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5권, 오례 흉례 의식 혼전 정지 삭망 급 속절 섭사의

오례 / 흉례 의식 / 혼전 정지 삭망 급 속절 섭사의

◎ 혼전 정지 삭망 급 속절 섭사의(魂殿正至朔望及俗節攝事儀)

○ 제향(祭享) 전 3일에 대군(大君) 이하와 행사(行事)할 집사관(執事官)이 2일 동안 산재(散齋)하여 정침(正寢)에서 유숙(留宿)하고, 1일 동안 향소(享所)에 치재(致齋)한다. 산재(散齋)할 적에는 일 처리하기[治事]를 전과 같이 하는데, 다만 술을 함부로 마시지 아니하고, 파[葱]·부추[韭]·마늘[蒜]·염교[薤]를 먹지 아니하며, 조상(弔喪)과 문병(問病)하지 아니하고, 형벌을 행하지 아니하며, 형살 문서(刑殺文書)에 결재하거나 서명(署名)하지 아니하고, 더러운 일에 참예하지 아니한다. 치재(致齋)할 적에는 오직 제향(祭享)의 일만을 행하는데, 이미 재계(齋戒)하고서 빠진 자는 대리로 행사(行事)하게 한다. 제향에 참예할 종친(宗親) 및 문무 백관(文武百官)과 전문(殿門)을 수위(守衛)할 자도 모두 청재(淸齋)로써 1일 동안 본사(本司)에서 유숙(留宿)한다. 【무릇 제향에 참예할 자는 모두 제향(祭享) 2일 전에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는다. 】

제향 전 1일에 전사(殿司)가 그 소속을 거느리고 전(殿)의 내외(內外)를 소제하고, 집례(執禮)가 초헌관(初獻官)·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의 자리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되, 북쪽을 위로 한다. 대군(大君) 이하의 자리는 중문(中門) 안의 동쪽에 북향하여 설치하되, 서쪽을 위로 하고, 집사자(執事者)의 자리는 중문 안의 서쪽에 북향하여 동쪽을 위로 하게 하고, 감찰(監察)의 자리는 그 서쪽에 있게 한다. 【서리(書吏)가 그 뒤에 배립(陪立)한다. 】 집례(執禮)의 자리는 동계(東階) 아래에 서쪽으로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하고,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은 그 남쪽에 조금 뒤로 물러 있게 하되, 북쪽을 위로 한다. 종친(宗親) 및 문무 백관(文武百官)의 자리를 외정(外庭)에 설치하는데, 문관(文官)은 동쪽, 무관(武官)은 서쪽에, 모두 품등마다 자리를 달리 하여 겹줄로써 북향하게 하고, 상대(相對)하여 머리가 되게 한다. 【종친(宗親)은 매품(每品)의 반두(班頭)에 따로 자리를 설치하고, 대군(大君)은 특별히 정1품의 앞에 자리를 설치한다. 】 감찰(監察) 자리 둘을 문무반(文武班) 뒤에 북향하게 한다. 【서리(書吏)가 각각 그 뒤에 배립(陪立)한다. 】

문밖의 자리[門外位]를 설치하는데, 대군(大君) 이하 및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執事)는 중문(中門) 밖의 길 동쪽에 겹줄로 북향하여 설치하되, 서쪽을 위로 한다. 예감(瘞坎)을 전(殿)의 북쪽 임지(壬地)에 파되, 넓이와 깊이는 물건을 넣을 만하게 한다. 그날 축시(丑時) 전 5각(刻)에 【축시(丑時) 전 5각은 곧 3경(更) 3점(點)이니, 행사(行事)는 축시 1각에 한다. 】 궁위령(宮闈令)이 영악(靈幄)을 깨끗이 털고,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기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가서 축판(祝版)을 영좌(靈座)의 오른쪽에 올려 놓고, 【점(坫)이 있다. 졸곡(卒哭) 전에는 왼쪽에 올려 놓는다. 】 향로(香爐)·향합(香合)과 초[燭]를 영좌(靈座) 앞에 설치한다.

