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지리지 / 경기


경기(京畿)

도관찰 출척사(都觀察黜陟使) 1인, 수령관(首領官) 1인, 의학 교유(醫學敎諭)·검률(檢律) 각각 1인. 【다른 도(道)도 이와 같다. 】

본래 고구려의 땅이다. 고려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곧 송(宋)나라 태종(太宗) 지도(至道) 원년(元年). 】 개주(開州)개성부(開城府)로 승격시켜 적현(赤縣) 6, 기현(畿縣) 7을 관할하게 하다가, 【고사(古史)에 다만 현(縣)의 수만 기록하고 이름을 적지 아니해서 자세히 상고할 수 없다. 】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곧 송나라 진종(眞宗) 대중상부(大中祥符) 11년. 】 개성부를 파하고 개성 현령(開城縣令)으로써 정주(貞州)·덕수(德水)·강음(江陰)의 3현을 관할하게 하고, 장단 현령(長湍縣令)으로써 송림(松林)·임진(臨津)·토산(兎山)·임강(臨江)·적성(積城)·파평(坡平)·마전(麻田)의 7현을 관할하게 하고,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직속시켜 경기(京畿)라 일렀다. 문종(文宗) 16년 임인에 【곧 송나라 인종(仁宗) 가우(嘉祐) 7년. 】 다시 개성부로 승격시켜 도성(都省)에서 관장하던 11현을 모두 붙이고, 또 서해도(西海道)평주(平州)022) 임내(任內)인 우봉군(牛峯郡)을 떼어 이에 붙였으며, 그 후 다시 개성 현령을 두어 개성부에 붙이었다. 【연대는 알 수 없다. 】 공양왕(恭讓王) 2년 경오에 【곧 명나라 태조 고황제 홍무(洪武) 23년. 】 경기(京畿)를 갈라 좌·우도(左右道)로 하여, 장단·임강·토산·임진·송림·마전·적성·파평현을 좌도(左道)로, 개성·강음·해풍·덕수·우봉을 우도(右道)로 하고, 또 경기(京畿)를 더 넓혀서 양광도(楊廣道)한양(漢陽)·남양부(南陽府)·인주(仁州)·안산군(安山郡)·교하(交河)·양천(陽川)·금천(衿川)·과주(果州)·포주(抱州)·서원(瑞原)·고봉현(高峯縣)교주도(交州道)철원부(鐵原府)·영평(永平)·이천(伊川)·안협(安峽)·연주(漣州)·삭녕(朔寧)으로써 좌도(左道)에 붙이고, 양광도부평(富平)·강화부(江華府)·교동(喬桐)·김포(金浦)·통진현(通津縣)서해도(西海道)연안부(延安府)·평주(平州)·배주(白州)·곡주(谷州)·수안군(遂安郡)·재령(載寧)·서흥(瑞興)·신은(新恩)·협계현(俠溪縣)으로써 우도(右道)에 붙이고, 각기 도관찰 출척사(都觀察黜陟使)를 두고 수령관(首領官)으로써 돕게 하다가, 【4품 이상은 경력(經歷)을 삼고, 5품 이하는 도사(都事)를 삼았다. 】 우리 태조(太祖) 3년 갑술에 【곧 홍무 27년. 】 도읍을 한양부에 정하게 되매, 그 이듬해 을해에 평주·수안·곡주·재령·서흥·신은·협계는 새 서울[新都]에 가는 길이 멀므로 도로 서해도에 붙이고, 양광도광주(廣州)·수원부(水原府)·양근군(楊根郡)·쌍부(雙阜)·용구(龍駒)·처인(處仁)·이천(利川)·천녕(川寧)·지평현(砥平縣)을 갖다 이에 붙이고, 광주·수원의 관할인 군(郡)·현(縣)을 갈라서 좌도(左道)로 하고, 양주·부평·철원·연안의 관할인 군·현을 우도(右道)로 하고, 7년[戊寅]에 또 충청도(忠淸道)진위현(振威縣)을 떼어서 좌도에 붙이었다가, 태종(太宗) 2년 임오에 【곧 홍무 35년. 】 두 도(道)를 합하여 경기 좌·우도라 하고, 성관찰사(省觀察使)·수령관(首領官)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3년 계사에 【곧 명나라 태종 문황제(太宗文皇帝) 영락(永樂) 11년. 】 사방길의 멀고 가까움을 참작하여 연안(延安)·배주(白州)·우봉·강음·토산을 도로 풍해도(豐海道)에, 이천(伊川)을 도로 강원도에 붙이고, 충청도여흥부(驪興府)·안성군(安城郡)·양지(陽知)·양성(陽城)·음죽현(陰竹縣)강원도가평현(加平縣)을 떼어다가 이에 붙이고, 좌·우도(左右道)로 나누지 않고 다만 경기 도관찰사(京畿都觀察使)라 일컫고 사(司)를 수원(水原)에 두었다. 동쪽은 강원도 춘천(春川)원주(原州)에 이르고, 서쪽은 황해도 강음(江陰)배천(白川)에 이르며, 남쪽은 충청도 죽산(竹山)직산(稷山)에 이르고, 북쪽은 황해도토산(兎山)강원도 이천(伊川)에 이르러서, 동서가 2백 64리요, 남북이 3백 64리가 된다.

