺, 天理不泯, 至於先王之末年, 渙然省察, 故還謫人, 或給籍藏, 將大降汪恩, 盡雪冤枉, 而臣民無祿, 弓劍遽遺。 夫以當時之所謂罪人者, 旣皆追還, 其所謂功臣者, 已知其爲僞詐也。 及殿下之始, 盡用舊人, 復爵朽骨。 是其於奸究誣罔之迹, 固已洞然, 而無疑矣。 奈何知其僞詐, 而不卽去其籍, 擧世非之, 而尙不從其諫歟? 此愚臣之所未解也。 古人以繼志述事爲孝, 殿下拔擢乙巳之人, 革爵首惡之擧, 固不待廷論之發, 而自爲之矣。 尙何俟乎今日乎? 臣願, 殿下於燕閑之日, 平心察理, 上念先王之心,下念臣民之憤, 不拘偏係之私, 務恢舍己之量, 俯詢輿情, 渙散兪音, 則足慰先王在天之靈, 庶伸含冤入地之魂矣。 昔 武帝, 遭戾園之變, 忘父子之倫, 及聞千秋一言, 飜然悔悟, 天理藹然。 若殿下不以臣卑鄙, 不以人廢言, 則臣雖萬死, 將無愧千秋於地下矣。 伏願小察聾瞽之言。" 〔溥〕 之此言, 可謂獻忠。


  • 【태백산사고본】 3책 6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244면
  • 【분류】
    왕실-경연(經筵) / 변란-정변(政變) / 인사-관리(管理) / 사법-행형(行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