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지리지 / 황해도 / 황주목 / 곡산군

곡산군(谷山郡)

본래 고구려십곡성(十谷城)인데, 【덕둔홀(德頓忽)이라고도 한다. 】 신라에서 진서현(鎭瑞縣)으로 고쳐 영풍군(永豊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에서 곡주(谷州)로 고치어, 성종(成宗) 을미년에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가, 현종(顯宗) 9년에 지주사(知州事)로 정하였다. 본조 태조(太祖) 2년 계유에 이르러 현비(顯妃) 강씨(康氏)의 고향이라 하여 곡산부(谷山府)로 승격하였다가, 태종(太宗) 2년 임오에 다시 지주사로 강등하였고, 13년에 예(例)에 의하여 곡산군으로 고쳤다. 별호는 상산(象山)이다. 【순화(淳化) 때 정한 것이다. 】

증격산(甑擊山) 【군(郡)의 진산(鎭山)인데, 소재관(所在官)으로 하여금 봄·가을에 제사지내게 한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함길도(咸吉道) 안변(安邊)의 임내 영풍(永豐)에 이르기 64리, 서쪽으로 수안(遂安)에 이르기 30리, 남쪽으로 신은(新恩)에 이르기 32리, 북쪽으로 평안도 성천(成川)에 이르기 65리이다.

호수가 8백 16호요, 인구가 2천 8백 28명이다.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백 55명이요, 영진군(營鎭軍)이 96명이요, 선군(船軍)이 1백 19명이다.

토성(土姓)이 6이니, 우(禹)·노(盧)·강(康)·한(韓)·용(龍)·연(延)이요, 내성(來姓)이 2이니, 백(白)·이(李)이요, 【지금은 없다. 】 망성(亡姓)이 2이니, 척(拓)·전(全)이다.

땅은 산이 높고 험하며, 기후가 많이 춥고, 풍속(風俗)이 뽕나무와 누에치기에 힘쓴다. 간전(墾田)이 6천 7백 26결(結)이요, 【논이 54결 뿐이다. 】 토의(土宜)는 기장·피·콩·보리·조·팥·메밀이다. 토공은 잣·오미자·인삼·지초·꿀·밀[黃蠟]·석이·느타리·곰의 가죽·돼지가죽·잘·족제비털[黃毛]·칠(漆)·황양목·종이요, 약재는 검산풀뿌리[續斷]·애기풀[遠志]·속새[木賊]·속서근풀[黃芩]·단너삼뿌리[黃耆]·산해박[徐長卿]·안식향(安息香)·승검초뿌리[當歸]·대왕풀[白芨]·흰바곳[白附子]·복령(茯苓)이다. 은석(銀石)이 군의 북쪽 35리 은금동(銀金洞) 대령(大嶺)의 석벽(石壁)에서 난다.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군(郡)의 동쪽 아아리(阿兒里)에 있다. 【하품이다. 】

역(驛)이 1이니, 소관지(所串之)요, 요해처(要害處)가 3이니, 말귀원 구자(末龜院口子)·하남산 거천 구자(下南山居遷口子) 【모두 군의 북쪽에 있다. 】 ·다호천 구자(多乎遷口子)이다. 【군의 서북쪽에 있다. 】 고달산(高達山)고달굴(高達窟) 【군의 동쪽 35리에 있다. 】 청량산(淸涼山)문수굴(文殊窟) 【군의 북쪽 60리에 있는데, 장마지던지 가무는 때에 빌면 모두 응험이 있다. 】


  • 【태백산사고본】 56책 152권 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0면

谷山郡: 本高句麗 十谷城, 【一云德頓忽。】 新羅改名鎭瑞縣, 爲永豐郡領縣, 高麗改爲谷州成宗乙未, 置防禦使, 顯宗戊午, 定爲知州事。 及本朝太祖二年癸酉, 以顯妃 康氏之鄕, 陞爲谷山府, 太宗二年壬午, 復降爲知州事, 癸巳, 例改爲谷山郡, 別號象山 【淳化所定。】 甑擊山 【郡之鎭山, 令所在官春秋行祭。】 四境, 東距咸吉道 安邊任內永豐六十四里, 西距遂安三十里, 南距新恩三十二里, 北距平安道 成川六十五里。 戶八百十六, 口二千八百二十八。 軍丁, 侍衛軍一百五十五, 營鎭軍九十六, 船軍一百十九。 土姓六, ; 來姓二, ; 【今無】 亡姓二, 。 厥土, 山高地險, 風氣多寒, 俗務桑蠶, 墾田六千七百二十六結。 【水田止五十四結】 土宜, 黍、稷、菽、麥、粟、小豆、蕎麥。 土貢, 松子、五味子、人蔘、芝草、蜂蜜、黃蠟、石茸、眞茸、熊、楮、山水獺皮、黃毛、漆、黃楊木、紙。 藥材, 續斷、遠志、木賊、黃芩、黃耆、徐長卿、安息香、當歸、白芨、白附子、茯苓。 銀石産郡北三十五里銀金洞大嶺石壁。 陶器所一, 在郡東阿兒里 【下品。】 驛一, 所串 。 要害處三, 末龜院口子下南山居遷口子 【皆在郡北】 多乎遷口子 【在郡南北。】 高達山 高達窟 【在郡東三十五里】 淸凉山 文殊窟 【在郡北六十里, 水旱祈禱, 皆有驗。】


  • 【태백산사고본】 56책 152권 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