목(牧)이 1이요, 도호부(都護府)가 8이요, 군(郡)이 6이요, 현(縣)이 26이다.

명산(名山)으로 말하면, 삼각산(三角山)은 도성(都城)의 진산(鎭山)이 되며, 백악(白岳) 북쪽에 있고, 성거산(聖居山)은 옛 서울의 송악(松岳) 동북쪽에 있으며, 화악(花岳)가평현(加平縣) 북쪽에 있고, 겸악(鉗岳)적성현(積城縣) 동쪽에 있으며, 용호산(龍虎山)임강현(臨江縣) 남쪽에 있고, 오관산(五冠山)임강현의 임내(任內)인 송림(松林) 북쪽에 있으며, 마리산(摩利山)강화부(江華府) 남쪽에 있다.

대천(大川)으로 말하면, 한강(漢江)은 그 근원이 강원도 오대산(五臺山)으로부터 나와 영월군(寧越郡) 서쪽에 이르러 여러 내를 합하여 가근동진(加斤同津)이 되고, 충청도 충주(忠州)연천(淵遷)을 지나서 한결같이 서쪽으로 흘러 여흥(驪興)을 지나 여강(驪江)이 되고, 천녕(川寧)에서 이포(梨浦)가 되며, 양근(楊根)에서 대탄(大灘)이 되고, 또 사포(蛇浦)용진(龍津)이 되었으며, 〈한 줄기는〉 인제현(麟蹄縣)이포소(伊布所)로부터 나와 춘천(春川)에 이르러 소양강(昭陽江)이 되고, 남쪽으로 흘러 가평현(加平縣) 동쪽에서 안판탄(按板灘)023) 이 되고, 양근(楊根) 북쪽에서 입석진(立石津)024) 이 되며, 또 〈양근〉 남쪽에서 용진도(龍津渡)가 되고, 사포(蛇浦)로 들어가서 두 물이 합하여 흘러 광주(廣州) 경계에 이르러서 도미진(渡迷津)이 되고, 〈다음에〉 광나루[廣津]가 되었으며, 서울 남쪽에 이르러 한강도(漢江渡)가 되고, 서쪽에서 노도진(露渡津)025) 이 되며, 서쪽에서 용산강(龍山江)이 되었는데, 경상·충청·강원도경기 상류(上流)에서 배로 실어 온 곡식이 모두 이곳을 거치어 서울에 다다른다. 강물이 도성 남쪽을 지나 금천(衿川) 북쪽에 이르러 양화도(楊花渡)가 되고, 양천(陽川) 북쪽에서 공암진(孔岩津)이 되며, 교하(交河) 서쪽 오도성(烏島城)에 이르러 임진강(臨津江)과 합하고, 통진(通津) 북쪽에 이르러 조강(祖江)이 되며, 포구곶이[浦口串]에 이르러서 나뉘어 둘이 되었으니, 하나는 곧장 서쪽으로 흘러 강화부 북쪽을 지나 하원도(河源渡)가 되고, 교동현(喬桐縣) 북쪽 인석진(寅石津)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니, 황해도에서 배로 실어 온 곡식이 〈모두〉 이곳을 거치어 서울에 다다른다. 하나는 남쪽으로 흘러 강화부 동쪽 갑곶이나루[甲串津]를 지나서 바다로 들어가니, 전라·충청도에서 배로 실어 온 곡식이 모두 이곳을 거치어 서울에 다다른다. 임진강(臨津江)은 그 근원이 함길도(咸吉道) 안변(安邊)의 임내(任內)인 영풍현(永豐縣) 방장동(防墻洞)으로부터 와서 이천(伊川)·안협(安峽)·삭녕(朔寧) 경계를 지나 연천(漣川)에 이르러, 물이 비로소 커져서 징파도(澄波渡)가 되고, 마전(麻田)을 지나 적성(積城)에 이르러 이포진(梨浦津)026) 이 되며, 장단(長湍)에서 두지진(豆只津)이 되고, 임진현 동쪽에 이르러 임진도(臨津渡)가 되며, 서쪽으로 흘러 〈임진현〉 동남쪽에 이르러서 덕진(德津)이 되고, 남쪽으로 흘러 교하현 서쪽에 이르러서 낙하도(洛河渡)가 되며, 봉황바위[鳳凰岩]를 지나 오도성(烏島城)에 이르러 한강과 합하여 함께 바다로 들어간다.

