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5권, 오례 흉례 의식 분황의

오례 / 흉례 의식 / 분황의

분황의(焚黃儀)420) 【재계(齋戒)는 졸곡제(卒哭祭)와 같다. 증시(贈諡)하는 날에 사자(使者)가 객사로 돌아가기를 기다려 의식을 행한다. 】

사시(賜諡)의 예(禮)를 마치기를 기다려, 승문원(承文院)의 관원(官員)이 황지(黃紙)에다 고명(誥命)을 전사(傳寫)해서 고명함(誥命函)의 뒤에 놓는다. 집례(執禮)가 전하(殿下)의 욕위(褥位)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의 자리를 전하의 욕위(褥位) 뒤에 남쪽으로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하되, 북쪽을 위로 한다. 대군(大君) 이하의 자리는 중문(中門) 안의 동쪽에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하고, 집사자(執事者)의 자리는 중문(中門) 안의 서쪽에 북향하여 동쪽을 위로 한다. 감찰(監察)의 자리는 그 서쪽에 있게 한다. 집례(執禮)의 자리를 동계(東階)의 서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은 남쪽에 조금 뒤로 물러 있게 하는데, 북쪽을 위로 한다. 종친(宗親) 및 문무 백관(文武百官)과 감찰(監察)의 자리를 외정(外庭)에 설치하는데, 모두 상시(常時)와 같이 한다.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가서 축판(祝版)을 영좌(靈座)의 오른쪽에 올려 놓고, 【점(坫) 있다. 】 폐비(幣篚)를 준소(尊所)에 진설한다. 그리고 향로(香爐)·향합(香合)과 초[燭]를 영좌 앞에 설치한다.

다음에 예찬(禮饌)을 설치하고, 【찬품(饌品)은 졸곡제(卒哭祭)와 같다. 】 준이(尊彝)를 지게문 밖의 왼쪽에 설치하는데, 봄·여름에는 계이(雞彝) 1개, 【명수(明水)를 채운다. 】 조이(鳥彝) 1개, 【울창(鬱鬯)을 채운다. 】 희준(犧尊) 2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예제(醴齊)를 채운다. 】 상준(象尊) 2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앙제(盎齊)를 채운다. 】 산뢰(山罍) 2개로서 【1개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1개는 청주(淸酒)를 채운다. 】 4줄로 하여, 【첫째 줄은 계이(雞彝)·조이(鳥彝)이고, 둘째 줄은 희준(犧尊), 세째 줄은 상준(象尊), 네째 줄은 산뢰(山罍)이다. 만약 가을·겨울이면, 가이(斝彝) 1개로서 명수(明水)를 채우고, 황이(黃彝) 2개로서 울창(鬱鬯)을 채우고, 착준(著尊) 2개로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예제(醴齊)를 채우며, 호준(壺尊) 2개로서 1개는 명수(明水)를 채우고, 1개는 앙제(盎齊)를 채우며, 산뢰(山罍) 2개로서 1개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1개는 청주(淸酒)를 채우는데, 첫째 줄은 가이(斝彝)·황이(黃彝)이고, 둘째 줄은 착준(著尊), 세째 줄은 호준(壺尊), 네째 줄은 산뢰(山罍)이다. 】 모두 작(勺)과 멱(羃)을 얹어서 북향하게 하고 서쪽을 위로 한다. 【무릇 준(尊)은 명수(明水)를 채운 것이 위가 된다. 】 찬반(饌槃) 1개를 준소(尊所)에 설치하고, 세(洗)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는데, 반(槃)과 이(匜)가 있다. 】 뇌(罍)는 세(洗)의 동쪽에 있게 하되, 작(勺)을 얹어 놓고, 비(篚)는 세(洗)의 서남쪽에 늘어놓되, 수건을 담아 놓는다. 【만약 작세(爵洗)의 비(篚)라면 또 찬(瓚) 1개, 작(爵) 1개를 담는데, 점(坫)이 있다. 】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의 세(洗)는 또 동남쪽에 북향하게 한다.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다. 】 뇌(罍)는 세(洗)의 동쪽에 있게 하되, 작(勺)을 얹어 놓고, 비(篚)는 세(洗) 서남쪽에 늘어놓되, 수건을 담는다. 【만약 작세(爵洗)의 비(篚)라면 또 작(爵) 2개를 담는데, 점(坫)이 있다. 】 여러 집사(執事)의 관세(盥洗)는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의 세(洗)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집준자(執尊者)·집뢰자(執罍者)·집비자(執篚者)·집멱자(執羃者)의 자리는 준(尊)·뇌(罍)·비(篚)·멱(冪)의 뒤에 있게 한다. 그리고 요소(燎所)를 서계(西階) 위에 서쪽으로 가까이 설치한다. 【탁자(卓子)를 설치하고 동로(銅爐)를 놓아 둔다. 】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먼저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고, 찬인(贊引)이 감찰(監察)·전사관(典祀官)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간다. 찬인이 대축(大祝)·축사(祝史)·재랑(齋郞)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 관세(盥帨)하고 나서, 각각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봉례랑(奉禮郞)이 종친 및 백관들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고, 다음에 대군(大君) 이하를 인도하여 장(杖)을 놓고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알자(謁者)가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하고, 대축(大祝)이 궤(匱)를 열고 우주(虞主)를 받들어 내어 자리[座]에 설치한다. 【백저건(白紵巾)으로 덮고, 궤(几)를 그 뒤에 설치한다. 만약 왕후(王后)를 배위(配位)하면, 궁위령(宮闈令)이 왕후의 신주(神主)를 받들어 내어 자리[座]에 설치하고, 청저건(靑紵巾)으로 덮는다. 그리고 궤(几)를 그 뒤에 설치한다. 】 재랑(齋郞)이 작세위(爵洗位)에 나아가 찬(瓚)을 씻고 찬(瓚)을 닦고, 작(爵)을 씻고 작(爵)을 닦아 비(篚)에 담아 받들고 준소(尊所)로 나아가서 점(坫) 위에 둔다. 판통례(判通禮)가 재전(齋殿) 앞으로 나아가서 부복하고 꿇어앉아

