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 / 흉례 의식 / 연제의
◎ 연제의(練祭儀) 【기년(期年)만에 연제(練祭)가 된다. 초상(初喪)으로부터 이에 이르기까지 윤월(閏月)은 계산하지 않고 무릇 13개월인데, 초기일(初忌日)을 사용한다. 】
제향(祭享) 전 4일에 예조(禮曹)에서 계문(啓聞)하여 재계(齋戒)하기를 청해서, 전하께서 별전(別殿)에서 2일 동안 산재(散齋)하고, 재전(齋殿)에서 1일 동안 치재(致齋)한다. 무릇 산재(散齋)할 적에는 조상(弔喪)과 문병(問病)하지 아니하고, 유사(有司)는 형살 문서(刑殺文書)를 아뢰지 아니하며, 치재(致齋)할 적에는 다만 제향(祭享)의 일만을 아뢴다. 대군(大君) 이하 및 행사(行事)할 집사관(執事官)과 근시(近侍)할 관원은 모두 2일 동안 산재(散齋)하되, 정침(正寢)에서 유숙(留宿)하고, 1일 동안 치재(致齋)하되 향소(享所)에서 한다. 산재(散齋)할 적에는 일처리[致事]하기를 전과 같이 하는데, 다만 술을 함부로 마시지 아니하고, 파·부추·염교를 먹지 아니하며, 조상(弔喪)과 문병(問病)하지 아니하고, 형벌을 행하지 아니하며, 형살 문서(刑殺文書)에 결재하거나 서명(署名)하지 아니하고, 더러운 일에 참예하지 아니한다. 치재(致齋)할 적에는 다만 제향(祭享)의 일만을 행하는데, 이미 재계(齋戒)하고서 빠진 자는 대리하여 행사(行事)하게 한다. 배제(陪祭)할 종친(宗親) 및 문무 백관(文武百官)과 여러 위(衛)의 소속으로 전문(殿門)을 수위(守衛)할 자는 모두 청재(淸齋)로써 본사(本司)에서 1일 동안 유숙(留宿)한다. 【무릇 제향에 참예할 자는 모두 제향 2일 전에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는다. 】
제향 전 1일에 전사(殿司)가 그 소속을 거느리고 전(殿)의 내외(內外)를 소제하고, 충호위(忠扈衛)에서 장막[幄]을 전(殿)의 서계(西階) 위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봉상시(奉常寺)의 관원(官員)이 평상[牀]과 욕석(褥席)을 장막 안에 설치하고, 먼저 밤나무로 신주(神主)와 궤(匱)를 만들어서 【체제(體制)는 모두 뽕나무 신주[桑木主]와 같다. 】 상자에 담고 수건[帕]으로 덮어 요여(腰輿)에 안치하고, 장막 앞으로 나아간다. 대축(大祝)이 안(案)을 받들어 욕위(褥位)에 놓고, 또 봉상시(奉常寺)의 관원(官員)이 탁자(卓子) 3개를 영좌(靈座)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제주 탁(題主卓)은 북쪽에 있고, 다음은 필연탁(筆硯卓), 다음은 관반탁(盥槃卓)이다. 】 붓[筆]·벼루[硯]·먹[墨]·광칠(光漆)·관반(盥槃)·관이(盥匜) 【향탕(香湯)을 갖춘다. 】 와 수건[巾] 【백세저포(白細紵布)로 만든다. 】 을 갖추어 놓는다. 집사자(執事者)의 관세(盥洗)를 동계(東階)의 동쪽에 남쪽으로 가까이 북향하여 설치한다.
