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5권, 지리지 함길도 영흥 대도호부

지리지 / 함길도 / 영흥 대도호부


영흥 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

사(使)가 1인이니, 영흥도 중익 병마(永興道中翼兵馬)를 겸하고, 판관(判官)이 1인이니, 영흥도 중익 병마 단련 판관(兵馬團練判官)을 겸한다.

본래 고구려의 땅으로서 장령진(長嶺鎭)이라 일컬었는데, 혹은 당문(唐文)이라 【옛 문적에는 당(唐)이 당(堂)으로 되었다. 】 일컫기도 하고, 혹은 박평군(博平郡)이라고도 하였다. 고려 초에 화주(和州)로 되었고, 광종(光宗) 6년 을묘 【주(周)나라 세종(世宗) 현덕(顯德) 2년.】 에 비로소 성보(城堡)를 쌓았으며,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화주(和州)·안변 도호부(安邊都護府)로 고치었다가, 현종(顯宗) 9년 무오에 화주 방어사(和州防禦使)로 강등하여 본영(本營)을 삼았다. 고종(高宗)등주(登州)368) 에 합쳐 그대로 화주 방어사(和州防禦使)라 일컬었는데, 뒤에 원나라에 속(屬)하게 되어 쌍성 총관부(雙城摠管府)가 되었다. 공민왕(恭愍王) 5년 병신에 군사를 보내어 수복하고 화주목(和州牧)을 삼았고, 18년 기유에 화령부(和寧府)로 승격시켜 부윤(府尹)·소윤(少尹)·판관(判官)을 두었으며, 이듬해 경술(庚戌)에 토관(土官) 각 아문(衙門)을 두고 모두 인신(印信)을 주었다. 본조 태조(太祖) 2년 계유 【명나라 홍무(洪武) 26년.】 에 외가(外家)인 최씨(崔氏)네가 부(府)의 영흥진(永興鎭)에 우거(寓居)하였다 하여 영흥부(永興府)로 고쳤으며, 태종(太宗) 3년 계미 【홍무 36년.】 에 부인(府人)들이 조사의(趙思義)를 따라 난리를 일으켰으므로, 군(郡)으로 강등시켰다가, 이듬해 갑신에 다시 영흥부로 하였으며 16년 병신에 함주목(咸州牧)을 승격시켜 함흥부(咸興府)로 삼았다가, 곧 화주목(和州牧)으로 강등하여 목사(牧使)와 판관(判官)을 두고, 토관(土官)을 파하였다. 금상(今上) 8년 병오 【선덕(宣德) 원년. 】 2월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사(社)가 5이니, 평천사(平川社)는 본래 영흥진(永興鎭)이었는데, 【예전에는 관방수(關防戍)라고 칭하였다. 】 고려 문종(文宗) 15년 신축 【송나라 인종(仁宗) 가우(嘉祐) 6년.】 에 비로소 성보(城堡)를 쌓았고, 본조 태조(太祖) 2년 계유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정변사(靜邊社)는 본래 정변진(靜邊鎭)이었는데, 현종(顯宗) 22년 신미 【송나라 인종(仁宗) 천성(天聖) 9년.】 에 비로소 진(鎭)을 두었고, 정종(靖宗) 5년 기묘 【보원(寶元) 2년.】 에 성(城)을 쌓았다. 영인사(寧仁社)는 본래 영인진(寧仁鎭)이었는데, 태조(太祖) 6년 정축 【명나라 홍무(洪武) 30년.】 에 모두 폐하여 사(社)로 삼았다. 장평사(長平社)는 본래 장평진(長平鎭)이었는데, 【예전에는 고질달(古叱達)이라 하였다. 】 광종(光宗) 20년 기사 【송나라 태조 개보(開寶) 2년.】 에 비로소 진성(鎭城)을 쌓았고, 공민왕(恭愍王) 6년 정유 【원나라 지정(至正) 17년.】 에 현(縣)으로 고쳐서 영(令)을 두었다. 요덕사(耀德社)는 본래 요덕진(耀德鎭)이었는데, 【일명 현덕진(顯德鎭)이다. 】 현종(顯宗) 14년 계해 【송나라 인종(仁宗) 천성(天聖) 원년.】 에 성(城)을 쌓았고, 공민왕 6년 정유(丁酉)에 현(縣)으로 고쳤다가, 20년 신해 【명나라 홍무(洪武) 4년.】 에 모두 폐하여 사(社)로 하였다.