호수가 2만 8백 82호, 인구가 5만 3백 52명 【본조(本朝)는 인구(人口)의 법이 밝지 못하여, 문적에 적힌 것이 겨우 열의 한둘이 되므로, 나라에서 매양 바로잡으려 하나, 너무 인심(人心)을 잃게 되어, 그럭저럭 이제까지 이르렀으므로, 각도 각 고을의 인구수가 이렇게 되었고, 다른 도들도 모두 이렇다. 】 이요,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천 7백 13명, 선군(船軍)이 3천 8백 92명이다.

간전(墾田)은 20만 3백 47결(結)이다. 【밭[旱田]이 12만 4천 1백 73결 남짓하고, 논[水田]이 7만 6천 1백 73결 남짓하다. 】 그 부세(賦稅)는 쌀[稻米]【멥쌀[粳米]·흰쌀[白米]· 세경미(細粳米)027) ·점경미(粘粳米)·조미(糙米)028) 가 있다. 】 ·직미(稷米)·콩[豆] 【콩·팥·녹두가 있다. 】 ·보리 【보리·밀·메밀이 있다. 】 ·지마(芝麻) 【속명 참깨. 】 ·꿀[蜂蜜]·밀[黃蠟]·지마유(芝麻油) 【속명 참기름. 】 ·소자유(蘇子油) 【속명 법유(法油). 】 ·가루장[末醬]·겨자[芥子]·모시[白苧布]·다섯새베[正五升布] 【대개 군읍(郡邑)의 구실[田賦]이 머나 가까우나 모두 같으므로, 다시 고을 밑에 적지 아니한다. 】 등이다.

토공(土貢)은 모과[木瓜]·개암씨[榛實]·상수리[橡實]·밤[栗]·감[柿]·대추[棗]·느타리[眞茸]·싸리 버섯[鳥足茸]·황각(黃角)·산삼(山蔘)·도라지[桔梗]·마른 멧돼지고기[乾猪]·토끼젓[兎醢]·물고기젓[魚醢]·숭어[水魚]·민어(民魚)·젓[醢]·질그릇[陶器]·사기 그릇[磁器]·목기(木器)·버들 고리[柳器]·갈소쿠리[蘆簞]·참빗[省帚]·왕골속[莞心]·노화지(蘆花紙)·잡깃[雜羽]·갓[常笠]·새[草]·마의(馬衣)·짚[藁草]·꼴[芻藁]·새끼[藁索]·삼노[麻索]·소나무 그을음[松煙]·송진[松脂]·주토(朱土)·갈탄(葛炭)·향나무[香木] 【백단향(白檀香)·자단향(紫檀響)·역목(櫟木)이 있다. 】 ·굴가루[蠣灰]·명아주재[藜灰]·황회(黃灰)·지초(芝草)·단풍나무잎[楓葉]·영선 잡목(營繕雜木)·자작나무[自作木]·은행나무[杏木]·피나무[椵木]·뽕나무[黃桑木]·앵도나무[櫻木]·장작[燒木]이다.

