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여흥 도호부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양근군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음죽현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이천현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과천현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천녕현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지평현
-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 금천현
⊙ 광주목(廣州牧)
목사(牧使) 1인, 판관(判官) 1인, 유학 교수관(儒學敎授官) 1인.
백제 시조(百濟始祖) 온조왕(溫祚王)이 한(漢)나라 성제(成帝) 홍가(鴻嘉) 3년(기원전 18) 계묘에 국도(國都)를 위례성(慰禮城)에 세웠다가, 13년 을묘에 이르러 임금이 여러 신하에게 이르기를,
"내가 보매, 한수(漢水) 남쪽의 땅이 기름지고 걸으니, 마땅히 여기에 도읍을 세워서 장구한 계교를 도모하고자 하노라."
하고, 드디어 한산(漢山) 아래에 나아가 목책[柵]을 세우고, 위례성의 민호(民戶)를 옮기며, 궁궐을 짓고, 14년 병진 정월에 도읍을 옮기고 남한성(南漢城)이라 하다가, 3백 76년을 지나 근초고왕(近肖古王) 24년 신미에 【곧 동진(東晉) 간문제(簡文帝) 함안(咸安) 원년(元年). 】 도읍을 남평양(南平壤)에 옮기고 북한성(北漢城)이라 하였다. 당(唐)나라 고종(高宗) 현경(顯慶) 5년 경신에 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백제를 치는데, 신라 태종왕(太宗王)이 김유신(金庾信)을 보내어 협공(夾攻)하여 〈백제를〉 멸하고, 당나라 군사가 다 돌아가매, 문무왕(文武王)이 차츰 그 땅을 거두어 차지하여, 3년 갑자에 【인덕(麟德) 원년(元年). 】 한산주(漢山州)로 고치고, 8년 경오에 【함형(咸亨) 원년. 】 남한산주(南漢山州)로 하였다가, 경덕왕(景德王) 15년 정유에 【곧 당나라 숙종(肅宗) 지덕(至德) 2년. 】 한주(漢州)로 고쳤고,【신라가 이미 고구려와 백제를 병합하매, 신문왕(神文王)이 비로소 신라 경내(境內)의 사벌(沙伐)029) ·삽량(歃良)030) ·거열(居列)031) 의 3주(州)와 백제의 옛땅 웅천(熊川)032) ·완산(完山)033) ·무진(武珍)034) 의 3주와 고구려의 옛땅 한산(漢山)035) ·우수(牛首)036) ·하서(河西)037) 의 3주로써 구주(九州)의 수를 갖추었는데, 경덕왕 때에 이르러 구주(九州) 및 모든 군현(郡縣)의 이름을 모두 고치었으므로, 뒤에 대개 신라가 고쳐서 모모(某某)로 하였다고 한 것은 모두 이 해의 일이다. 】 고려 태조(太祖) 23년 경자에 【곧 진(晉)나라 고조(高祖) 천복(天福) 5년. 】 광주(廣州)로 고치고, 성종(成宗) 2년 계미에 【곧 송(宋)나라 태종(太宗) 태평흥국(太平興國) 8년. 】 처음으로 12주·목(州牧)을 두니, 〈광주가〉 곧 그의 하나이다. 〈성종〉 14년 을미에 【곧 송나라 지도(至道) 원년. 】 12절도사(節度使)를 두고 광주 봉국군 절도사(廣州奉國軍節度使)라 하였다가, 현종(顯宗) 3년 임자에 절도사를 폐하여 안무사(按撫使)로 고치고, 9년 무오에 【곧 송나라 진종(眞宗) 천희(天禧) 3년. 】 8목(牧)을 정해 둠에 따라, 광주목(廣州牧)이 되었다. 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별호(別號)는 회안(淮安)이다. 【성종(成宗) 10년 신묘에 주군(州郡)의 별호(別號)를 정하였는데, 광주를 회안(淮安)이라 하니, 곧 송나라 태종(太宗) 순화(淳化) 원년이다. 뒤에 순화(淳化)에 정한 바라 한 것은 모두 이를 말함이다. 】
검단산(黔丹山) 【주(州) 동쪽에 있으니, 고을 사람들이 진산(鎭山)이라고 일컫는다. 】 도미진(渡迷津) 【주(州) 동북쪽에 있으며, 나룻배가 있다. 】 그 서쪽을 진촌진(津村津)이라 하며, 【주(州) 북쪽에 있으니, 나루머리[津頭]에 수참(水站)을 두었고, 참선(站船)이 15척이다. 】 또 그 서쪽에 광진도(廣津渡)가 있다. 【도승(渡丞)이 있어서 〈사람의〉 드나드는 것을 조사하는데, 좌도 수참 전운 판관(左道水站轉運判官)이 겸하여 조운(漕運)을 관장한다. 】 사방 경계[四境]는 동쪽으로 양근(楊根) 용진(龍津)에 이르기 30리, 서쪽으로 과천(果川)을 지나서 수원(水原) 경계의 성곶이[聲串]에 이르기 85리, 남쪽으로 이천(利川)의 양지(陽知)에 이르기 45리, 북쪽으로 양주(楊州)에 이르기 11리요, 동서(東西)가 1백 15리, 남북(南北)이 56리이다.
