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광주목 금천현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금천현

금천현(衿川縣)

본래 고구려잉벌노현(仍伐奴縣)인데, 신라곡양(穀壤)으로 고쳐서 율진군(栗津郡)061) 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금천(衿川)으로 【금천(黔川)이라고도 한다. 】 고치어,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곧 송나라 태종(太宗) 지도(至道) 원년(元年)이다. 】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목종(穆宗) 8년 을사에 【곧 송나라 진종(眞宗) 경덕(景德) 2년이다. 】 혁파하고,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곧 송나라 진종 천희(天禧) 2년이다. 】 수주(樹州)062) 임내(任內)에 붙였으며, 명종(明宗) 2년 임진에 【곧 송나라 효종(孝宗) 건도(乾道) 8년이다. 】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본조(本朝) 태종 14년 갑오에 과천(果川)을 병합하여 금과현(衿果縣)이라 하였다가 두어 달 만에 파하였고, 또 양천현(陽川縣)을 병합하여 금양현(衿陽縣)이라 하였다가 1년 만에 파하였으며, 〈태종병신063) 에 다시 금천 현감(衿川縣監)이라 하였다. 별호(別號)는 시흥(始興)이다.

사방 경계[四境]는 동쪽으로 과천(果川)에 이르기 14리, 서쪽으로 부평(富平)에 이르기 11리, 남쪽으로 안산(安山)에 이르기 15리, 북쪽으로 노도(露渡)064) 에 이르기 18리이다.

호수가 3백 27호, 인구가 9백 37명이요,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5명, 선군(船軍)이 73명이다.

토성(土姓)이 6이니, 이(李)·조(趙)·강(姜)·장(莊)·피(皮) 계(桂)이고, 망성(亡姓)이 2이니, 윤(尹)·추(秋)이다. 인물은 문하 시중(門下侍中) 인헌공(仁憲公) 강감찬(姜邯贊)이다. 【고려 현종(顯宗) 때 사람이다. 김태현(金台鉉)의 《동국문감(東國文鑑)》에 이르기를, "한 사신(使臣)을 밤에 시흥군(始興郡)에 들어갔다가, 큰 별이 사람의 집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아전을 보내어 가서 보게 하니, 마침, 그 집에서 아들을 낳았으므로, 사신이 기이하게 여겨 〈그 아이를〉 데리고 돌아가서 기르니, 이가 강감찬이다. 뒤에 송나라 사신이 강감찬을 보고 저도 모르게 절하며 이르기를, ‘문곡성(文曲星)이 보이지 아니한 지 오래 되더니, 이제 여기에 계십니다.’ 하였다. 이 말이 황당한 것 같으나, 그러나, 부열(傅說)이 기미성(箕尾星)의 정기가 되고, 신백(申伯)·보후(甫侯)가 숭악(崧岳)에 강림하였다 하니, 강감찬(姜邯贊)에게만 어찌 의심하리오." 하였다. 】

땅이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반반 되며, 백성의 풍속이 대개 어리석다. 간전(墾田)이 2천 7백 62결(結)이다. 【논이 5분의 2가 된다. 】 토의(土宜)는 오곡(五穀)과 조·팥·녹두·메밀·수수[唐黍]·참깨·뽕나무·삼[麻]이요, 토공(土貢)은 지초(芝草)요, 약재(藥材)는 백변두(白扁豆)이다.

역(驛)이 1이니, 반유(盤乳)이고, 목장(牧場)이 2이니, 하나는 달촌(達村)이요, 【현(縣) 북쪽에 있으니, 둘레가 12리이며, 국마(國馬)를 놓아 기른다. 】 둘째는 사외포(沙外浦)이다. 【현(縣) 서북쪽에 있다. 양천(陽川) 절고지포[寺串浦]와 서로 연해서 둘레가 15리이니, 우군(右軍)의 목장(牧場)이다. 】 양화도(楊花渡) 【현(縣) 북쪽에 있고, 도승(渡丞)이 있다. 】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17면

衿川縣: 本高麗 仍伐奴縣, 新羅改名穀壤, 爲栗津郡領縣。 高麗改爲衿川 【一作黔。】 成宗十四年乙未, 【卽宋 太宗 至道元年】 置團練使, 穆宗八年乙巳, 【卽宋 眞宗 景德二年。】 罷之。 顯宗九年戊午, 【卽宋 眞宗 天禧二年。】樹州任內。 明宗二年壬辰, 【卽宋 孝宗 乾道八年。】 始置監務。 本朝太宗十四年甲午, 革果川, 倂爲衿果縣, 數月而罷。 又革陽川縣, 倂爲衿陽縣, 一歲而罷。 丙申, 復爲衿川縣監, 別號始興。 四境, 東距果川十四里, 西距富平十一里, 南距安山十五里, 北距露渡十八里。 戶三百二十七, 口九百三十七。 軍丁, 侍衛軍五, 船軍七十三。 土姓六, ; 亡姓二, 。 人物, 門下侍中仁憲公 姜邯賛, 【高麗 顯宗時人。 金台鉉 《東國文鑑》云: "有一使臣, 夜入始興郡, 見大星隕于人家, 遣吏往視之, 適其家婦生男, 使臣心異之, 取歸以養, 是爲姜邯贊。 後宋使見之, 不覺下拜曰: ‘文曲星, 不見久矣, 今在此。' 是說似涉荒唐, 然傅說爲箕、尾之精; 申甫維, 崧嶽之降, 獨於邯贊何疑乎!"】 厥土, 肥塉相半。 民俗凡愚。 墾田二千七百六十二結。 【水田居五分之二。】 土宜五穀, 粟、小豆、菉豆、蕎麥、唐黍、芝麻、桑、麻。 土貢, 芝草。 藥材, 白扁豆。 驛一, 盤乳。 牧場二, 一曰達村, 【在縣北, 周回十二里, 牧國馬。】 二曰沙外浦 【在縣西北, 與湯川寺串浦相連, 周回十五里, 右軍牧場。】 楊花渡 【在縣北, 有渡丞。】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