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30권, 세조 9년 1월 2일 임진 1번째기사 1463년 명 천순(天順) 7년

괘부의 월따말과 정난의 부루말에 이름을 짓고 그리게 하다

임금이 한계희(韓繼禧)·임원준(任元濬)에게 명하기를,

"예로부터 집을 일으켜 세운 인주(人主)는 사방(四方)에 전쟁할 때 함께 사지(死地)를 겪으면서 재주와 힘으로 서로 도와준 것은 말인 때문에 잊지 못하고, 유비(劉備)의 ‘적로(的盧)’, 당 태종(唐太宗)의 ‘육준(六駿)001) ’, 우리 태조(太祖)의 ‘팔준(八駿)002) 이라고 일컫는 까닭이다. 나는 전쟁한 땅은 없으나 세종(世宗)의 성시(盛時)에 말달리고 활을 쏘아 승부를 겨루는 날에 남보다 10배(倍)나 빨랐으므로, 3군(三軍)의 우러러보고 복종하였던 것이 어찌 말의 힘에 서로 도움이 없었겠느냐? 괘부(掛釜)의 월따말[騮]은 비록 마음에 걸리지만 정난(靖難)의 부루말[驃]은 더욱 잊지 못하겠다. 또 궁마(弓馬)의 재주[藝]는 참으로 공업(功業)을 일으킨 것이니, 이제 이것이 병을 얻어 더욱 옛일이 생각나서 그려 보려고 하는데 어떻겠느냐?"

하니, 한계희 등이 대답하기를,

"그러합니다."

하였다. 임금이 그 말[馬]을 명명(命名)하고, 이어서 명하여 그려서 이를 기리게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1책 30권 1장 A면【국편영인본】 7책 561면
  • 【분류】
    교통-육운(陸運) / 왕실-국왕(國王) / 예술-미술(美術)

  • [註 001]
    육준(六駿) : 당(唐) 태종(太宗)이 타던 6필의 명마(名馬). 삽로자(颯露紫)·권모과(拳毛騧)·백제오(白蹄烏)·특륵표(特勒驃)·청추(靑騅)·십벌적(什伐赤)을 말함.
  • [註 002]
    팔준(八駿) :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타고 다닌 8필의 명마(名馬). 횡운골(橫雲鶻)·유린청(遊麟靑)·추풍오(追風烏)·발전자(發電赭)·용등자(龍騰紫)·응상백(凝霜白)·사자황(獅子黃)·현표(玄豹)의 8필을 말함.

○壬辰/上令韓繼禧任元濬曰: "自古起家之主, 征戰四方, 偕經死地, 才力相資者馬, 故所以不忘而稱劉備 ‘的盧’、唐宗 ‘六駿’、我太祖之 ‘八駿’ 者也。 予無征戰之地, 而方世宗盛時馳射角勝之日, 十倍於他, 三軍仰服者, 豈無馬力相資耶? 掛釜之騮, 雖怏於心, 靖難之驃, 尤所不忘。 且弓馬之藝, 實是功業之所起, 今玆得疾, 益以思舊, 欲圖觀之若何?" 繼禧等對曰: "然。" 上命名其馬, 仍命圖而贊之。


  • 【태백산사고본】 11책 30권 1장 A면【국편영인본】 7책 561면
  • 【분류】
    교통-육운(陸運) / 왕실-국왕(國王) / 예술-미술(美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