헌릉(獻陵)은 태종 공정 대왕(太宗恭定大王)과 원경 왕후(元敬王后)를 합장하였다.【주(州) 서쪽 대모산(大母山)038) 의 양지쪽 건해산(乾亥山)에 있으니, 건좌 손향(乾坐巽向)이다. 능 앞에 신도비(神道碑)를 세우고, 능직(陵直)·권무(權務) 2인과 수호군(守護軍) 1백 호를 두고, 매호마다 밭 2결(結)을 주었다. 】 문묘(文廟) 【주(州) 북쪽에 있다. 나라에서 각도 주(州)·부(府)·군(郡)·현(縣)에 모두 문묘를 두고 향교(鄕校)라 한다. 그 생도(生徒)의 액수(額數)는, 유수관(留守官)에는 50명, 목(牧)과 도호부(都護府)에는 40명, 군(郡)에는 30명, 현(縣)에는 15명으로 하며, 제전(祭田)·학전(學田)과 노비(奴婢)를 주는데, 각기 차이를 둔다. 도호부(都護府) 이상은 모두 교수관(敎授官)을 두고, 군과 현에는 혹은 교수관, 혹은 교도(敎導)를 두며, 만일 민호(民戶)가 5백 호가 차지 못하면 학장(學長)을 두어 생도들을 가르치게 한다. 뒤에는 각 고을[邑]에 다시 문묘를 적지 아니한다. 】
호수는 1천 4백 36호, 인구는 3천 1백 단(單)10명이며,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백 22명이요, 선군(船軍)이 2백 63명이다. 【잡색군(雜色軍)은 다 토정(土丁)을 뽑아 군사를 삼았으므로 같이 적지 아니한다. 나머지 고을도 〈모두〉 이와 같다. 】
토성(土姓)이 3이니, 이(李)·안(安)·김(金)이요, 가속성(加屬姓)이 3이니, 박(朴)·노(盧)·장(張)이요, 【이 6성은 옛 문적과 지금의 본도(本道) 관록(關錄)에 의거한 것이며, 그 가속성(加屬姓)이란 것은 옛 문적에 기록되어 있는 바이니, 뒤에도 모두 이와 같다. 】 망성(亡姓)이 5이니, 윤(尹)·석(石)·한(韓)·지(池)·소(素)이다. 【대개 망성(亡姓)이라 한 것은 옛 문적에만 있고 지금은 없음을 이름이니, 뒤에도 모두 이와 같다. 】
땅은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서로 반반 되며, 간전(墾田)이 1만 6천 2백 69결(結)이다. 【논이 4분의 1이 넘는다. 】 토의(土宜)는 오곡(五穀) 【오곡(五穀)의 주석(註釋)을 살펴보면, 모든 책이 같지 아니하다. 오직 《주례(周禮)》 직방씨(職方氏)에 "예주(豫州) 땅에 곡식의 5종류가 알맞게 된다." 함에, 안사고(顔師古)가 주를 내되, "기장[黍]·피[稷]·콩[菽]·보리[麥]·벼[稻]"라 하였고, 주자(朱子)가 《맹자(孟子)》의 오곡을 주내되, 안사고의 말을 좇았으므로, 이제 그를 따른다. 】 ·잡곡(雜穀)과 대추[棗]·칠(漆)·닥[楮]·왕골[莞]·뽕[桑]이요, 토공(土貢)은 느타리[眞茸]요, 약재(藥材)는 돌고드름[禹餘糧]·안식향(安息香)·사자발쑥[獅子足艾]·현호색(玄胡索)·진봉(蓁芃)이요, 토산(土産)은 은구어(銀口魚)이다. 【주(州) 서쪽 어원(御院) 앞 내에서 난다. 】 염소(鹽所)가 1이요, 【분(盆) 1, 구(區) 2이다. 】 자기소(磁器所)가 4이니, 하나는 주(州) 동쪽 벌내[伐乙川]에, 【상품(上品). 】 하나는 주(州) 동쪽 소산(所山)에, 하나는 주(州) 남쪽 석굴리(石掘里)에, 【모두 하품(下品)이다. 】 하나는 주(州) 동쪽 고현(羔峴)039) 에 있다. 도기소(陶器所)가 3이니, 하나는 주(州) 남쪽 초현(草峴)040) 에, 【중품(中品). 】 하나는 주(州) 동쪽 초벌리(草伐里)041) 에, 하나는 주(州) 서쪽 배곶이[梨串]에 있다. 【모두 하품(下品)이다. 】