집례(執禮)가 전하의 욕위(褥位)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대군(大君) 이하의 자리를 중문(中門) 안의 동쪽에 북향하여 설치하되, 서쪽을 위로 한다. 제주관(題主官)과 대축(大祝)의 자리는 중문(中門) 안의 서쪽에 북향하게 하되, 동쪽을 위로 한다. 집례(執禮)의 자리를 동계(東階)의 아래에 서쪽으로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하고,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은 남쪽에 있게 하되, 조금 뒤로 물려서 북쪽을 위로 한다. 종친 및 문무 백관의 자리를 외정(外庭)에 설치하는데, 문관(文官)은 동쪽, 무관(武官)은 서쪽에 있게 하여, 모두 품등마다 자리를 달리 하고 겹줄로써 북향하게 하고, 상대(相對)하여 머리가 되게 한다. 【종친(宗親)은 매품(每品)의 반두(班頭)에 따로 자리를 설치하고, 대군(大君)은 특별히 정1품의 앞에 자리를 설치한다. 】 감찰(監察)의 자리 둘은 문·무반(文武班) 뒤에 북향하게 한다. 【서리(書吏)가 각각 그 뒤에 배립(陪立)한다. 】 문밖의 자리[門外位]를 설치하는데, 대군(大君) 이하는 중문(中門) 밖의 길[道] 동쪽에 겹줄로써 북향하게 하되, 서쪽을 위로 한다. 예감(瘞坎)을 전(殿)의 북쪽 임지(壬地)에 파는데, 넓이와 깊이는 물건을 넣을 만하게 한다.
그날 축시(丑時) 전 5각(刻)에 【축시(丑時) 전 5각은 곧 3경(更) 3점(點)이니, 행사(行事)는 축시(丑時) 1각(刻)에 한다. 】 궁위령(宮闈令)이 영악(靈幄)을 깨끗이 털고, 종친 및 백관들이 최복(衰服)을 갖추고 모두 외문(外門) 밖으로 나아간다. 대군 이하가 모두 최복을 갖추고 문밖의 자리[門外位]로 나아간다. 집례(執禮)·제주 관(題主官)·대축(大祝)·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이 먼저 전정(殿庭)으로 들어가서 겹줄로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해서 네 번 절하고, 이를 마치면, 집례·알자·찬자·찬인이 자리로 나아간다. 찬인이 제주관과 대축을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서 관세(盥帨)하고 나서, 각각 자리로 나아간다. 봉례랑(奉禮郞)이 종친 및 백관들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고, 다음에 대군(大君) 이하를 인도하여 장(杖)을 놓고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판통례(判通禮)가 재전(齋殿) 앞으로 나아가서 【만약 혼전(魂殿)이 궁내(宮內)가 아니면 1일 전에 출궁(出宮)하는데, 산선(繖扇)·장위(仗衛)가 인도하고 시종[導從]하기를 상시(常時)의 의식과 같이 한다. 】 부복하고 꿇어앉아 외판(外辦)을 아뢰면, 전하께서 최복(衰服)을 갖추고 장(杖)을 짚고 나오는데, 찬례(贊禮)가 전하를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근시(近侍)는 따라 들어가고, 산선(繖扇) 및 호위관(護衛官)은 문밖에서 멈춘다. 】
집례(執禮)가
"곡(哭)하라."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한다. 【꿇어앉아 절할 때에는 내시(內侍)가 장(杖)을 받든다. 뒤에도 이와 같다. 】 대군(大君)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贊者)가 역시 창(唱)한다. 무릇 집례(執禮)의 말이 있으면, 찬자(贊者)가 모두 전창(傳唱)한다. 】 집례가
"곡을 그치고 사배하라."