약재(藥材)는 쇠쓸개[牛贍]·범의 정강이뼈[黃虎脛骨]·곰의 쓸개[熊膽]·돼지쓸개[猪膽]·수달피쓸개[獺膽]·고슴도치쓸개[猬膽]·섣달토끼머리[臘兎頭]·고슴도치가죽[猬皮]·아교(阿膠)·말벌집[露蜂房]·지네[蜈蚣]·누에나비[元蠶蛾]·누에허물[馬鳴退]·가뢰[斑猫]·매미허물[蟬退皮]·뱀허물[蛇退皮]·두꺼비[蟾酥]·청개구리[蝦蟆]·자라껍데기[鼈甲]·뽕나무벌레[桑螵蛸]·마른 잉어[乾鯉魚]·잉어쓸개[鯉魚膽]·굴조개껍질[牡蠣]·누에똥[蠶沙]·오가피(五加皮)·황경나무껍질[黃蘗皮]·뽕나무뿌리껍질[桑白皮]·느릅나무속껍질[楡白皮]·산이스랏씨[郁李仁]·복숭아씨[桃仁]·살구씨[杏仁]·탱자[枳殼]·회화나무열매[槐實]·회화나무꽃[槐花]·송진[松脂]·연밥[蓮子]·조피나무열매[川椒]·오배자(五倍子)·복령(茯苓) 【붉은 것과 흰 것 두 종류가 있다. 】 ·복신(茯神)·안식향(安息香)·산골[自然銅]·돌고드름[禹餘糧]·하늘타리[天圓子]·새삼씨[兎絲子]·고무딸기열매[覆盆子]·오미자(五味子)·나팔꽃씨[牽牛子] 【흰 것과 검은 것의 두 가지가 있다. 】 ·질경이씨[車前子]·찔레씨[蒺梨子]·백부자(白附子)·백출(白朮)·창출(蒼朮)·창포말(菖蒲末)·석창포(石菖蒲)·쥐방울[馬兜苓]·쇠비름[馬齒莧]·붓꽃[馬藺]·부들꽃[蒲黃]·택사(澤瀉)·도라지[桔梗]·탱알[紫莞]·삽주[薊草] 【큰 것과 작은 것 두 종류가 있다. 】 ·수자해좆뿌리[天麻]·수자해좆싹[赤箭]·가희톱[白歛]·삿갓풀뿌리[蚤休]·검산풀뿌리[續斷]·절국대뿌리[漏蘆]·박새[藜蘆]·족도리풀뿌리[細辛]·칡뿌리[葛根]·석죽화[瞿麥]·외나물뿌리[地楡]·승검초뿌리[當歸]·마뿌리[山藥]·하눌타리뿌리[括樓根]·버들옷[大戟]·자리공뿌리[商陸]·검화뿌리껍질[白蘇皮]·매자기뿌리[京三稜]·여우오줌풀뿌리[鶴蝨]·나리뿌리[百合]·감대뿌리[虎杖根]·두룹뿌리[獨活]·두여머조자기[天南星]·쇠무릎[牛膝]·사자발쑥[獅子足艾]·도꼬마리[蒼耳]·시호(柴胡)·끼절가리뿌리[升麻]·함박꽃뿌리[芍藥] 【붉은 것과 흰 것 두 가지가 있다. 】 ·호본(蒿本)·구리때뿌리[白芷]·끼무릇뿌리[半夏]·현삼(玄蔘)·쓴너삼뿌리[苦蔘]·더위지기[茵陳]·진봉[秦]·현호색(玄胡索)·부처손[卷栢]·참외뿌리[土瓜根]·속서근풀[黃芩]·단너삼뿌리[黃耆]·으름덩굴[木通]·으름[林下夫人]·낙석(絡石)·지모(知母)·회초미뿌리[貫衆]·수뤼나물뿌리[葳靈仙]·바곳[草烏頭]·방장초(放杖草)·살남람(殺男藍)·들쑥[漆]·며래뿌리[萆]·이리어금니[狼牙]·하국[旋覆花]·겨우살이꽃[金銀花]·금등화[金燈花]이다. 【이상의 잡공(雜貢) 및 약재(藥材)를, 이제 토산(土産)의 희귀(稀貴)한 것은 각기 그 고을 밑에 기록하고, 그 각 고을마다 나는 것으로서, 다만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것만은 다시 기록하지 아니한다. 】