성력산(聖歷山) 【부의 서쪽에 있는데, 부의 사람들이 진산(鎭山)으로 삼고 있다. 】 국태산(國泰山) 【부의 서쪽에 있다. 꼭대기에 돌우물[石井]이 있는데, 구멍이 좁으나, 샘이 깊다. 비를 빌면 감응이 있다. 】 오령(烏嶺) 【부의 서쪽에 있는데, 위에 호종탑(胡宗塔)이 있다. 】 병풍산(屛風山) 【부의 서쪽에 있다. 그 위는 펑퍼짐하고 넓어서, 사람이 살 수 있으며, 가운데에 못이 있는데, 사람이 살면 항상 비의 재앙이 있다. 】 대천은 비류수(沸流水) 【부의 서쪽 정변사(靜邊社)에 있다. 그 근원인 물구멍[水穴]은 지름이 5척 3촌이고, 깊이는 으늑하여 헤아릴 수 없는데, 〈물이〉 치솟아 나와 흘러서 내가 된다. 봄·가을에 향(香)과 축문(祝文)을 내려서 제사를 지내는데, 소사(小祀)이다. 】 용흥강(龍興江)이다. 【부의 동쪽에 있는데, 옛 이름은 횡강(橫江)이다. 진산 부원군(晉山府院君) 하윤(河崙)이 일찍이 봉명 사신(奉命使臣)이 되어 이곳에 이르니, 도순문사(都巡問使) 강회백(姜淮伯)이 강의 중류(中流)에 술자리를 마련하고 청하기를, "본부는 도조(度祖)·환조(桓祖)가 살던 땅이고, 태조(太祖)가 탄생한 곳입니다. 그러나, 이 강은 아직도 이름이 없으니, 하나의 허물이 아니겠습니까." 하니, 하윤이 이에 용흥(龍興)으로 명명(命名)하였다. 그 근원이 4가 있으니, 하나는 비류수에서 나오고, 하나는 평안도 희천(熙川) 지경 마여 대령(馬餘大嶺)에서 나오고, 하나는 맹산(孟山) 지경 애전 대령(艾田大嶺)에서 나와 송어탄(松魚灘)에 이르러서 합치며, 하나는 양덕(陽德) 지경에서 나와 차대령(次大嶺)을 지나 고암(庫岩)에 이르러 송어탄(松魚灘)과 합하는데, 이름을 횡천(橫川)이라 한다. 주(州)와 85리 떨어져서 용신당(龍神堂)을 지나 진정사(鎭靜寺)의 서쪽 절벽(絶壁) 아래에 이르는데, 이름을 창경연(鶬鶊淵)이라 한다. 그 아래에 넓은 여울이 있고, 여울 가운데에 백마석(白馬石)이 있는데, 모양이 백마(白馬)처럼 생겼으며, 돌의 잠기고 드러나는 것으로써 물의 얕고 깊음을 안다. 읍성(邑城)의 북쪽을 지나 동남쪽으로 흘러서 바다로 들어간다. 】 사방 경계[四境]는 동쪽으로 바다에 이르기 44리, 서쪽으로 평안도 맹산현(孟山縣) 장평 대령(長平大嶺)에 이르기 1백 45리, 남쪽으로 고원군(高原郡) 사박지천(沙朴只川)에 이르기 14리, 북쪽으로 장곡현(長谷縣) 고성 관문(古城關門)에 이르기 17리이다.

