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3권, 지리지 강원도 강릉 대도호부 정선군

지리지 / 강원도 / 강릉 대도호부 / 정선군

정선군(旌善郡)

지군사(知郡事) 1인.

본래 고구려잉매현(仍買縣)인데, 신라 때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명주(溟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그대로 임내로 하였다가, 뒤에 군(郡)으로 승격하였으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별호는 삼봉(三鳳)·주진(朱陳)·도원(桃源)이라 한다.

진산(鎭山)은 비봉(飛鳳)이요, 【군의 북쪽에 있는데, 높고 험하다. 】 대천(大川)은 대음강(大陰江)이다. 【군(郡) 남쪽에 있는데, 나룻배가 있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삼척(三陟)에 이르기 53리, 서·남쪽은 평창(平昌)에 이르는데, 서쪽이 22리, 남쪽이 31리이며, 북쪽으로 우계(羽溪)에 이르기 32리이다.

호수가 2백 3호요, 인구가 4백 59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9명이요, 선군이 24명이다.토성(土姓)이 3이니, 이(李)·전(全)·고(高)요, 사성(賜姓)이 1이니, 문(文)이며, 【민간에 전한다. 】 속성(續姓)이 1이니, 안(安)이다. 【흥녕(興寧)에서 왔는데, 향리이다. 】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많이 춥다. 간전(墾田)이 1천 5결이요, 【논이 겨우 1결. 】 토의(土宜)는 기장·피·조·팥·보리·뽕나무·삼·배·밤·칠(漆)이다. 토공은 자단향(紫檀香)·백단향·밀[黃蠟]·꿀·북나무충영·석이·시우쇠·지초·칠(漆)·사슴포·노루가죽·여우가죽·삵괭이가죽·수달피·돼지털·곰의 털이요, 약재는 인삼·대왕풀[白芨]·승검초뿌리[當歸]·쪽[藍]·칠(漆)·궁궁이[芎藭]·복령(茯苓)·북나무진[安息香]·다린송진[白膠香]·오미자(五味子)·산양이뿔[羚羊角]·산무애뱀[白花蛇]·녹각교(鹿角膠)·오소리기름[油]이다. 토산(土産)은 금이 군(郡) 동쪽 30리 마주천(馬周川)미천(米川)에서 나고, 석철(石鐵)이 군(郡) 남쪽 50리쯤 되는 능전산골[能箭山洞]에서 나며, 돌고드름[石鍾乳]이 군(郡) 서쪽 15리쯤 되는 모마어리(毛亇於里) 북쪽 산 석굴(石窟)에서 나고, 【옥과 같다. 】 푸른 돌[靑石]이 군(郡) 서쪽 20리쯤 되는 벽파산골[碧波山洞]에서 나며, 【벼루를 만든다. 】 송이·산개(山芥)이다.

역(驛)이 3이니, 호선(好善)·여량(餘糧)·벽탄(碧呑)이다. 풍혈(風穴) 【군(郡) 남쪽 냇가 대음산(大陰山) 기슭에 있는데, ‘바람바위[風岩]’라 한다. 곁에 의풍정(倚風亭)이 있는데, 그 아래에 얼음을 두고 여름을 지낸다. 그 곁에 또 물구멍[水穴]이 있는데, 남강(南江) 물이 갈라져서 땅속으로 들어간다. 】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6면

    旌善郡: 知郡事一人。 本高句麗 仍買縣, 新羅改今名, 爲溟州領縣。 高麗 顯宗戊午, 仍爲任內, 後陞爲郡, 本朝因之。 別號三鳳朱陳桃源。 鎭山, 飛鳳 【在郡北高險。】 大川, 大陰江 【在郡南有渡舡。】 四境, 東距三陟五十三里, 西南距平昌西二十二里, 南三十一里, 北距羽溪三十二里。 戶二百三, 口四百五十九。 軍丁, 侍衛軍十九, 舡軍二十四。 土姓三, ; 賜姓一, ; 【諺傳。】 續姓一, 【興寧來, 鄕吏。】 厥土塉, 風氣多寒, 墾田一千五結。 【水田只一結。】 土宜, 黍、稷、粟、豆、麥、桑、麻、梨、栗、漆。 土貢, 紫檀香、白檀香、黃蠟、蜂蜜、五倍子、石茸、正鐵、芝草、漆、鹿脯、獐皮、狐皮、狸皮、水獺皮、猪毛、熊毛。 藥材, 人蔘、白芨、當歸、藍、漆、芎藭、茯苓、安息香、白膠香、五味子、羚羊角、白花蛇、鹿角膠、猯油。 土産, 金産郡東三十里馬周川米川。 石鐵産郡南五十里許能箭山洞。 石鍾乳産郡西十五里許毛亇於里北山石窟。 【似玉。】 靑石産郡西二十里許碧波山洞 【作硯】 松茸、山芥。 驛三, 好善餘粮碧呑。 風穴。 【在郡南川邊大陰山麓, 稱風岩, 旁有倚風亭, 其下置氷經夏, 其旁又有水穴。 南江水分入地中。】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