하고, 찬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대군(大君)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탁자(卓子)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대축(大祝)이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장막[幄]으로 나아가, 밤나무 신주궤[栗神主匱]를 받들고 들어가 탁자(卓子) 위에 놓고, 궤(匱)를 열고 밤나무 신주[栗主]를 받들어 향탕(香湯)으로 목욕시키고 수건으로 닦아서 탁자 위에 눕혀 놓는다. 제주관(題主官)이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탁자 앞으로 나아가 서향하고 서서 쓰기를,
"모호 대왕(某號大王)"
이라 【내상(內喪)이면 "모호 왕후(某號王后)"라 한다. 】 검은 글씨[黑書]로 쓴다. 이를 마치면, 광칠(光漆)로써 거듭 칠하고, 【흑서(黑書)하고 나기를 기다려 거듭 칠한다. 】 꿇어앉아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처음에 신주 쓰기[題主]를 마치려 하면, 대축(大祝)이 뽕나무 신주궤[桑主匱]를 받들어 자리[座] 뒤에다 이안(移安)하고, 밤나무 신주[栗主]를 받들어 궤(匱)에 넣어 영좌(靈座)에 안치한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戶]을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가서, 임시[權]로 재전(齋殿)으로 나아가게 한다. 봉례랑(奉禮郞)이 대군(大君) 이하를 인도하여 나와 좌차(座次)로 나아가고, 다음에 종친 및 백관들을 인도하고 나간다. 봉상시(奉常寺)의 관원이 제주탁(題主卓) 및 붓·벼루·관반(盥槃)·탁자(卓子)를 걷어치운다. 상의원(尙衣院)의 관원이 연복(練服)을 올리면, 【연포(練布)로 관(冠)을 만든다. 】 예조 판서(禮曹判書)가 재전(齋殿) 앞에 나아가서 부복하고 꿇어앉아
"옷을 갈아입으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옷을 갈아입는다. 【연관(練冠)으로 바꾸어 쓰고, 수질(首絰)·부판(負版)·벽령(辟領)의 최복(衰服)을 벗는다. 】 대군(大君) 이하 및 종친·백관들도 모두 옷을 갈아입는다. 【대군(大君) 이하는 연포(練布)로 관(冠)을 만들고, 수질(首絰)·부판(負版)·벽령(辟領)의 최복(衰服)을 벗는다. 종친 및 문무 백관들은 연포(練布)로 사모(紗帽)를 싸고 그대로 띠[帶]를 드리운다. 】 내상(內喪)이면 종친 및 백관들은 최복(衰服) 차림으로 들어가 곡을 하고 나와서 천담복(淺淡服)을 입고 배제(陪祭)하고, 제사 뒤에 길복(吉服)을 입는다.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執事)들도 이와 같다. 집례(執禮)가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의 자리를 전하(殿下)의 욕위(褥位) 뒤에 남쪽으로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하되, 북쪽을 위로 하고, 집사자(執事者)의 자리는 중문(中門) 안의 서쪽에 북향하게 하되, 동쪽을 위로 한다. 감찰(監察)의 자리는 그 서쪽에 있게 한다. 【서리(書吏)가 그 뒤에 배립(陪立)한다. 】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執事)의 문밖 자리[門外位]를 중문(中門) 밖의 길[道] 동쪽에 남쪽으로 가까이 겹줄로 북향하여 설치하되, 서쪽을 위로 한다.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가서 축판(祝版)을 영좌(靈座)의 오른쪽에 올려 놓고, 【점(坫)이 있다. 】 폐비(幣篚)를 준소(尊所)에 진설하고, 향로·향합과 초[燭]를 영좌 앞에 설치한다.
다음에 예찬(禮饌)을 진설하고, 【찬품(饌品)은 사시 대향(四時大享)과 같다. 】 준이(尊彝)를 지게문 밖[戶外]의 왼쪽에 설치하는데, 봄·여름에는 계이(雞彝) 1개, 【명수(明水)를 채운다. 】 조이(鳥彝) 1개, 【울창(鬱鬯)을 채운다. 】 희준(犧尊) 2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예제(醴齊)를 채운다. 】 상준(象尊) 2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앙제(盎齊)를 채운다. 】 산뢰(山罍) 2개로서 【1개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1개는 청주(淸酒)를 채운다. 】 4줄로 하여, 【첫째 줄은 계이(雞彝)·조이(鳥彝)이고, 둘째 줄은 희준(犧尊), 세째 줄은 상준(象尊), 네째 줄은 산뢰(山罍)이다. 만약 가을·겨울이면 가이(斝彝) 1개로서 명수(明水)를 채우고, 황이(黃彝) 1개로서 울창(鬱鬯)을 채우고, 착준(著尊) 2개로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예제(醴齊)로 채우며, 호준(壺尊) 2개로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앙제(盎齊)를 채우며, 산뢰(山罍) 2개로서 1개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1개는 청주(淸酒)를 채워서 4줄로 하는데, 첫째 줄은 가이(斝彝)·황이(黃彝)이고, 둘째 줄은 착준(著尊), 세째 줄은 호준(壺尊), 네째 줄은 산뢰(山罍)이다. 】