"행례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장(杖)을 짚고 나오는데, 찬례(贊禮)가 전하를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근시(近侍)는 따라 들어가고, 산선(繖扇) 및 호위관(護衛官)은 문밖에서 멈춘다. 】 집례(執禮)가

"곡(哭)하라."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한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贊者)가 역시 창(唱)한다. 】 집례가

"곡을 그치라."

하고, 찬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무릇 절하고 일어날 때에는 내시(內侍)가 장(杖)을 받아서 받는다. 】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집례가

"전폐례(奠幣禮)를 행하라."

고 하여,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고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한다. 근시(近侍) 【승지(承旨). 】 한 사람이 꿇어앉아 이(匜)를 취(取)하여 가지고 일어나서 물을 붓고, 한 사람이 꿇어앉아 반(槃)을 취(取)하여 가지고 물을 받는다. 전하께서 손을 씻으면, 근시가 꿇어앉아 비(篚)에서 수건을 취(取)하여 올리고, 전하께서 손을 닦고 나면, 근시가 수건을 받아서 비(篚)에 놓는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근시(近侍)가 따라 오른다. 】 준소(尊所)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하면,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근시 한 사람이 울창(鬱鬯)을 떠내고, 한 사람이 찬(瓚)으로 울창을 받는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영좌(靈座) 앞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으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는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근시 한 사람이 향합(香合)을 받들어 꿇어앉아 올리고, 한 사람이 향로(香爐)를 받들어 꿇어앉아 올리면, 찬례가

"세 번 상향(上香)하라."

고 계청하여, 근시가 향로를 안(案) 위에 드린다. 근시가 찬(瓚)을 꿇어앉아 올리면, 찬례가

"찬(瓚)을 잡고 땅에 〈술을〉 부으라."