일장 산성(日長山城)은 주치(州治)의 남쪽에 있다. 【높고 험하며, 둘레가 3천 9백 93보(步)요, 안에 군자고(軍資庫)와 우물 7이 있는데, 가뭄을 만나도 물이 줄지 아니한다. 또 밭과 논이 있는데, 모두 1백 24결(結)이다. 《삼국사(三國史)》에는, "신라 문무왕(文武王)이 비로소 한산(漢山)에 주장성(晝長城)을 쌓았다."고 하였다. 】
역(驛)이 4이니, 덕풍(德豐)·경안(慶安)·봉안(奉安)·낙생(樂生) 【옛 안복(安菐). 】 이요, 목장(牧場)이 2이니, 하나는 주(州) 서쪽 마전포(麻田浦)에, 【둘레 20리. 】 하나는 주(州) 서쪽 조포평(助布坪)에 있고, 【둘레 18리. 】 봉화(烽火)가 1곳이니, 천천산(穿川山)은 주(州) 서쪽에 있다. 【남쪽으로 용인(龍仁)의 석성(石城)에 응하고, 북쪽으로 서울 목멱산(木覓山)에 응한다. 】
관할[所領]은, 도호부(都護府)가 1이니, 여흥(驪興)042) 이요, 군(郡)이 1이니, 양근(楊根)이요, 현(縣)이 6이니, 음죽(陰竹)·이천(利川)·과천(果川)·천녕(川寧)·지평(砥平)·금천(衿川)이다.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6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15면
- [註 029]사벌(沙伐) : 상주.
- [註 030]
삽량(歃良) : 양산.- [註 031]
거열(居列) : 진주.- [註 032]
웅천(熊川) : 공주.- [註 033]
완산(完山) : 전주.- [註 034]
무진(武珍) : 광주.- [註 035]
한산(漢山) : 광주.- [註 036]
우수(牛首) : 춘천.- [註 037]
하서(河西) : 강릉.- [註 038]
대모산(大母山) : 할미산.- [註 039]
고현(羔峴) : 염소 고개.- [註 040]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驪興都護府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楊根郡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陰竹縣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利川縣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果川縣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川寧縣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砥平縣
-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 衿川縣