준원전(濬源殿) 【부의 동남쪽 흑석산(黑石山)에 있으니, 곧 우리 환조(桓祖)의 옛 집으로서, 태조(太祖)가 탄생한 곳이다. 태조의 쉬용(晬容)을 모셨다. 】

호수가 2천 1백 91호요, 인구가 8천 5백 24명이다. 군정은 익속군(翼屬軍)이 6백 40명, 선군(船軍)이 1백 21명, 수성군(守城軍)이 64명이다.

본부(本府)의 토성(土姓)이 22이니, 최(崔)·장(張)·김(金)·석(石)·이(李)·박(朴)·길(吉)·송(宋)·한(韓)·민(閔)·유(劉)·정(鄭)·노(盧)·방(邦)·호(扈)·고(固)·안(安)·척(拓)·우(禹)·손(孫)·심(沈)·위(魏)요, 내성(來姓)이 2이니, 고(高)·용(龍)이요, 속성(續姓)이 1이니, 주(周)이다. 영흥진(永興鎭)의 망입성(亡入姓)이 17이니, 최(崔) 【다인(多仁)·이안(利安)·직산(稷山)·영통(永通). 】 ·김(金)·최(崔) 【춘주(春州). 】 ·박(朴) 【영통(永通). 】 ·김(金)·한(韓) 【진위(振威). 】 ·조(曺) 【사천(沙川). 】 ·전(全) 【진주(晉州)·동주(東州). 】 ·손(孫) 【안협(安峽). 】 ·강(康) 【율곶(栗串). 】 ·안(安) 【용강(龍岡). 】 ·고(高) 【금주(衿州). 】 ·노(盧) 【금성(金城). 】 ·서(徐) 【음죽(陰竹). 】 ·허(許) 【평강(平康). 】 ·유(劉) 【배주(白州). 】 ·김(金) 【해주(海州). 】 이요, 【위의 17성은 지금 모두 없다. 】 속성(續姓)은 2이니, 유(劉)·최(崔)이다. 정변진(靜邊鎭)의 토성(土姓)이 6이니, 윤(尹)·김(金)·고(高)·연(延)·박(朴)·문(文)이요, 내성(來姓)이 3이니, 백(白)·오(吳)·석(石)이요, 촌락 망성(村落亡姓)이 9이니, 이(李)·노(盧)·조(趙)·한(韓)·위(魏)·원(元)·임(任)·유(柳)·심(沈)이다. 영인진(寧仁鎭)의 망입성(亡入姓)이 13이니, 김(金) 【울주(蔚州). 】 ·안(安) 【흥주(興州). 】 ·전(全) 【평강(平康). 】 ·임(林) 【통구(通口). 】 ·신(申) 【구고(九皐). 】 ·한(韓) 【곡주(谷州). 】 ·방(芳) 【위산(衛山). 】 ·오(吳) 【흡곡(歙谷). 】 ·정(鄭) 【애수(隘守). 】 ·채(蔡) 【진명(鎭溟). 】 ·우(禹) 【요덕(耀德). 】 ·정(鄭)·김(金) 【고주(高州). 】 이다. 장평진(長平鎭)의 망입성(亡入姓)이 16이니, 손(孫) 【이천(伊川). 】 ·공(公) 【하음(河陰). 】 ·한(韓) 【곡주(谷州). 】 ·황(黃) 【평택(平澤). 】 ·이(李)·광(光) 【해주(海州). 】 ·이(李)·유(劉) 【영주(永州). 】 ·상(桑) 【평해(平海). 】 ·정(鄭) 【청주(淸州). 】 ·김(金) 【통구(通口)·홍천(洪川)·울주(蔚州). 】 ·박(朴) 【지례(知禮). 】 ·유(柳) 【남원(南原)·곤명(昆明). 】 ·오(吳) 【수안(遂安). 】 ·송(宋) 【평강(平康). 】 ·윤(尹) 【수덕(守德). 】 이요, 속성(續姓)이 1이니, 손(孫)이다. 요덕진(耀德鎭)의 망입성(亡入姓)이 16이니, 김(金)·노(盧)·양(梁)·백(白) 【배주(白州). 】 ·우(禹)·안(安)·노(盧) 【곡주(谷州). 】 ·윤(尹) 【협계(俠溪). 】 ·우(禹) 【양암(陽嵓). 】 ·박(朴)·한(韓) 【평강(平康). 】 ·최(崔) 【해주. 】 ·김(金)·유(柳) 【염주(鹽州). 】 ·용(龍) 【덕수(德水). 】 ·한(韓) 【이천(伊川). 】 이다. 인물은 증 판문하부사(贈判門下府事) 영흥백(永興伯) 정효공(靖孝公) 최한기(崔閑奇)이다. 【이분이 의혜 왕후(懿惠王后)를 낳아 환조(桓祖)의 배필이 되게 하여, 우리 태조(太祖)를 탄생하게 하였다. 묘(墓)가 부의 동남쪽 도존산(道存山)에 있다. 】