다음에 예찬(禮饌)을 설치하고, 【찬품(饌品)은 정월·동지·속절(俗節)에는 사시제(四時祭)와 같고, 초하루·보름에는 이보다 조금 낮다. 】 준(尊)을 지게문 밖[戶外]의 왼쪽에 설치하고 잔(盞) 3개를 준소(尊所)에 둔다. 3각(刻) 전에 종친(宗親) 및 문무 백관(文武百官)들이 최복(衰服)을 갖추고 【연제(練祭) 후에는 연복(練服)을 갖추고, 상제(祥祭) 후에는 담복(禫服)을 갖춘다. 내상(內喪)이면 연제(練祭) 후에는 제향에 참예하지 아니한다. 】 모두 문밖의 자리[門外位]로 나아간다. 대군(大君) 이하 및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執事)들도 최복(衰服)을 갖추고 【내상(內喪)이면 연제(練祭) 후로부터 담제(禫祭) 전에 이르기까지 헌관과 여러 집사들은 천담복(淺淡服)을 입는다. 】 문밖의 자리[門外位]로 나아간다. 【관세(盥洗)는 중문(中門) 밖에 설치한다.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執事)들이 손을 씻고 들어간다. 】 1각 전에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먼저 전정(殿庭)으로 들어가서, 겹줄로 북향하고 서쪽을 위로 하여 네 번 절하고 나서, 자리로 나아가게 하고, 찬인(贊引)이 감찰(監察) 및 전사관(典祀官)·대축(大祝)·축사(祝史)·재랑(齋郞)을 인도하여 【내상(內喪)이면 궁위령(宮闈令)이 있다. 】 들어가서 전정(殿庭)으로 나아가 겹줄로써 북향하고 서쪽을 위로한다. 집례가

"사배하라."

하고, 찬자가

"국궁(鞠躬),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

이라 창하여, 【무릇 집례의 말이 있으면 찬자가 모두 전창(傳唱)한다. 뒤에도 모두 이와 같다. 】 감찰 및 전사관 이하가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찬인이 감찰 및 전사관 이하를 인도하여 각각 자리로 나아가고, 봉례랑(奉禮郞)이 종친(宗親) 및 백관(百官)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간다. 다음에 대군 이하를 인도하여 장(杖)을 놓고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대축(大祝)이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영좌(靈座) 앞으로 나아가, 궤(匱)를 열고 우주(虞主)를 받들어 내어 【연제(練祭) 후에는 신주(神主)라 한다. 】 자리[座]에 설치하고 백저건(白紵巾)으로 덮는다. 【내상(內喪)이면 궁위령(宮闈令)이 우주(虞主)를 설치하고 청저건(靑紵巾)으로 덮는다. 】 궤(几)는 뒤에 설치한다. 알자가 초헌관·아헌관·종헌관을 인도하고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하면, 집례(執禮)가

"곡하라."

하고, 【연제(練祭) 후에는 곡하지 아니한다. 뒤에도 이와 같다. 】 찬자(贊者)가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라."

고 창(唱)하며, 헌관과 자리에 있는 자가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한다. 집례가

"곡을 그치고 사배하라."

하고, 찬자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라."

고 창하여 헌관과 자리에 있는 자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먼저 절한 자는 절하지 아니한다. 】 집례(執禮)가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하여, 알자가 초헌관(初獻官)을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준소(尊所)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한다. 집준자(執尊者)가 술을 떠내고, 집사자(執事者)가 잔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영좌(靈座)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고 찬(贊)한다. 집사자(執事者) 1인이 향합(香合)을 받들고, 1인이 향로(香爐)를 받들면, 알자(謁者)가

"세 번 상향(上香)하라."

고 찬(贊)하여, 집사자가 향로를 안(案)에 올려 놓는다. 【향을 받들[捧香] 적에는 동쪽에서 서향하고, 향로를 드릴[奠爐] 적에는 서쪽에서 동향한다. 잔을 주고[授盞] 잔을 드릴[奠盞] 적에도 이에 준한다. 】 집사자가 잔(盞)을 초헌관에게 주어, 초헌관이 집잔 헌잔(執盞獻盞)하는데, 잔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영좌 앞에 드리게 한다. 알자가 〈초헌관에게〉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조금 뒤로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으라."

