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수원 도호부 남양 도호부

지리지 / 경기 / 수원 도호부 / 남양 도호부

남양 도호부(南陽都護府)

본래 고구려당성현(唐城縣)인데, 신라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고려가 옛이름[唐城]으로 복구하여, 현종(顯宗)무오090)수주(水州) 임내(任內)에 붙이었다가, 뒤에 인주(仁州)에 옮겨 붙였으며, 명종(明宗) 2년 임진에 【곧 송나라 효종(孝宗) 건도(乾道) 8년. 】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忠烈王) 16년 경인에 고을 사람 홍다구(洪茶丘)원나라에 벼슬하여 정동행성 우승(征東行省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고, 뒤에 또 강녕 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34년 무신에 또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충선왕 2년 경술에 모든 목(牧)을 없앰에 따라 남양부(南陽府)로 강등되어, 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가, 태종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고쳤다. 속현(屬縣)이 1이니, 재양(載陽)이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수원에 이르기 15리, 서쪽으로 화지량(花之梁)에 이르기 30리, 남쪽으로 수원(水原) 임내(任內) 쌍부(雙阜)에 이르기 20리, 북쪽으로 안산(安山)에 이르기 10리이다.

호수(戶數)가 4백 87호, 인구가 7백 78명이요,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2명, 선군(船軍)이 1백 45명이다.

본부(本府)의 토성(土姓)이 6이니, 홍(洪)·송(宋)·방(房)·박(朴)·최(崔)·서(徐)요, 망성(亡姓)이 1이니, 오(吳)이다. 재양(載陽)의 토성이 4이니, 손(孫)·윤(尹)·신(辛)·우(祐)요, 내성(來姓)이 1이니, 서(徐)이며, 【안산(安山)에서 왔다. 】 속성(續姓)이 1이니, 전(田)이다. 인물(人物)은 첨의중찬(僉議中贊) 경흥군(慶興君) 충정공(忠正公) 홍자번(洪子蕃)·첨의중찬 광정공(匡定公) 홍문계(洪文系) 【모두 충렬왕(忠烈王) 때 사람이다. 】 ·첨의정승(僉議政丞) 남양후(南陽侯) 문정공(文正公) 홍언박(洪彦博)이다.【공민왕(恭愍王) 때 사람이다. 당(唐)에서 재주 있는 젊은이 8인을 보내어 고려에 가서 가르치게 하였는데, 홍(洪)도 그 중의 하나이다. 자손이 대대로 삼한(三韓)091) 에서 귀하게 되었으므로, 그가 사는 곳을 당성(唐城)이라 하였다. 】

땅이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반반 되며, 바다가 가까와서 기후[風氣]가 일찍 더워지고, 간전(墾田)이 4천 3백 48결(結)이다. 【논이 8분의 3이다. 】 토의(土宜)는 오곡(五穀)과 조·수수·팥·참깨·뽕나무·삼[麻]이요, 토공(土貢)은 지초이며, 약재(藥材)는 사자발쑥 【가장 좋은 것이다. 】 ·백부자(白附子)·연밥이요, 염소(鹽所)가 44이다. 경석(磬石)이 부(府) 동쪽 사나사(舍郡寺[舍那寺])의 서쪽 산에서 난다. 【빛이 푸르고 흰 것이 섞이고 문채가 있다. 금상(今上) 9년 정미에 캐서 경쇠를 만들었는데, 소리가 음률에 맞았다. 】 어량(魚梁)이 2이다. 【주로 민어·송어가 나고, 또 숭어·상어·참치·가물치[加大魚]·조기[石首魚]·큰새우·중새우·곤쟁이[紫蝦]·모시조개[黃蛤]·대합조개[生蛤]·미네굴[土花]·굴[石花]·낙지(落地)가 난다. 】