재배하는 약재(藥材)는 백변두(白扁豆)·양귀비[粟]·차조기[紫蘇]·영생이[薄荷]·소야기[香薷]·악실(惡實)·겨자[芥子]·삼씨[麻子]·회향(回香)·생지황(生地黃)·장군풀[大黃]·청목향(靑木香)·정가[荊芥]·해바라기씨[葵子]·무우씨[蘿葍子]·순무우씨[蔓菁子]·참외꼭지[眞苽帶]·맨드라미꽃[鷄冠花] 【붉은 것과 흰 것 두 종류가 있다. 】 ·감국(甘菊)·잇[紅花]·율무[薏苡]이다. 【이상의 약재는 각 고을의 풍토에 맞는 것을 따라 의원(醫院)으로 하여금 심어 기르게 한다. 〈이것은〉 본래 산이나 들에서 나는 것이 아니므로, 모두 각 고을 밑에 기록하지 아니하였다. 무릇 한 물건이 밭구실[田賦]·토공(土貢)·약재(藥材) 따위에 거듭 나온 것이 많이 있으나, 이제 그 거듭된 것을 좇고, 오직 꿀[蜂蜜]·밀[黃蠟] 따위는 다만 토공에 기록하고, 인삼·오미자(五味子) 따위는 다만 약재난에 기록하여, 다시 거듭 나오지 않게 하였다. 】

좌도 수군 첨절제사영(左道水軍僉節制使營)은 남양부(南陽府) 서쪽 화지량(花之梁)에 있고, 【항상 중대선(中大船) 3척과 쾌선(快船) 10척, 무군선(無軍船) 13척을 거느리고 강화(江華)를 수어(守禦)하는데, 장번 수군(長番水軍)이 69명이요, 각관(各官)의 좌·우령(左右領) 선군(船軍)이 총 1천 5백 97명이다. 대개 배 1척에 각기 땔나무와 물을 실어 나르는 삼판소선(三板小船)이 있으며, 그 무군선은 만일 경급(警急)한 일이 있으면 영선군(領船軍)을 모두 징발하여 태우는 것이니, 뒤의 것도 모두 이와 같다. 】 영종포 만호(永宗浦萬戶)는 남양부(南陽府)의 서쪽에 있고, 【중대선(中大船) 3척, 맹선(孟船) 1척, 무군선(無軍船) 3척이요, 각관의 좌·우령(左右領) 선군(船軍)이 총 5백 10명이다. 】 초지량 만호(草芝梁萬戶)는 안산(安山) 서남쪽 모래곶이[沙串]에 있고, 【중대선 5척, 무군선 4척이요, 장번 수군(長番水軍)이 8명이며, 각관의 좌·우령 선군이 총 6백 15명이다. 】 제물량 만호(濟物梁萬戶)는 인천군(仁川郡) 서쪽 성창포(城倉浦)에 있다. 【병선(兵船) 4척, 무군선 4척이며, 각관의 좌·우령 선군이 총 5백 10명이다. 】

우도 수군 첨절제사영(右道水軍僉節制使營)은 교동현(喬桐縣) 서쪽 응암량(鷹岩梁)에 있고, 【항상 쾌선(快船) 9척과 맹선(孟船) 3척과 왜별선(倭別船) 1척을 거느리고 교동(喬桐)을 수어하는데, 장번 수군이 2백 95명이요, 각관의 좌·우령 선군이 1천 18명이다. 】 정포 만호(井浦萬戶)는 강화부(江華府) 서쪽에 있다. 【쾌선 11척, 무군선 10척이요, 강화(江華) 장번 수군(長番水軍)이 2백 46명이며, 각관 좌·우령 선군이 9백 24명이다. 】

좌도(左道) 충청도(忠淸道) 정역 찰방(程驛察訪)의 관할 역(驛)이 7이요, 【양재(良才)·낙생(樂生)·구흥(駒興)·김녕(金寧)·좌찬(佐贊)·분행(分行)·무극(無極). 】 우도(右道) 정역 찰방(程驛察訪)의 관할 역(驛)이 8이며, 【영서(迎曙)·벽제(碧蹄)·마산(馬山)·동파(東坡)·초현(招賢)·청교(靑郊)·교예(狡猊)·중련(中連). 】 경기(京畿)·강원도(江原道) 정역 찰방(程驛察訪)의 관할 역이 22이다. 【녹양(綠楊)·안기(安奇)·양문(梁文)·풍전(豐田), 그 나머지 18역은 모두 강원도 지경에 있다. 】

좌도 수참 전운 판관(左道水站轉運判官) 【광진 승(廣津丞)을 겸하다. 】 , 우도 수참 전운 판관(右道水站轉運判官) 【벽란도 승(碧瀾渡丞)을 겸하다. 】 , 감목관(監牧官) 1인, 의학 교유(醫學敎諭) 1인, 검률(檢律) 1인, 역승(驛丞) 5인이다.