고 찬(贊)하면, 대축(大祝)이 영좌(靈座)의 오른쪽에 나아가서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이를 마치면, 【졸곡(卒哭) 전에는 대축(大祝)이 영좌의 왼쪽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축문을 읽는다. 】 알자가

"부복하였다 일어나 평신하라."

찬(贊)하고, 초헌관을 인도하여 지게문[戶]을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아헌례(亞獻禮)를 행하라."

고 하여,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동계(東階)로 올라가서 준소(尊所)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한다. 집준자(執尊者)가 술을 떠내고, 집사자(執事者)가 잔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영좌(靈座)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으라."

고 찬(贊)한다. 집사자가 잔을 아헌관에게 주어, 아헌관이 집잔 헌잔(執盞獻盞)하는데, 잔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영좌 앞에 드리게 한다. 알자가

"부복하였다 일어나서 평신하라."

찬하고, 아헌관을 인도하여 지게문[戶]를 나와 내려가서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집례(執禮)가

"종헌례(終獻禮)를 행하라."

고 하여, 알자가 종헌관(終獻官)을 인도하여 행례(行禮)하기를 아헌(亞獻)의 의식과 같이 하고, 이를 마치면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집례가

"곡하라."

하고, 찬자가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라."

고 창하여, 헌관(獻官)과 자리에 있는 자가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여 슬피한다. 집례가

"곡을 그치고 사배하라."

하고, 찬자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라."

고 창하여, 헌관과 자리에 있는 자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알자가 초헌관 이하를 인도하여 나가고, 봉례랑(奉禮郞)이 대군(大君) 이하를 인도하여 나간다. 다음에 종친과 문무 백관을 인도하여 나간다. 찬인(贊引)이 감찰(監察)과 전사관(典祀官) 이하를 인도하여 모두 배위(拜位)로 돌아가게 하면, 집례(執禮)가

"사배하라."

하고, 찬자(贊者)가

"국궁(鞠躬),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

이라 창하여, 감찰과 전사관 이하가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한다. 찬인(贊引)이 차례로 인도하여 나가고, 대축(大祝)이 우주(虞主)를 의식과 같이 들여넣는다. 【내상(內喪)이면 궁위령(宮闈令)이 우주(虞主)를 들여넣는다. 】 집례가 알자·찬자·찬인을 인도하여 배위(拜位)로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나간다. 전사관(典祀官)과 전사(殿司)가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예찬(禮饌)을 거두고, 대축(大祝)은 축판(祝版)을 받들어 구덩이에 묻는다.

○ 만약 내상(內喪)이 먼저이면, 헌관(獻官)과 여러 집사(執事)들은 11개월의 연제(練祭) 후 제향에는 최복(衰服)을 그대로 입고, 13개월의 상제(祥祭) 후 제향에는 천담복(淺淡服)을 입고, 15개월의 담제(禫祭) 후 제향에는 제복(祭服)을 입고 음악을 사용하며, 【초하루[朔]·보름[望]에는 음악이 없다. 】 음복(飮福)도 있다.