모두 작(勺)과 멱(羃)을 얹어서 북향하게 하고 서쪽을 위로 한다. 【무릇 준(尊)은 명수(明水)를 채운 것이 위[上]가 된다. 】 찬반(瓚槃) 1개를 준소(尊所)에 설치하고, 세(洗)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는데, 반(槃)과 이(匜)가 있다. 】 뇌(罍)는 세(洗)의 동쪽에 있게 하되, 작(勺)을 얹어 놓고, 비(篚)는 세(洗)의 서남쪽에 늘어놓되, 수건을 담아 놓는다. 【만약 작세(爵洗)의 비(篚)라면 찬(瓚)1개, 작(爵) 1개를 담는데, 점(坫)이 있다. 】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의 세(洗)는 또 동남쪽에 북향하게 하고,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다. 】 뇌(罍)는 세(洗)의 동쪽에 있게 하여 작(勺)을 얹어 놓고, 비(篚)는 세(洗)의 서남쪽에 늘어놓되, 수건을 담아 놓는다. 【만약 작세의 비라면 또 작 2개를 담는데, 점이 있다. 】 여러 집사들의 관세를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의 세(洗)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집준자(執尊者)·집뢰자(執罍者)·집비자(執篚者)·집멱자(執羃者)의 자리는 준(尊)·뇌(罍)·비(篚)·멱(羃)의 뒤에 있게 한다.
3각(刻) 전에 종친(宗親) 및 백관(百官)들이 모두 외문(外門) 밖으로 나아가고, 대군(大君) 이하 및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執事)들이 문밖의 자리[門外位]로 나아간다. 1각(刻) 전에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먼저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고, 찬인(贊引)이 감찰(監察) 및 전사관(典祀官)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고, 대축(大祝)·축사(祝史)·재랑(齋郞)을 인도하여 【내상(內喪)이면 궁위령(宮闈令)이 있다. 】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서 관세(盥洗)하게 하고, 이를 마치면 각각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봉례랑(奉禮郞)이 종친 및 백관들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고, 다음에 대군(大君) 이하를 인도하여 장(杖)을 놓고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알자가 아헌관·종헌관을 인도하여 들어가 자리로 나아가서, 동계(東階)로 올라가 영좌(靈座) 앞에 나아가서 궤(匱)를 열고 밤나무 신주를 받들어 내어 자리[座]에 설치하고 백저건(白紵巾)으로 덮고, 【내상(內喪)이면 궁위령(宮闈令)이 신주(神主)를 설치하고 청저건(靑紵巾)으로 덮는다. 】 궤(几)를 뒤에 설치한다. 집사자(執事者)가 작세위(爵洗位)로 나아가서 찬(贊)을 씻고 찬을 닦고, 작(爵)을 씻고 작을 닦아, 비(篚)에 담아 가지고 받들어 준소(尊所)에 나아가 점(坫) 위에 둔다. 판통례(判通禮)가 재전(齋殿) 앞으로 나아가서 부복하고 꿇아앉아
"행례(行禮)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장(杖)을 짚고 나오는데, 찬례(贊禮)가 전하를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간다. 【근시(近侍)는 따라 들어간다. 】 집례(執禮)가
"곡하라."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한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贊者)가 역시 창(唱)한다. 】 집례가
"곡을 그치라."
하고, 찬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집례가
"전폐례(奠幣禮)를 행하라."
고 하여, 찬례(贊禮)가 전하를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한다. 근시(近侍) 【승지(承旨). 】 한 사람이 꿇어앉아 이(匜)를 취(取)하여 가지고 일어나서 물을 붓고, 한 사람이 꿇어앉아 반(槃)을 취(取)하여 가지고 물을 받는다. 전하께서 손을 씻으면, 근시가 꿇어앉아 비(篚)에서 수건을 취하여 올리고, 전하께서 손을 닦고 나면, 근시가 수건을 받아서 비(篚)에 담는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근시(近侍)가 따라 오른다. 】 준소(尊所)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한다. 집사자가 멱(羃)을 들고, 근시 한 사람이 울창(鬱鬯)을 떠내고, 한 사람이 찬(瓚)으로 울창을 받는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영좌(靈座)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찬례가 부복하여 꿇어앉아
"꿇어앉으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는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근시 한 사람이 향합(香合)을 받들고 꿇아앉아 올리고, 한 사람이 향로(香爐)를 받들어 꿇어앉아 올리면, 찬례가
"세 번 상향(上香)하라."