간전(墾田)이 1만 5백 29결이요, 【논이 겨우 5백 70결이다. 】 토의(土宜)는 오곡과 뽕나무·삼[麻]이다. 토공(土貢)은 표범가죽·삵가죽·여우가죽·잇[紅花]·지초요, 약재는 사향(麝香)·모란뿌리껍질·오미자·오배자(五倍子)·장군풀[大黃]·당귀(當歸)·대왕풀[白芨]·방풍(防風)·인삼이요, 토산(土産)은 금(金) 【부의 북쪽 25리 되는 문해령(文解嶺)의 동쪽 5리쯤의 대동(大洞)에서 난다. 】 ·족제비털[黃毛]·대구·연어·고등어이다. 염분(鹽盆)이 22이다.

읍 석성(邑石城)이 부의 서쪽 성력산(聖歷山)에 있고, 【둘레가 9백 87보(步)이며, 안에 군창(軍倉)이 있고, 우물이 1, 못이 1이 있는데, 사철 마르지 아니한다. 】 산성(山城)이 부의 서북쪽 정변사(靜邊社)에 있고, 【둘레가 1천 8백 보(步)인데, 서북쪽은 돌로 쌓고, 동남쪽은 천연의 벼랑으로 되어 있다. 안에 군창(軍倉)이 있고, 우물이 1, 못이 1이 있는데, 사철 마르지 아니한다. 속칭 명산성(冥山城)이라고 한다. 】 옛 석성(石城) 터가 부의 서쪽에 있다. 온천(溫泉)이 1이요, 【부의 동쪽 2리되는 독지사(禿旨社)에 있다. 】 역(驛)이 1이니, 화원(和原)이요, 【예전에 청산(靑山)·통화(通和)의 2역이 있었는데, 지금은 모두 이곳에 합쳤다. 】

목장(牧場)이 1이니, 말응도(末應島)이다. 【부의 동쪽 90리에 있는데, 국마(國馬) 1백 2필을 방목(放牧)한다. 】 요해(要害)는 마여령(馬餘嶺) 【부의 서쪽에 있다. 】 ·장성 관문(長城關門)이다. 【부의 북쪽에 있다. 】 봉화가 2곳이니, 옛 영인(寧仁) 【북쪽으로 예원(預原) 원정현(元定峴)에 응하고, 남쪽으로 진수(鎭戍)에 응한다. 】 ·진수(鎭戍)이다. 【서남쪽으로 고원(高原) 웅망산(熊望山)에 응하고, 남쪽으로 용진(龍津) 유점(楡岾)에 응한다. 】 해도가 3이니, 대도도(大都島) 【부의 동쪽에 있는데, 옛날 피란처(避亂處)였으므로 토성(土城)을 쌓았던 터가 있다. 육지와의 거리가 6리이다. 】 ·모도(茅島) 【부의 동쪽 대도도(大都島) 남쪽 10리에 있는데, 육지와의 거리가 3리이다. 】 웅도(熊島) 【부의 동쪽, 대도도의 동쪽 15리에 있는데, 육지와의 거리가 15리이며, 봄·가을에 소재관(所在官)으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한다. 】 이다. 【위의 3섬[島]에는 각각 농호(農戶) 1, 2호씩이 있다. 】

관할[所領]은 군(郡)이 3이니, 고원(高原)·문천(文川)·예원(預原)이다.