  • 【태백산사고본】 47책 135권 16장 B면【국편영인본】 5책 402면

◎ 〔魂殿正至朔望及俗節〕攝事儀

前享三日, 大君以下及行事執事官, 散齋二日, 宿於正寢。 致齋一日於享所。 散齋, 治事如故, 唯不縱酒, 不食葱韭蒜薤, 不弔喪問疾, 不行刑, 不判署刑殺文書, 不預穢惡事; 致齋, 唯行享事; 已齋而闕者, 通攝行事。 參祭宗親及文武百官守衛殿門者, 俱淸齋一宿於本司。 【凡預祭者, 皆前享二日, 沐浴更衣。】 前一日, 殿司帥其屬, 掃除殿之內外。 執禮設初獻官、亞獻官、終獻官位於東階東南, 西向北上; 設大君以下位於中門內之東, 北向西上; 執事者位於中門內之西, 北向東上; 監察位於其西; 【書吏陪其後。】 設執禮位於東階下近西, 西向; 謁者贊者贊引在南差退北上; 設宗親及文武百官位於外庭, 文東武西, 俱每等異位重行, 北向相對爲首; 【宗親, 每品班頭別設位; 大君, 特設位於正一品之前。】 監察位二於文武班後, 北向; 【書吏各陪其後。】 設門外位大君以下及獻官諸執事於中門外道東, 重行北向西上; 開瘞坎於殿之北壬地, 方深取足容物。 其日丑前五刻, 【丑前五刻, 卽三更三點, 行事用丑時一刻。】 宮闈令整拂靈幄。 典祀官殿司各帥其屬入, 奠祝版於靈座之右; 【有坫。 卒哭前, 奠於左。】 設香爐香合竝燭於靈座前; 次設禮饌; 【饌品, 正至俗節, 與四時祭同, 朔望則差低。】 設尊於戶外之左, 置盞三於尊所。 前三刻, 宗親及文武百官具衰服, 【練後具練服, 祥後具禫服, 內喪則練後不參祭。】 皆就門外位, 大君以下及獻官諸執事具衰服, 【內喪則自練後至前, 獻官諸執事服淺淡服。】 就門外位。 【盥洗設於中門外, 獻官諸執事盥手而入。】 前一刻,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先入殿庭, 重行北向西上四拜訖就位。 贊引引監察及典祀官、大祝、祝史、齋郞, 【內喪則有宮闈令。】 入就殿庭, 重行北向西上。 執禮曰: "拜。"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凡執禮有辭, 贊者皆傳唱, 後倣此。】 監察及典祀官以下鞠躬四拜興平身。 贊引引監察及典祀官以下各就位, 奉禮郞分引宗親及百官入就位, 次引大君以下去杖入就位。 大祝升自東階, 詣靈座前, 開匱捧出虞主, 【練後則云神主。】 設於座覆以白紵巾, 【內喪則宮闈令設主, 覆以靑紵巾。】 設几於後。 謁者引初獻官、亞獻官、終獻官入就位, 執禮曰: "哭。" 【練後無哭, 後倣此。】 贊者唱跪俯伏哭, 獻官及在位者跪俯伏哭。 執禮曰: "止哭四拜。" 贊者唱止哭興四拜興平身, 獻官及在位者止哭興四拜興平身。 【先拜者不拜。】 執禮曰: "行初獻禮。" 謁者引初獻官, 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尊者酌酒, 執事者以盞受酒。 謁者引初獻官, 入詣靈座前北向立贊跪, 執事者一人捧香合, 一人捧香爐, 謁者贊三上香, 執事者奠爐于案。 【捧香在東西向, 奠爐在西東向, 授盞奠盞, 準此。】 執事者以盞授初獻官, 初獻官執盞獻盞, 以盞授執事者, 奠于靈座前, 謁者贊俯伏興少退北向跪。 大祝進靈座之右, 東向跪讀祝文訖, 【卒哭前, 大祝進靈座之左, 西向讀祝。】 謁者贊俯伏興平身, 引初獻官出戶降復位。 執禮曰: "行亞獻禮。" 謁者引亞獻官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尊者酌酒, 執事者以盞受酒。 謁者引亞獻官入詣靈座前北向立贊跪, 執事者以盞授亞獻官, 亞獻官執盞獻盞, 以盞授執事者, 奠于靈座之前。 謁者贊俯伏興平身, 引亞獻官出戶降復位。 執禮曰: "行終獻禮。" 謁者引終獻官行禮如亞獻儀訖, 引降復位。 執禮曰: "哭。" 贊者唱跪俯伏哭, 獻官及在位者跪俯伏哭盡哀。 執禮曰: "止哭四拜。" 贊者唱止哭興四拜興平身, 獻官及在位者止哭興四拜興平身。 謁者引初獻官以下出, 奉禮郞引大君以下出, 次引宗親及文武百官出。 贊引引監察及典祀官以下, 俱復拜位, 執禮曰: "四拜。"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監察及典祀官以下鞠躬四拜興平身, 贊引以次引出, 大祝納虞主如儀。 【內喪則宮闈令納主。】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就拜位四拜而出; 典祀官殿司各帥其屬, 徹禮饌; 大祝捧祝版瘞於坎。

○ 若內喪在先, 則獻官諸執事, 十一月練後祭仍衰服, 十三月後祭服淺淡服, 十五月禫後祭服祭服。 用樂 【朔望則無樂。】 有飮福。


  • 【태백산사고본】 47책 135권 16장 B면【국편영인본】 5책 40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