고 계청하여, 근시가 향로를 안(案)에 드린다. 근시가 꿇어앉아 찬(瓚)을 올리면, 찬례가
"찬(瓚)을 잡고 〈술을〉 땅에 부으라."
고 계청한다. 이를 마치면, 찬(瓚)을 근시에게 주어, 근시가 이를 받아 대축(大祝)에게 주어서 준소(尊所)에 두게 한다. 근시가 폐비(幣篚)를 꿇어앉아 올리면, 찬례가
"집폐 헌폐(執幣獻幣)하라."
고 계청하여, 폐백을 근시에게 주어서 영좌 앞에 드리게 한다. 【무릇 향을 올리[進香]고, 찬을 올리[進瓚]고, 폐백을 올릴[進幣] 때에는 모두 동쪽에서 서향하고, 향로를 드리[奠爐]고, 찬을 받[受瓚]고, 폐백을 드릴[奠幣] 때는 모두 서쪽에서 동향한다. 작을 올리[進爵]고 작을 드릴[奠爵] 때도 이에 준한다. 】 찬례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戶]을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하여,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준소(尊所)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한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근시 한 사람이 예제(醴齊)를 떠내고, 한 사람이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들어가서 영좌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으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는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근시가 작(爵)을 꿇어앉아 올리면, 찬례가
"집작 헌작(執爵獻爵)하라."
고 계청하여, 작을 근시에게 주어서 영좌(靈座) 앞에 드리게 한다. 찬례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으라."
고 계청하고, 대축(大祝)이 영좌의 오른쪽에 나아가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祝文)을 읽는다. 이를 마치면, 찬례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戶]을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아헌례(亞獻禮)를 행하라."
고 하여, 알자(謁者)가 아헌관(亞獻官)을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손을 씻고 손을 닦게 한다. 이를 마치면, 알자가 아헌관(亞獻官)을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준소(尊所)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한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앙제(盎齊)를 떠내면, 집사자가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영좌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고 찬(贊)한다. 집사자가 작(爵)을 아헌관에게 주어서, 아헌관이 집작 헌작(執爵獻爵)하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 영좌(靈座) 앞에 드리게 한다. 알자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찬(贊)하고, 아헌관을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종헌례(終獻禮)를 행하라."
고 하여, 알자가 종헌관(終獻官)을 인도하여 행례(行禮)하기를 아헌(亞獻)의 의식과 같이 하고,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곡하라."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집례가
"곡을 그치고 사배하라."
하고, 찬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가
"예(禮)를 마쳤다."
고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齋殿)으로 돌아간다. 【만약 혼전(魂殿)이 궁내(宮內)가 아니면 환궁(還宮)하는데, 산선(繖扇)·장위(杖衛)가 인도하고 시종[導從]하기를 올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
알자가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을 인도하여 나가고, 봉례랑(奉禮郞)이 대군(大君) 이하를 인도하여 나가고, 다음에 종친 및 문무 백관들을 인도하여 나간다. 찬인(贊引)이 감찰(監察) 및 전사관(典祀官) 이하를 인도하여 모두 배위(拜位)로 돌아가게 하면, 집례가
"사배하라."