고 계청하여, 이를 마치면, 찬(瓚)을 근시에게 주어, 근시가 이를 받아 대축(大祝)에게 주어서 준소(尊所)에 두게 한다.

근시가 폐비(幣篚)를 꿇어앉아 올리면, 찬례가

"집폐 헌폐(執幣獻幣)하라."

고 계청하여, 폐백을 근시에게 주어 영좌(靈座) 앞에 드리게 한다. 【향을 올리[進香]고, 찬을 올리[進瓚]고, 폐백을 올릴[進幣] 때는 모두 동쪽에서 서향하고, 향로를 드리[奠爐]고, 찬을 받[受瓚]고, 폐백을 드릴[奠幣] 때는 모두 서쪽에서 동향한다. 작을 올리[進爵]고, 작을 드릴[奠爵] 때도 이에 준한다. 】 찬례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戶]을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영좌(靈座)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으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는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대축(大祝)이 고명(誥命)을 취(取)해서 동향하여 꿇어앉아 읽는다. 이를 마치면, 찬례(贊禮)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戶]을 나와 준소(尊所)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면, 집례가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고 한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근시 한 사람이 예제(醴齊)를 떠내고, 한 사람이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영좌 앞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찬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으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는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근시가 작(爵)을 꿇어앉아 올리면, 찬례가

"집작 헌작(執爵獻爵)하라."

고 계청하여, 작을 근시에게 주어 영좌(靈座) 앞에 드리게 한다. 찬례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으라."

고 계청하고, 대축(大祝)이 영좌의 오른쪽으로 나아가서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祝文)을 읽는다.

이를 마치면, 찬례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亞獻官)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戶]을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가면, 집례(執禮)가

"아헌례(亞獻禮)를 행하라."

고 하여, 알자(謁者)가 아헌관(亞獻官)을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관세(盥帨)하게 한다. 이를 마치면,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준소(尊所)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한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앙제(盎齊)를 떠내고, 집사자(執事者)가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영좌(靈座)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고 찬한다. 집사자가 작(爵)을 아헌관에게 주어, 아헌관이 집작 헌작(執爵獻爵)하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영좌(靈座) 앞에 드리게 한다. 알자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고 찬(贊)하고, 〈아헌관을〉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집례(執禮)가

"종헌례(終獻禮)를 행하라."

고 하여, 알자가 종헌관을 인도하여 행례(行禮)하기를 아헌(亞獻)의 의식과 같이 하고, 이를 마치면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온다. 집례(執禮)가

"분황(焚黃)하라."

고 하면, 대축(大祝)이 고명(誥命) 【사본(寫本)이다. 】 을 받들어 요소(燎所)로 나아가 이를 불사른다. 이를 마치면, 집례가

"곡(哭)하라."

고, 찬례(贊禮)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여 슬피 한다. 종친 및 백관들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집례가

"곡을 그치고 사배하라."

하고, 찬례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라."

고 계청하여, 전하께서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아헌관 이하 자리에 있는 자도 이와 같이 한다. 【찬자가 역시 창한다. 】 찬례(贊禮)가

"예(禮)를 마쳤다."

고 아뢰고,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전하를 인도하여 재전(齋殿)으로 돌아간다. 【만약 혼전(魂殿)이 궁내(宮內)가 아니면 환궁(還宮)하는데, 장위(仗衛)가 인도하고 시종[導從]하기를 올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

알자가 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을 인도하여 나가고, 봉례랑(奉禮郞)이 대군(大君) 이하를 인도하여 나가고, 다음에 종친 및 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나간다. 찬인(贊引)이 감찰(監察) 및 전사관(典祀官) 이하를 인도하여 모두 배위(拜位)로 돌아가게 하면, 집례(執禮)가

"사배하라."