⊙ 廣州: 牧使一人、判官一人、儒學敎授官一人。 百濟始祖溫祚王, 漢 成帝 鴻嘉三年癸卯, 建國都于慰禮城。 至十三年乙卯, 王謂群臣曰: "予觀漢水之南, 土壤膏腴, 宜都於此, 以圖久安之計。" 遂就漢山下立柵, 移慰禮城民戶, 立宮闕。 十四年丙辰正月, 遷都, 號南漢城, 歷三百七十六年, 至近肖古王二十四年辛未, 移都南平壤, 號北漢城。 【卽東晋 簡文帝 咸安元年。】 及唐 高宗 顯慶五年庚申, 唐將蘇定方征百濟, 新羅 太宗王遣金庾信, 夾攻滅之。 唐師旣還, 文武王漸收其地, 三年甲子, 改爲漢山州, 【麟德元年】 八年庚 午, 改爲南漢山州。 【咸亨元年】 景德王十五年丁酉, 改名漢州, 【卽唐 肅宗 至德二年。 新羅旣幷高句麗、百濟, 神文王始以新羅境內沙伐、軟良、居列三州、百濟故地熊川、完山、武珍三州、高句麗故地漢山、牛首、河西三州, 備九州之數。 至景德王, 悉改九州及諸郡縣名。 後凡書新羅改爲某者, 皆此年事也。】 高麗 太祖二十三年庚子, 改爲廣州, 【卽晋 高祖 天福五年】 成宗二年癸未, 初置十二州牧, 卽其一也。 【卽宋 太宗 太平興國八年】 十四年乙未, 置十二節度使, 號爲廣州奉國軍節度使。 【卽宋 至道元年】 顯宗三年壬子, 廢節度使, 改爲按撫使。 九年戊午, 定置八牧, 仍爲廣州牧, 【卽宋 眞宗 天僖三年】 本朝因之, 別號淮安。 【成宗十年辛卯, 定州郡別號, 廣州曰淮安, 卽宋 太宗 淳化元年也。 後凡書淳化所定者, 皆倣此。】 黔丹山、 【在州東, 州人稱爲鎭山。】 渡迷津。 【在州東北, 有渡船。】 其西曰津村津, 【在州北, 津頭置水站, 站船十五艘。】 又其西有廣津渡。 【有渡丞譏察出入, 以左道水站轉運判官兼之, 專掌漕運。】 四境, 東距楊根、龍津三十里, 西過果川、水原界至聲串八十五里, 南距利川、陽知四十五里, 北距楊州十一里, 東西一百十五里, 南北五十六里。 獻陵, 合葬我太宗恭定大王、元敬王后。 【在州西大母山之陽, 乾亥山乾坐巽向。 卽陵巽方建神道碑, 置陵直權務二人、守護軍百戶, 每一戶給田二結。】 文廟 【在州北。 國家於各道州府郡縣, 皆置文廟, 謂之鄕校。 其生徒之數, 留守官五十, 牧都護府四十, 郡三十, 縣十五。 給祭田學田奴婢, 各有差。 都護府已上, 皆有敎授官。 郡縣或除敎授官, 或除敎導。 若民戶不滿五百者, 亦置學長, 以訓生徒。 後於各邑, 不復書文廟。】 戶一千四百三十六, 口三千一百單十。 軍丁, 侍衛軍一百二十二, 船軍二百六十三。 【雜色軍, 盡括土丁爲兵, 故不幷錄。 餘州倣此。】 土姓三, 李、安、金; 加屬姓三, 朴、盧、張; 【此六姓, 據古籍及今本道附錄之。 其云加屬者, 古籍所書也。 後皆倣此。】 亡姓五, 尹、石、韓、池、素。 【凡稱亡姓, 謂古籍所有, 而今無者。 後皆倣此。】 厥土, 肥塉相半, 墾田一萬六千二百六十九結。 【水田居四分之一强。】 土宜五穀、 【按五穀註釋, 諸書不同。 唯周禮職方氏, 豫州, 其穀宜五種。 顔師古註云: "黍稷菽麥稻。" 朱子註孟子, 從顔氏說, 今從之。】 雜穀, 棗、漆、楮、莞、桑。 土貢, 眞茸、芝草。 藥材: 禹餘糧、安息香、獅子足艾、玄胡索、(秦)〔蓁〕芃。 土産, 銀口魚。 【出州西御院前川。】 鹽所一。 【盆一區二】 磁器所四, 一在州東代乙川, 【上品】 一在州東所山, 一在州南石掘里, 【皆下品。】 一在州東羔峴。 陶器所三, 一在州南草峴, 【中品】 一在州東草伐里, 一在州西梨串。 【皆下品。】 日長山城在州治南。 【高險。 周回三千九百九十三步, 內有軍資庫井七, 遇旱不渴。 又有旱田水田共一百二十四結。 三國史云: "新羅文武王始築漢山晝長城。"】 驛四, 德豐、慶安、奉安、樂生。 【古安菐。】 牧場二, 一在州西麻田浦, 【周回二十里。】 一在州西助布坪。 【周回十八里。】 烽火一處, 穿川山在州西。 【南準龍仁、石城, 北準京城、木覓。】 所領都護府一, 驪興; 郡一, 楊根; 縣六, 陰竹、利川、果川、川寧、砥平、衿川。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6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15면
- [註 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