하고, 찬자가
"국궁(鞠躬),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
이라 창(唱)하여, 감찰 및 전사관 이하가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찬인이 차례로 인도하여 나가고, 대축(大祝)이 신주(神主)를 들여넣기를 의식과 같이 한다. 【내상(內喪)이면 궁위령(宮闈令)이 신주(神主)를 들여넣는다. 】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인도하고 배위(拜位)로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나간다.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예찬을 거두고, 대축이 축문과 폐백을 받들어 구덩이에 묻는다. 종친 및 백관들이 재전(齋殿) 앞으로 나아가 차례로 서서 꿇어앉아, 반수(班首)가 이름[名]을 올려 봉위(奉慰)한다. 본전(本殿)의 관원이 요여(腰輿)로 뽕나무 신주궤[桑主匱]를 받들고 종묘(宗廟)로 나아가서 묘(廟)의 북쪽 섬돌 사이[階問]에 묻는다. 【전기(前期)하여 종묘(宗廟)에 고(告)하는 제사를 행하기를 상시(常時)의 의식과 같이 한다. 】 만약 내상(內喪)이 먼저 있으면 11개월 만에 연제(練祭)를 지내는데, 여러 날 전에 길일(吉日)을 택하여 행한다. 제향(祭享) 4일 전에 궁관(宮官)이 재계(齋戒)하기를 신청(申請)하여, 왕세자가 2일 동안 별실(別室)에서 산재(散齋)하고, 1일 동안 재실(齋室)에서 치재(致齋)한다. 최복(衰服) 차림으로 들어가서 곡하고 나와, 연복(練服)을 입고 제사를 지낸다. 대군 이하도 이와 같이 한다. 종친·백관들은 최복 차림으로 들어가서 곡하고 배제(陪祭)하고, 아헌관 이하 여러 집사들도 이와 같이 한다.
- 【태백산사고본】 47책 135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408면
◎ 練祭儀 【期而練。 自初喪至此, 不計閏, 凡十三月, 用初忌日。】
前享四日, 禮曹啓聞請齋戒, 殿下散齋二日於別殿, 致齋一日於齋殿。 凡散齋, 不弔喪問疾, 有司不啓刑殺文書; 致齋, 唯啓享事。 大君以下及行事執事官近侍之官, 竝散齋二日, 宿於正寢; 致齋一日於享所。 散齋, 致事如故, 唯不縱酒, 不食葱韭〔蒜〕薤, 不弔喪問疾, 不行刑, 不判署刑殺文書, 不預穢惡事; 致齋, 唯行享事; 已齋而闕者, 通攝行事。 陪祭宗親及文武百官諸衛之屬守衛殿門者, 俱淸齋一宿於本司。 【凡預祭者, 皆前享二日, 沐浴更衣。】 前一日, 殿司帥其屬, 掃除殿之內外。 忠扈衛設幄於殿西階上, 東向。 奉常寺官設牀及褥席於幄內, 先造栗木主幷匱, 【體制竝如桑木主。】 盛以箱覆以帕, 安於腰輿, 詣幄前。 大祝捧案於褥位, 又奉常寺官設卓三於靈座東南西向, 【題主卓在北, 次筆硯卓, 次盥槃卓。】 具筆、硯墨、光漆、盥槃、盥匜、 【具香湯、。】 巾。 【用白細紵布。】 設執事者盥洗於東階之東近南, 北向。 執禮設殿下褥位於東階東南, 西向; 設大君以下位於中門內之東, 北向西上; 題主官大祝位於中門內之西, 北向東上; 設執禮位於東階下近西, 西向; 謁者、贊者、贊引在南差退北上; 設宗親及文武百官位於外庭, 文東武西, 俱每等異位重行, 北向相對爲首; 【宗親, 每品班頭別設位; 大君, 特設位於正一品之前。】 監察位二於文武班後, 北向; 【書吏各陪其後。】 設門外位大君以下於中門外道東, 重行北向西上; 開瘞坎於殿之北壬地, 方深取足容物。 其日丑前五刻, 【丑前五刻, 卽三更三點, 行事用丑時一刻。】 宮闈令整拂靈幄, 宗親及百官具衰服, 皆就外門外; 大君以下具衰服, 就門外位。 執禮題主官大祝、謁者、贊者、贊引先入殿庭, 重行北向西上四拜訖, 執禮謁者、贊者、贊引就位。 贊引引題主官大祝詣盥洗位盥帨訖, 各就位; 奉禮郞分引宗親及百官入就位, 次引大君以下去杖入就位。 