중림도(重林道)의 관할 역이 6이요, 【경신(慶申)·석곡(石谷)·반유(盤乳)·남산(南山)·금수(金輸)·종생(種生). 】 동화도(同化道)의 관할 역이 5이며, 【장족(長足)·해문(海門)·청호(菁好)·가천(加川)·강복(康福). 】 평구도(平丘道)의 관할 역이 8이요, 【구곡(仇谷)·쌍수(雙樹)·봉안(奉安)·오빈(娛賓)·전곡(田谷)·동백(冬白)·감천(甘泉)·연동(連洞). 】 경안도(慶安道)의 관할 역이 7이며, 【덕풍(德豐)·아천(阿川)·오천(吾川)·유춘(留春)·양화(楊花)·신진(新津)·안평(安平). 】 도원도(桃源道)의 관할 역이 6이다. 【구화(仇和)·백령(白嶺)·옥계(玉溪)·용담(龍潭)·단금(丹金)·상수(相水). 】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3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14면

  • [註 022]
    평주(平州) : 평산(平山).
  • [註 023]
    안판탄(按板灘) : 안반 여울.
  • [註 024]
    입석진(立石津) : 선돌 나루.
  • [註 025]
    노도진(露渡津) : 노들 나루.
  • [註 026]
    이포진(梨浦津) : 배개 나루.
  • [註 027]
    세경미(細粳米) : 쓿은 멥쌀.
  • [註 028]
    조미(糙米) : 거친 쌀.