역(驛)이 1이니, 해문(海門)이요, 관방(關防)이 2이니, 영종포(永宗浦) 【부 남쪽에 있으니, 수군 만호(水軍萬戶)가 수어(守禦)한다. 】 화지량(花之梁)이며, 【부 서쪽에 있으니, 우도 수군 첨절제사(右道水軍僉節制使)가 수어한다. 】 봉화(烽火)가 2곳이니, 염불산(念佛山) 【부 서쪽에 있다. 동쪽으로 수원(水原) 흥천산(興天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본부(本府) 해운산(海雲山)에 응한다. 】 해운산(海雲山)이다. 【부 북쪽에 있다. 안산(安山) 무고리(無古里)에 응한다. 】 선감미도(仙甘彌島) 【화지량(花之梁) 서쪽 수로(水路) 2리에 있으니, 둘레가 5리이며, 소를 놓아 먹인다. 】 대부도(大部島) 【화지량 서쪽 2리에 있다. 길이 30리요, 너비가 15리이니, 좌도 선군영(左道船軍營) 밭이 1백여 결(結)이 있으며, 나라의 말 4백 18필을 놓아 먹이는데, 염부(鹽夫) 4호가 살면서 돌보게 한다. 】 소우도(小牛島) 【대부도 서쪽 5리에 있으니, 둘레 15리이며, 염부(鹽夫) 2호가 있다. 】 영흥도(靈興島) 【소우도 서쪽 7리에 있다. 길이 25리, 너비 15리이며, 염부(鹽夫) 5호가 있다. 】 소홀도(召忽島) 【영흥도 서쪽 30리에 있다. 예전에는 소물도(召物島)라 하였으며, 둘레가 20리이나, 밭이나 사는 사람이 없다. 】 덕적도(德積島) 【소홀도 남쪽 60리에 있다. 예전에는 인물도(仁物島)라 하였으며, 둘레가 15리인데, 나라의 말 2백 57필을 놓아 먹인다. 】 우음도(亐音島) 【부 북쪽 수로(水路) 2리에 있다. 둘레 13리이며, 밭 5결이 있는데, 부의 사람들이 드나들며 농사를 짓는다. 】 새곶이[士也串] 【나라의 말을 놓아 먹인다. 】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1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19면

南陽: 都護府, 本高句麗 唐城縣, 新羅改爲唐恩郡, 高麗復古名。 顯宗戊午, 屬水州任內, 後移屬仁州明宗二年壬辰, 【卽宋 孝宗 乾道八年】 始置監務。 忠烈王十六年庚寅, 以縣人洪茶丘爲征東行省右丞, 陞爲知益州事, 後又陞爲江寧都護府, 三十四年戊申, 又陞爲益州牧。 忠宣王二年庚戌, 汰諸牧, 降爲南陽府, 本朝因之。 太宗十三年癸巳, 例改爲都護府, 屬縣一, 載陽。 四境, 東距水原十五里, 西距花之梁三十里, 南距水原任內雙阜二十里, 北距安山十里。 戶四百八十七, 口七百七十八。 軍丁, 侍衛軍二, 船軍一百四十五。 本府土姓六, ; 亡姓一, 載陽土姓四, ; 來姓一, ; 【安山來。】 續姓一, 。 人物, 僉議中贊慶興君 忠正公 洪子蕃、僉議中贊匡定公 洪文系 【皆忠烈王時人】 僉議政丞南陽侯 文正公 洪彦博 【恭愍王時人, 唐遣才子八人, 往敎高麗, 洪其一也。 子孫世貴於三韓, 名所居曰唐城。】 厥土肥塉相半, 近海風氣早暖, 墾田四千三百四十八結。 【水田居八分之三。】 土宜五穀, 粟、唐黍、小豆、芝麻、桑、麻。 土貢, 芝草。 藥材, 獅子足艾、 【最良】 白附子、蓮子。 鹽所四十四。 磬石産府東舍郡寺[舍那寺] 西山。 【色雜, 靑白有文彩。 今上九年丁未, 採之, 作磬, 聲中音律。】 魚梁二, 【主産民魚、蘇魚。 又産首魚、沙魚、眞魚、加大魚、石首魚、大蝦、中蝦、紫蝦、黃蛤、生蛤、土花、石花、落地。】 驛一, 海門。 關防二, 永宗浦 【在府南, 水軍萬戶守禦。】 花之梁 【在府西, 右道水軍僉節制使守禦。】 烽火二處, 念佛山 【在府西, 東準水原興天山, 北準本府海雲山。】 海雲山 【在府北, 北準安山無古里。】 仙甘彌島 【在花之梁西, 水路二里, 周回五里, 牛隻入放。】 大部島 【在花之島西二里, 長三十里, 廣十五里。 有左道船軍營田百餘結, 放國馬四百十八匹, 鹽夫四戶入居看養。】 小牛島 【在大部島西五里, 周回十五里, 有鹽夫二戶。】 靈興島 【在小牛島西七里, 長二十五里, 廣十五里。 有鹽夫五戶。】 召忽島 【在靈興島西三十里, 古稱召物島, 周回二十里, 無田地居人。】 德積島 【在召忽島南六十里, 古稱仁物島, 周回十五里, 放國馬二百五十七匹。】 亏音島 【在府北水路三里, 周回十三里。 有旱田五結, 府人來往耕穫。】 士也串 【國馬入放。】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1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