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문종실록1권, 문종 즉위년 5월 17일 경신 1번째기사 1450년 명 경태(景泰) 1년

사은사 조서안·안완경 등이 황제가 준 세자의 면복과 칙서를 가지고 돌아오다

사은사(謝恩使)로 갔던 병조 참판(兵曹參判) 조서안(趙瑞安)과 형조 참판(刑曹參判) 안완경(安完慶) 등이 중국 황제가 준[欽賜] 세자(世子)의 면복(冕服)과 칙서(勅書)를 가지고 북경(北京)에서 돌아오니, 종친(宗親)과 문무 백관(文武百官)들이 모화관(慕華館)에 나아가서 길복(吉服)을 입고 맞이하여 빈전(殯殿)에 이르러 행례(行禮)하기를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하고, 돌아와서 최복(衰服)을 입고 그대로 하례(賀禮)를 행하였다. 조서안 등도 또한 최복(衰服)을 입고 빈전(殯殿)의 문밖에 나아가서 곡(哭)하고 곡을 마치고는 여차(廬次)에 나아가서 복명(復命)하였다. 칙서(勅書)는 이러하였다.

"왕이 세자(世子)의 면복(冕服)을 나에게 청했는데, 예문(禮文)을 숭상하는 뜻을 갖춰 보겠으므로 말하는 바를 특히 윤허하여 칠장 면복(七章冕服) 1부(一副)를 가지고 가게 하니, 도착되거든 이를 영수(領受)하라. 대저 예절은 상하(上下)를 정할 수 있고 성심(誠心)은 군친(君親)을 받들 수 있는데, 이 명복(命服)345) 의 빛남에 유의(留意)하여 더욱 사대(事大)의 뜻을 견고히 할지니, 왕은 세자(世子)에게 짐(朕)의 뜻을 가지고 이르기를 바란다. 반사(頒賜)하여 주는 물건을 계산하면, 왕세자(王世子)의 면복(冕服) 1부(副), 팔유향 조피사 평천관(八旒香皂皺沙平天冠) 1정(頂) 【옥행유주금 사건(玉珩旒珠金事件)은 선조(線條)가 갖추어졌음.】 , 칠장 견지사 곤복(七章絹地紗袞服) 1투(套), 합계 7건조부(件條副), 심청장화 곤복(深靑粧花袞服) 1건(件), 백소중단(白素中單) 1건(件), 훈색장화 전후상(纁色粧花前後裳) 1건(件), 훈색장화 패슬(纁色粧花蔽膝) 1건(件) 【옥구선조(玉鉤線條)가 갖추어 졌음.】 훈색장화 금수(纁色粧花錦綬) 1건(件), 훈색장화 패대(纁色粧花佩帶) 1부(副) 【금구(金鉤)·옥행당(玉珩璫)이 갖추어졌음.】 , 홍백소 대대(紅白素大帶) 1조(條) 【청선(靑線) 조조(組條)가 갖추어졌음.】 , 옥규(玉圭) 1지(枝) 【대(袋)가 갖추어졌음.】 , 대홍소저 사석(大紅素紵絲舃) 1쌍(雙) 【말(襪)도 갖추어졌음.】 , 대홍평라 소금운룡 협포복(大紅平羅銷金雲龍夾包袱) 3조(條)이다."

조서안(趙瑞安)안완경(安完慶)에게 각기 안마(鞍馬)와 노비(奴婢) 3명, 전지(田地) 30결(結)을 하사(下賜)하고, 서장관(書狀官) 김환(金丸)과 통사(通事) 최윤(崔倫)·김유례(金有禮)에게는 각기 전지(田地) 10결(結)을 하사(下賜)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책 1권 44장 A면【국편영인본】 6책 236면
  • 【분류】
    외교-명(明) /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 / 농업(農業) / 신분(身分)

  • [註 345]
    명복(命服) : 사대부(士大夫)의 정복(正服). 고대 중국에 사대부의 신분이 일명(一命)에서 구명(九命)까지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임.

○庚申/謝恩使兵曹參判趙瑞安、刑曹參判安完慶等, 齎欽賜世子冕服及勑回自京師。 宗親文武百官, 詣慕華館, 服吉服迎, 至殯殿, 行禮如常儀, 還着衰服, 仍行賀禮。 瑞安等, 亦服衰服, 詣殯殿門外哭訖, 次詣廬次復命。 勑曰:

王以世子冕服來請, 具見崇尙禮文之意, 特允所言, 頒去七章冕服一副, 至可領之。 夫惟禮可以定上下, 惟誠可以奉君親, 顧玆命服之華, 益堅事大之志, 王於世子, 尙以朕意諭之。 計頒去王世子冕服一副、八旒香皂皺沙平天冠一頂、 【玉珩旒珠金事件, 線絛全。】 七章絹地紗袞服一套、計七件條副深靑粧花袞服一件、白素中單一件、纁色粧花前後裳一件、纁色粧花蔽膝一件、 【玉鉤線絛全。】 纁色粧花錦綬一、件纁色粧花佩帶一副、 【金鉤、玉珩璠全。】 紅白素大帶一條、 【靜線組絛全。】 玉圭一枝、 【袋全。】 大紅素紵絲舃一雙、 【襪全。】 大紅平羅銷金雲龍夾包袱三條。

瑞安完慶, 各鞍馬及奴婢三口、田三十結, 書狀官金丸、通事崔倫金有禮, 田各十結。


  • 【태백산사고본】 1책 1권 44장 A면【국편영인본】 6책 236면
  • 【분류】
    외교-명(明) /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 / 농업(農業) / 신분(身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