고 하고, 찬자(贊者)가

"국궁(鞠躬),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

이라 창(唱)하여, 감찰 및 전사관 이하가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찬인이 차례로 인도하여 나가고, 대축(大祝)이 우주(虞主)를 들여놓기를 상시(常時)와 같이 한다.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배위(拜位)로 나아가 네 번 절하고 나가고,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예찬(禮饌)을 거두고, 대축(大祝)이 축문과 폐백을 받들어 구덩이에 묻고, 고명(誥命)은 함(函)에 넣어 이를 갈무리한다. 종친 및 백관들이 재실(齋室) 앞에 나아가 차례대로 서서 꿇어앉아, 반수(班首)가 이름[名]을 올려 봉위(奉慰)한다.


  • 【태백산사고본】 47책 135권 2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406면

  • [註 420]
    분황의(焚黃儀) : 황지(黃紙)에 쓴 고명(誥命)을 종묘(宗廟)에 고(告)하는 의식.

◎ 焚黃儀 【齋戒, 同卒哭祭。 贈諡日, 待使者還館乃行。】

竢賜諡禮畢, 承文院官以黃紙, 傳寫誥命, 置於誥命函之後。 執禮設殿下褥位於東階東南, 西向; 設亞獻官終獻官位〔於〕殿下褥位之後近南, 西向北上; 大君以下位於中門內之東, 北向西上; 執事者位於中門內之西, 北向東上; 監察位於其西; 設執禮位於東階西南, 西向; 謁者、贊者、贊引在南差退北上; 設宗親及文武百官監察位於外庭, 竝如常。 典祀官殿司各帥其屬入, 奠祝版於靈座之右, 【有坫。】 陳幣篚於尊所, 設香爐香合竝燭於靈座前。 次設禮饌, 【饌品, 與卒哭祭同。】 設尊彝於戶外之左, 春夏鷄彝一、 【實明水。】 鳥彝一、 【實鬱鬯。】 犧尊二、 【一實明水, 一實醴齋。】 象尊二、 【一實明水, 一實盎齋。】 山(纍)〔罍〕二 【一實玄酒, 一實淸酒。】 爲四行。 【第一行鷄彝鳥彝, 第二行犧尊, 第三行象尊, 第四行山罍。 如秋冬則斝彝一實明水, 黃彝一實鬱鬯。 著尊二, 一實明水, 一實醴齋。 壺尊二, 一實明水, 一實盎齋。 山罍二, 一實玄酒, 一實淸酒。 第一行斝彝黃彝, 第二行尊, 第三行壺尊, 第四行山罍。】 皆加勺羃, 北向西上。 【凡尊, 實明水爲上。】 設饌槃一於尊所; 設洗於東階東南, 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有槃匜。】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 【若爵洗之, 則又實以瓚一爵一, 有坫。】 亞終獻洗, 又於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 【若爵洗之, 則又實以爵二, 有坫。】 設諸執事盥洗於亞終獻洗東南, 北向; 執尊罍篚羃者位於尊罍篚羃之後; 設燎所於西階上, 近西。 【設卓, 置銅爐。】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先入就位; 贊引引監察典祀官入就位; 贊引引大祝、祝史、齋郞, 入詣盥洗位, 盥帨訖各就位; 奉禮郞分引宗親及百官入就位, 次引大君以下去杖入就位; 謁者引亞獻官終獻官入就位。 大祝開匱, 捧出虞主設於座。 【覆以白紵巾, 設几於後。 若王后配, 則宮闈令捧出王后神主, 設於座, 覆以靑紵巾, 設几於後。】 齋郞詣爵洗位, 洗瓚拭瓚, 洗爵拭爵, 置於篚, 捧詣尊所, 置於坫上。 判通禮進當齋殿前俯伏跪, 啓請行禮, 殿下杖出, 贊禮導殿下入就位。 【近侍從入, 繖扇及護衛官停於門外。】 執禮曰: "哭。" 贊禮俯伏跪, 啓請跪俯伏哭, 殿下跪俯伏哭。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執禮曰: "止哭。" 