判通禮進當齋殿前, 【若魂殿非宮內, 則前一日出宮, 繖扇仗衛導從如常儀。】 俯伏跪啓外辦, 殿下具衰服杖出, 贊禮導殿下入就位, 【近侍從入, 繖扇及護衛官停於門外。】 執禮曰: "哭。" 贊禮俯伏跪, 啓請跪俯伏哭, 殿下跪俯伏哭。 【跪拜時內侍捧杖, 後倣此。】 大君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凡執禮有辭, 贊者皆傳唱。】 執禮曰: "止哭四拜。" 贊禮啓請止哭興四拜興平身, 殿下止哭興四拜興平身。 大君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導殿下升自東階, 詣卓前北向立, 大祝升自東階, 詣幄捧栗主匱, 入置于卓, 開匱捧栗主, 浴以香湯, 拭以巾, 臥置于卓。 題主官升自東階, 詣卓前西向立, 題云: "某號大王。" 【內喪則云某號王后。】 黑書訖, 以光漆重摸之, 【待黑書訖, 乃重摸之。】 跪俯伏興降復位。 初, 題主將畢, 大祝捧桑主匱, 移安於座後, 捧栗主納于匱, 安於靈座。 贊禮導殿下出戶降復位, 權就齋殿。 奉禮郞引大君以下出就次, 次引宗親及百官出, 奉常寺官徹題主卓及筆硯盥槃卓。 尙衣院官進練服, 【以練布爲冠。】 禮曹判書進當齋殿前俯伏跪, 啓請易服, 殿下易服, 【改著練冠, 去首絰負版辟領衰。】 大君以下及宗親百官, 俱易服。 【大君以下以練布爲冠, 去首絰負版辟領衰。 宗親及文武百官以練布裹紗帽, 仍垂帶。】 內喪則宗親及百官以衰服入哭, 出服淺淡服, 陪祭後服吉服。 獻官諸執事同。 執禮設亞獻官終獻官位於殿下褥位之後近南, 西向北上; 執事者位於中門內之西, 北向東上; 監察位於其西; 【書吏陪其後。】 設獻官諸執事門外位於中門外道東近南, 重行北向西上。 典祀官殿司各帥其屬入, 奠祝版於靈座之右, 【有坫。】 陳幣篚於尊所, 設香爐香合竝燭於靈座前。 次設禮饌, 【饌品, 與四時大享同。】 設尊彝於戶外之左, 春夏鷄彝一、 【實明水。】 鳥彝一、 【實鬱鬯。】 犧尊二、 【一實明水, 一實醴齋。】 象尊二、 【一實明水, 一實盎齋。】 山罍二 【一實玄酒, 一實淸酒。】 爲四行。 【第一行鷄彝鳥彝, 第二行犧尊, 第三行象尊, 第四行山罍。 如秋冬則斝彝一實明水, 黃彝一實鬱鬯。 箸尊〔著尊〕二, 一實明水, 一實醴齋。 壺尊二, 一實明水, 一實盎齋。 山罍二, 一實玄酒, 一實淸酒。 爲四行。 第一行斝彝黃彝, 第二行箸尊〔著尊〕, 第三行壺尊第四行山罍。】 皆加勺羃, 北向西上。 【凡尊實明水爲上。】 設瓚槃一於尊所, 設洗於東階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有槃匜。】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 【若爵洗之, 則又實以瓚一爵一, 有坫。】 亞終獻洗, 又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 【若爵洗之, 則又實以爵二, 有坫。】 設諸執事盥洗於亞獻終獻洗東南, 北向; 執尊罍篚羃者位於尊罍篚羃之後。 前三刻, 宗親及百官, 皆就外門外, 大君以下及獻官諸執事就門外位。 前一刻,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先入就位; 贊引引監察及典祀官入就位, 引大祝、祝史、齋郞 【內喪則有宮闈令。】 詣盥洗位盥洗訖, 各就位。 奉禮郞分引宗親及百官入就位, 次引大君以下去杖入就位。 謁者引亞獻官終獻官入就位, 升自東階, 詣靈座前, 開匱捧出栗木, 設於座, 覆以白紵巾, 【內喪則宮闈令設主, 覆以靑紵巾。】 設几於後。 執事者詣爵洗位, 洗瓚拭瓚, 洗爵拭爵, 置於篚, 捧詣尊所, 置於坫上。 判通禮進當齋殿前俯伏跪, 啓請行禮, 殿下杖出, 贊禮導殿下入就位, 【近侍從入。】 執禮曰: "哭。" 贊禮俯伏跪, 啓請跪俯伏哭, 殿下跪俯伏哭。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執禮曰: "止哭。" 