京畿: 都觀察黜陟使一人, 首領官一人, 醫學敎諭檢律各一人。 【他道放此】高句麗之地, 高麗 成宗十四年乙未, 【卽宋 太宗 至道元年】開州開城府, 管赤縣六, 畿縣七。 【古史但錄縣數, 不列縣名, 其詳不可得考。】 顯宗九年戊午, 【卽宋 眞宗 大中祥符十一年。】開城府, 以開城縣令管貞州德水江陰三縣, 長湍縣令管松林臨津兔山臨江積城坡平麻田七縣, 直隷尙書都省, 謂之京畿文宗十六年壬寅, 【卽宋 仁宗 嘉祐七年。】 復陞開城縣爲府, 都省所掌十一縣, 皆屬焉, 又割西海道 平州任內牛峯郡以(肄)〔隷〕之。 其後復置開城縣, 令屬開城府 【年代未詳。】 恭讓王二年庚午, 【卽大明 太祖高皇帝 洪武二十三年】 始分京畿爲左右道, 以長湍臨江兔山臨津松林麻田積城坡平縣爲左道, 開城江陰海豐德水牛峯爲右道。 又增廣京畿, 以楊廣道 漢陽南陽府仁州安山郡交河陽川衿川果州抱州瑞原高峯縣, 交州道 鐵原府永平伊川安崍漣州朔寧縣屬左道; 以楊廣道 富平江華府喬桐金浦通津縣, 西海道 延安府平州白州谷州遂安郡載寧瑞興新恩俠溪縣屬右道; 各置都觀察黜陟使, 以首領官佐之。 【四品以上則爲經歷, 五品以下則爲都事。】 及我太祖三年甲戌, 【卽洪武二十七年。】 定都漢陽府。 明年乙亥, 以平州遂安谷州載寧瑞興新恩俠溪去新都道遠, 還屬西海道, 將楊廣道 廣州水原府楊根郡雙阜龍駒處仁利川川寧砥平縣來屬。 分廣州水原所領郡縣爲左道, 楊州富平鐵原延安所領郡縣爲右道。 戊寅, 又割忠淸道 振威縣, 屬左道。 太宗二年壬午, 【卽洪武三十五年。】 合兩道, 號京畿左右道省, 觀察使首領官各一人。 十三年癸巳, 【卽大明 太宗文皇帝 永樂十一年。】 酌四方道途遠邇, 以延安白州牛峯江陰兔山, 還屬豐海道; 伊川還屬江原道。 割忠淸道 驪興府安城郡陽知陽城陰竹縣, 江原道 加平縣來屬, 不分左右道, 只稱京畿都觀察使。 置司水原, 東至江原道 春川原州, 西至黃海道 江陰白川, 南至忠淸道 竹山禝山, 北至黃海道 兔山, 江原道 伊川, 東西二百六十四里, 南北三百六十四里, 所管牧一, 都護府八, 郡六, 縣二十六。 名山, 曰三角山, 在都城之鎭白嶽之北; 聖居山在舊京松嶽東北。 花岳加平縣北, 鉗嶽積城縣東, 龍虎山臨江縣南, 五冠山臨江縣任內松林北, 摩利山江華府南。 大川曰漢江, 其源出自江原道 五臺山, 至寧越郡, 西合衆流, 爲加斤同津, 經忠淸道 忠州淵遷, 一向西流, 過驪興驪江, 川寧梨浦, 楊根大灘蛇浦龍津出自麟蹄縣伊布, 所經春川昭陽江, 南流過加平縣, 東爲按板灘楊根, 北爲立石津, 又南爲龍津渡, 入于蛇浦。 二水合流至廣州界, 爲渡迷津廣津, 至京城南爲漢江渡, 西爲露渡津, 又西爲龍山江慶尙忠淸江原道京畿上流漕運, 皆由此達于京江。 水經都城南, 至衿川北爲楊花渡, 陽川北爲孔岩津, 至交河 西烏島城, 與臨津合, 至通津北爲祖江, 至浦口串, 始分爲二。 其一直西經江華府, 北爲河源渡, 至喬桐縣寅石津, 入于黃海道漕運, 由此達于京。 其一南流經江華府 東甲串津, 入于海。 全羅忠淸道漕運, 由此達于京。 臨津, 其源來自咸吉道 安邊任內永豐縣 防墻洞, 經伊川安峽朔寧界, 至漣川, 其流始大, 有澄波渡。 過麻田積城梨浦津, 長湍豆只津, 至臨津縣東爲臨津渡, 西流至縣東南爲德津, 南流至交河縣, 西爲洛河渡, 過鳳凰巖烏島城, 與漢水合, 同入于海。 戶二萬八百八十二, 口五萬三百五十二。 【本朝人口之法, 不明錄于籍者, 僅十之一二。 國家每欲正之, 重失民心, 因循至今, 故各道各官人口之數止此, 他道皆然。】 軍丁: 侍衛軍一千七百十三名, 船軍三千八百九十二名。 墾田二十萬三百四十七結。 【旱田十二萬四千一百七十三結有奇, 水田七萬六千一百七十三結有奇。】 厥賦: 稻米、 【有粳米、白米、細粳米、粘粳米、糙米。】 稷、米、豆、 【有大豆、小豆、菉豆。】 麥、 【有大麥、小麥、蕎麥。】 芝麻、 【鄕名眞荏子。】 蜂蜜、黃蠟、芝麻油、 【鄕名眞油】 蘇子油、 【鄕名法油】 末醬、芥子、白苧布、正五升布。 【凡郡邑田賦, 遠邇皆同, 故不復錄于郡邑之下。】 