贊禮啓請止哭興平身, 殿下止哭興平身。 【凡拜興時, 內侍承捧杖。】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執禮曰: "行奠幣禮。" 贊禮導殿下詣盥洗位北向立, 近侍 【承旨。】 一人跪取匜興沃水, 一人跪取槃承水, 殿下盥手。 近侍跪取巾於篚以進, 殿下帨訖, 近侍受巾, 奠於篚。 贊禮導殿下升自東階, 【近侍從升。】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 近侍一人酌鬱鬯, 一人以瓚受鬱鬯。 贊禮導殿下詣靈座前北向立, 贊禮(禮)俯伏跪啓請跪, 殿下跪。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近侍一人捧香合跪進, 一人捧香爐跪進, 贊禮啓請三上香, 近侍奠爐于案。 近侍以(瓚)〔贊〕跪進, 瓚禮啓請執瓚灌地訖, 以瓚授近侍, 近侍受以授大祝, 置於尊所。 近侍以幣篚跪進, 贊禮啓請執幣獻幣, 以幣授近侍, 奠于靈座前。 【進香進瓚進幣, 皆在東西向; 奠爐受瓚奠幣, 皆在西東向。 進爵奠爵, 準此。】 贊禮啓請俯伏興平身, 殿下俯伏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導殿下出戶降復位。 贊禮導殿下升自東階, 詣靈座前北向立, 贊禮俯伏跪啓請跪, 殿下跪。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大祝取誥命, 東向跪讀訖, 贊禮啓請俯伏興平身, 殿下俯伏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導殿下出戶詣尊所西向立, 執禮曰: "行初獻禮。" 執尊者擧羃, 近侍一人酌醴齋, 一人以爵受酒。 贊禮導殿下詣靈座前北向立, 贊禮俯伏跪啓請跪, 殿下跪。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近侍以爵跪進, 贊禮啓請執爵獻爵, 以爵授近侍, 奠于靈座前, 贊禮啓請俯伏興少退北向跪。 大祝進靈座之右, 東向跪讀祝文訖, 贊禮啓請俯伏興平身, 殿下俯伏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導殿下出戶降復位。 執禮曰: "行亞獻禮。" 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 北向立盥帨訖, 謁者引亞獻官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尊者擧羃酌盎齋, 執事者以爵受酒。 謁者引亞獻官入詣靈座前, 北向立贊跪, 執事者以爵授亞獻官, 亞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靈座前, 謁者贊俯伏興平身, 引降復位。 執禮曰: "行終獻禮。" 謁者引終獻官行禮如亞獻儀訖, 引降復位。 執禮曰: "焚黃。" 大祝捧誥命 【寫本。】 就燎所焚訖, 執禮曰: "哭。" 贊禮俯伏跪, 啓請跪俯伏哭, 殿下跪俯伏哭盡哀。 宗親及百官同。 【贊者亦唱。】 執禮曰: "止哭四拜。" 贊禮啓請止哭興四拜興平身, 殿下止哭興四拜興平身。 亞獻官以下在位者同。 【贊者亦唱。】 贊禮啓禮畢, 俯伏興, 導殿下還齋殿。 【若魂殿非宮內, 則還宮, 仗衛導從如來儀。】 謁者引亞獻官終獻官出, 奉禮郞引大君以下出, 次分引宗親及文武百官出。 贊引引監察及典祀官以下, 俱復拜位, 執禮曰: "四拜。"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監察及典祀官以下鞠躬四拜興平身, 贊引以次引出, 大祝納虞主如常。 執禮帥謁者、贊者、贊引就拜位, 四拜而出。 典祀官殿司各帥其屬, 徹禮饌。 大祝捧祝幣瘞於坎, 以誥命納于函, 藏之。 宗親及百官進齋室前序立跪, 班首進名奉慰。


  • 【태백산사고본】 47책 135권 24장 A면【국편영인본】 5책 40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