  • 【태백산사고본】 59책 155권 4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94면


永興, 大都護府, 使一人, 兼永興道中翼兵馬; 判官一人, 兼永興道中翼兵馬團練判官。 本高句麗之地, 稱長嶺鎭, 或稱唐文, 【古籍, 唐作堂。】 或稱博平郡, 高麗初, 爲和州光宗六年乙卯, 【周 世宗 顯德二年。】 始築城堡, 成宗乙未, 改爲和州安邊都護府, 顯宗戊午降爲和州防禦使, 爲本營。 高宗時, 合于登州, 稱和州防禦使, 後屬于大, 爲雙城摠管府。 恭愍王丙申, 出師收復, 爲和州牧, 己酉, 陞爲和寧府, 置府尹少尹判官, 明年庚戌, 置土官各衙門, 皆給印信。 本朝太祖二年癸酉, 【大明 洪武二十六年。】 以外家崔氏寓居府之永興鎭, 故改稱永興府太宗三年癸未, 【洪武三十六年。】 以府人從趙思義作亂, 降爲郡, 明年甲申, 復稱永興府, 十六年丙申, 陞咸州牧, 爲咸興府, 乃降爲和州牧, 置牧使判官, 罷土官。 今上八年丙午 【宣德元年。】 二月, 改今名。 社五, 平川社, 本永興鎭, 【古稱關防戍。】 高麗 文宗十五年辛丑, 【宋 仁宗 嘉祐六年。】 始築城堡, 本朝太祖癸酉, 改今名。 靜邊社, 本靜邊鎭顯宗二十二年辛未, 【宋 仁宗 天聖九年。】 始置鎭。 靖宗五年己卯, 【寶元二年。】 築城。 仁寧社, 本寧仁鎭, 太祖六年丁丑, 【大明 洪武三十年。】 皆廢爲社。 長平社, 本長平鎭, 【古稱古叱達。】 光宗二十年己巳, 【宋 太祖 開寶二年。】 始築鎭城, 恭愍王六年丁酉, 【元 至正十七年。】 改爲縣置令。 耀德社, 本耀德鎭, 【一名顯德鎭。】 顯宗十四年癸亥, 【宋 仁宗 天聖元年。】 築城。 恭愍王丁酉, 改爲縣, 至二十年辛亥, 【大明 洪武四年。】 皆廢爲社。 聖歷山 【在府西, 府人以爲鎭山。】 國泰山 【在府西, 上有石井, 穴窄源深, 祈雨則應。】 烏嶺 【在府西, 上有胡宗塔。】 屛風山 【在府西其上平廣可居, 中有池, 人居則有恒雨之災。】 大川曰沸流水 【在府西龍邊社, 其源水穴圓徑五尺三寸, 幽深不測, 湧流爲川。 春秋降香祝行祭, 小祀。】 龍興江 【在府東, 古名橫江, 晋山府院君 河崙嘗奉使至此, 都巡問使姜准伯置酒中流, 請曰: "府乃度祖、桓祖卜宅, 而太祖誕生之地也, 而此江尙無名稱, 不亦一欠乎!" 崙乃以龍興命名。 其源有四, 一出沸流水, 一出平安道 熙川境馬餘大嶺, 一出孟山境艾田大嶺, 至松魚灘合, 一出陽德境, 去次大嶺至庫岩, 與松魚灘合, 名橫川, 距州八十五里。 過龍神堂至鎭靜寺, 西絶辟下, 名鶬鶊淵, 下有廣灘, 灘中有白馬石, 形如白馬, 以石隱見, 知水淺深。 經邑城北, 東南流入海。】 四境, 東距海四十四里, 西距平安道 孟山縣 長平大嶺一百四十五里, 南距高原郡 沙朴只川十四里, 北距長谷縣古城關門十七里。 濬源殿, 【在府東南黑石山, 卽我桓祖舊邸, 太祖誕降之地, 奉安太祖御容。】 戶二千一百九十一, 口八千五百二十四。 軍丁, 翼屬軍六百四十, 舡軍一百二十一, 守城軍六十四。 