厥貢: 木瓜、榛實、橡實、栗、柿、棗、眞茸、鳥足茸、黃角、山參、桔梗、乾猪、兔醢、魚醢、水魚、民魚、鹽、陶器、磁器、木器、柳器、蘆簟、䕯、省帚、莞心、蘆花紙、雜羽、常笠草、馬衣、藁草、芻藁、藁索、麻索、松烟、松脂、朱土、葛、炭、香木、 【白紫檀櫟木。】 蠣灰、藜灰、黃灰、芝草、楓葉、營繕雜木、自作木、杏木、椵木、黃桑木、櫻木、燒木。 藥材: 牛膽黃、虎脛骨、熊膽、猪膽、獺膽、猬膽、臘兔頭、猬皮、阿膠、露蜂房、蜈蚣、元蠶蛾、馬鳴退、班猫、蟬脫皮、蛇脫皮、蟾酥、蝦蟆、鼈甲、龜甲、桑螵蛸、乾鯉魚、鯉魚膽、牡蠣、蠶沙、五加皮、黃蘖皮、桑白皮、楡白皮、郁李仁、桃仁、杏仁、枳殼、槐實、槐花、松脂、蓮子、川椒、五信子、茯苓、 【有赤白二種。】 茯神、安息香、自然銅、禹餘糧、天圓子、兔(綠)〔絲〕子、覆盆子、五味子、牽牛子、 【有白黑二種。】 車前子、蒺梨子、白附子、白朮、蒼朮、菖浦末、石菖蒲、馬兜苓、馬齒莧、馬藺、蒲黃、澤瀉、桔梗、紫莞、薊草、 【有大小二種。】 天麻、赤箭、白斂、蚤休、續斷、漏蘆、藜蘆、細辛、葛根、瞿麥、地楡、當歸、山藥、括樓根、大戟、商陸、白鮮皮、京三稜、鶴蝨、百合、虎杖根、獨活、天南皇、牛膝、獅子足、艾蒼耳、柴胡、升麻、芍藥、 【有赤白二種。】 蒿本、白芷、半夏、玄蔘、苦蔘、茵陳、(秦)〔蓁〕芃、玄胡索、卷栢、土瓜根、黃芩、黃耆、木通、林下夫人、絡石、知母、貫衆、葳靈仙、草烏頭、放杖草、殺男、藍漆、䕡茹、萆蘚、狼牙、旋覆花、金銀花、金燈花。 【已上雜貢及藥材。 今將土産稀貴者, 錄于各邑之下。 其每邑所産, 但存其凡于此, 不復錄云。】 種養藥材: 白扁豆、鶯栗、紫蘇、薄荷、香薷、惡實、芥子、麻子、回香、生地黃、大黃、靑木香、荊芥、葵子、蘿葍子、蔓菁子、眞苽帶、鷄冠花、 【有赤白二種。】 甘菊、紅花、薏苡。 【已上藥材, 隨各邑風土所宜, 使醫院種養, 元非山野所産, 故皆不錄于各邑之下。 凡一物而疊出於田賦若土貢若藥材者頗多, 今從其重者。 若蜂蜜、黃蠟之類, 只書于土貢; 人蔘、五味子之類, 只書于藥材, 不復重出云。】 左道水軍僉節制使營, 在南陽府 西花之梁。 【常領中大船三隻、快船十隻、無軍船十三隻, 守禦江華。 長番水軍六十九名, 各官左右領船軍摠一千五百九十七名。 凡船一隻, 各有柴水三板小船, 其無軍船, 如有警急, 欲悉發下領船軍乘駕也。 後皆倣此。】 永宗浦萬戶, 泊南陽府西。 【中大船三隻, 孟船一隻, 無軍船三隻。 各官左右領船軍, 摠五百十名。】 草芝梁萬戶, 泊安山西南沙串 【中大船五隻, 無軍船四隻, 長番水軍八名。 各官左右領船軍, 摠六百十五名。】 濟物梁萬戶, 泊仁川郡西城倉浦 【兵船四隻, 無軍船四隻。 各官左右領船軍, 摠五百十名。】 右道水軍僉節制使營, 在喬桐縣西鷹岩梁 【常領快船九隻, 孟船三隻, 無軍船十三隻, 倭別船一隻守禦。 喬桐長番水軍二百九十五名, 各官左右領船軍一千十八名。】 井浦萬戶, 泊江華府西。 【快船十一隻, 無軍船十隻, 江華長番水軍二百四十六名。 各官左右領船軍, 九百二十四名。】 左道忠淸道程驛察訪所管驛、 【良才、樂生、駒興、金寧、佐贊、分行、無極。】 右道程驛察訪所管驛八, 【迎曙、碧蹄、馬山、東坡、招賢、靑郊、狡猊、中連。】 京畿江原道程驛察訪所管驛二十二。 【綠楊、安奇梁、文豐田。 其餘十八驛, 皆在江原道界。】 左道水站轉運判官、 【兼領廣津丞】 右道水站轉運判官、 【兼碧瀾渡丞。】 監牧官一人、醫學敎諭一人、檢律一人、驛丞五人。 重林道所管驛六, 【慶申、石谷、盤乳、南山、金輸、種生。】 同化道所管驛五, 【長足、海門、菁好、加川、康福。】 平丘道所管驛八, 【仇谷、雙樹、奉安、娛賓、田谷、冬白、甘泉、連洞。】 慶安道所管驛七, 【德豐、阿川、吾川、留春、楊花、新津、安平。】 桃源道所管驛六。 【仇和、白嶺、玉溪、龍潭、丹金、相水。】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3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