贊禮啓請止哭興平身, 殿下止哭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執禮曰: "行奠幣禮。" 贊禮導殿下詣盥洗位北向立, 近侍 【承旨。】 一人跪取匜興沃水, 一人跪取槃承水, 殿下盥水。 近侍跪取巾於篚以進, 殿下帨手訖, 近侍受巾, 奠於篚。 贊禮導殿下升自東階, 【近侍從升。】 詣尊所西向立, 執事者擧羃, 近侍一人酌鬱鬯, 一人以瓚受鬱鬯。 贊禮導殿下入詣靈座前北向立, 贊禮俯伏跪啓請跪, 殿下跪。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近侍一人捧香合跪進, 一人捧香爐跪進, 贊禮啓請三上香, 近侍奠爐于案。 近侍以瓚跪進, 贊禮啓請執瓚灌地訖, 以瓚授近侍, 近侍受以授大祝, 置於尊所。 近侍以幣篚跪進, 贊禮啓請執幣獻幣, 以幣授近侍, 奠于靈座前。 【凡進香進瓚進幣, 皆在東西向; 奠爐受瓚奠幣, 皆在西東向。 進爵奠爵, 準此。】 贊禮啓請俯伏興平身, 殿下俯伏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導殿下出戶降復位, 執禮曰: "行初獻禮。" 贊禮導殿下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 近侍一人酌醴齋, 一人以爵受酒。 贊禮導殿下入詣靈座前北向立, 贊禮俯伏跪啓請跪, 殿下跪。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近侍以爵跪進, 贊禮啓請執爵獻爵, 以爵授近侍, 奠于靈座前, 贊禮啓請俯伏興少退北向跪。 大祝進靈座之右, 東向跪讀祝文訖, 贊禮啓請俯伏興平身, 殿下俯伏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導殿下出戶降復位。 執禮曰: "行亞獻禮。" 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 北向立盥手帨手訖, 謁者引亞獻官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盎齋,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亞獻官, 入詣靈座前北向立贊跪, 執事者以爵授亞獻官, 亞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靈座前。 謁者贊俯伏興平身, 引亞獻官出戶降復位。 執禮曰: "行終獻禮。" 謁者引終獻官行禮如亞獻儀〔訖〕, 引降復位。 執禮曰: "哭。" 贊禮俯伏跪, 啓請跪俯伏哭。 殿下跪俯伏哭盡哀。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執禮曰: "止哭四拜。" 贊禮啓請止哭興四拜興平身, 殿下止哭興四拜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啓禮畢俯伏興, 導殿下還齋殿。 【若魂殿非宮內, 則還宮, 繖扇仗衛導從如來儀。】 謁者引亞獻官終獻官出, 奉禮郞引大君以下出, 次引宗親及文武百官出。 贊引引監察及典祀官以下, 俱復拜位, 執禮曰。 "四拜。"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監察及典祀官以下鞠躬四拜興平身, 贊引以次引出, 大祝納神主如儀。 【內喪則闈令納主。】 執禮帥謁者、贊者、贊引就拜位, 四拜而出。 典祀官殿司各帥其屬徹禮饌, 大祝捧祝幣瘞於坎。 宗親及百官詣齋殿前序立跪, 班首進名奉慰。 本殿官以腰輿捧桑主匱, 詣宗廟埋於廟北階間。 【前期, 行告宗廟祭如常儀。】 若內喪在先, 則十一月而練, 先遠日擇吉行之。 前享四日, 宮官申請齋戒, 王世子散齋二日於別室, 致齋一日於齋室, 以衰服入哭, 出服練服行祭。 大君以下同。 宗親百官以衰服入哭陪祭, 亞獻官以下諸執事同。
- 【태백산사고본】 47책 135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40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