本府土姓二十二, 崔、張、金、石、李、朴、吉、宋、韓、閔、劉、鄭、盧、邦、扈、固、安、拓、禹、孫、沈、魏; 來姓二, 高、龍; 續姓一, 周。 永興鎭亡入姓十七, 崔 【多仁、利安、稷山、永通】 金、崔、 【春州。】 朴、 【永通。】 金、韓、 【振威。】 曹、 【沙川。】 全、 【晋州 東州。】 孫、 【安峽。】 康、 【栗串。】 安、 【龍岡。】 高、 【衿州。】 盧、 【金城。】 徐、 【陰竹。】 許、 【平康。】 劉、 【白州。】 金; 【海州, 右十七姓, 今皆無。】 續姓二, 劉、崔。 靜邊鎭土姓六, 尹、金、高、延、朴、文。 來姓三, 白、吳、石。 村落亡姓九, 李、盧、趙、韓、魏、元、任、柳、沈。 寧仁鎭亡入姓十三, 金、 【蔚州。】 安、 【興州】 全、 【平康。】 林、 【通口。】 申、 【九皋。】 韓、 【谷州。】 芳、 【衛山。】 吳、 【歙谷。】 鄭、 【隘守。】 蔡、 【鎭溟。】 禹、 【耀德。】 鄭、金、 【高州。】 長平鎭亡入姓十六, 孫、 【伊川。】 公、 【河陰。】 韓、 【谷州。】 黃、 【平澤。】 李、光、 【海州。】 李、劉、 【永州。】 桑、 【平海。】 鄭、 【淸州。】 金、 【通口、洪川、蔚州。】 朴、 【知禮。】 柳、 【南原、昆明】 吳、 【遂安。】 宋、 【平康。】 尹; 【守德。】 續姓一, 孫。 耀德鎭亡入姓十六, 金、盧、梁、白、 【白州。】 禹、安、盧、 【谷州。】 尹、 【俠溪。】 禹、 【陽嵓。】 朴、韓、 【平康。】 崔、 【海州。】 金、柳、 【鹽州。】 龍、 【德水。】 韓。 【伊川。】 人物, 贈判門下府事永興伯 孝公 崔閑奇 【寔生懿惠王后, 配桓祖, 誕我太祖。 墓在府東南道存山。】 墾田一萬五百二十九結。 【水田只五百七十結。】 土宜五穀, 桑、麻。 土貢, 豹皮、狸皮、狐皮、紅花、芝草。 藥材, 麝香、牧丹皮、五味子、五倍子、大黃、當歸、白芨、防風、人蔘。 土産, 金、 【産府北二十五里文解嶺之東五里許大洞。】 黃毛、大口魚、年魚、古道魚。鹽盆二十二。 邑石城, 在府西聖歷山 【周回九百八十七步, 內有軍倉井一池一, 四時不渴。】 山城在府西北靜邊社, 【周回一千八百步, 西北以石築之, 東南天塹壁立, 內有軍倉, 井一池一, 四時不渴, 俗稱冥山城。】 古石城基在府西。 溫泉一。 【在府東二十里禿旨社。】 驛一, 和原 【古有靑山、通和二驛, 今皆合于此。】 牧場一, 末應島 【在府東九十里, 放國馬一百二匹。】 要害, 馬餘嶺 【在府西。】 長城關門 【在府北】 烽火二處, 寧仁 【北準預原元定峴, 南準鎭戍。】 鎭戍 【西南準高原 熊望山, 南準龍津 楡岾。】 海島三, 大都島 【在府東, 古避亂處有土城基, 去陸六里。】 茅島 【在府東大都島南十里, 去陸三里。】 熊島 【在府東大都島東十五里, 去陸十五里, 春秋令所在官行祭。 右三島, 各有農戶一二。】 所領郡三, 高原文川預原


  • 【태백산사고본】 59책 155권 4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9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