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4권, 오례 흉례 의식 소렴

오례 / 흉례 의식 / 소렴

◎ 소렴(小斂)

그날 소렴(小斂)하기 전 2각(刻)에 내시가 손을 씻고 소렴상(小斂牀)을 휘장 밖에 설치하고, 욕석(褥席)과 베개를 편다. 먼저 교포(絞布)를 그 위에 펴는데, 가로로 된 것의 3개는 아래에 있고, 세로로 된 것의 1개는 위에 있다. 모두 흰 생초(生綃) 1폭으로써 그 양쪽 끝을 쪼개어 3개를 만든다. 【가로로 된 것은 몸을 두를 만하게 하여 서로 맺도록 하고, 세로로 된 것은 머리를 가리울 만하게 하여, 발에 이르러 몸 중간에서 맺는다. 】 다음은 이불을 펴고, 다음은 산의(散衣)를 펴고, 다음은 강사포(絳紗袍) 1습(襲)을 펴는데, 무릇 염의(斂衣)는 19칭(稱)이다. 【모두 겹옷과 겹이불을 사용한다. 】

전(前) 1각(刻)에 감찰(監察)·전의(典儀)·통찬(通贊)·봉례랑(奉禮郞)이 먼저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간다. 봉례랑이 종친(宗親)과 문무 백관들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간다. 왕세자가 부복(俯伏)하고 곡을 하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가 부복하고 곡을 한다. 왕비가 곡을 하고, 왕세자빈(王世子嬪)과 내명부(內命婦)·외명부(外命婦) 이하의 여관(女官)도 곡을 한다. 통찬이

"궤(跪)·부복(俯伏)·곡(哭)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이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을 한다. 염(斂)을 하려고 할 때, 내시가 왕세자를 부축 인도하여 휘장 밖으로 나가면,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가 따라 나온다. 상궁(尙宮)이 왕비를 부축 인도하여 휘장 밖으로 나가면, 사규(司閨)가 왕세자빈(王世子嬪)을 부축 인도하여 나가고, 내명부(內命婦)·외명부(外命婦) 이하의 여관(女官)이 따라 나간다. 통찬이

"지곡(止哭)·흥(興)·평신(平身)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은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그전대로 편다. 내시가 마주 서서 소렴상(小斂牀)을 들고 【만약 내상(內喪)이면 여관(女官)이 이 일을 한다. 】 들어와서 대행왕(大行王)의 평상 남쪽에 두고, 전(奠)을 영좌(靈座)의 서남쪽에 옮긴다. 【새 전(奠)을 설치함을 기다려 그제야 이를 버린다. 뒤의 모든 전(奠)도 이와 같다. 】 이에 대행왕(大行王)을 소렴상(小斂牀)에 옮기고는, 먼저 베개를 버리고 첩의(疊衣)를 펴서 그 머리에 깔고, 이내 양쪽 끝을 말아서 양쪽 어깨의 빈 곳에 편다. 또 옷을 말아서 그 양쪽 정강이에 끼워서 그 반듯한 것을 취하고, 그런 후에 남은 옷으로써 이를 가리운다. 오른쪽 옷섶을 왼쪽 옷섶의 위로 여미고 고름은 매지 않으며, 이불로써 염(斂)을 하되 교포(絞布)로써 맺지 않고, 별도로 이불로써 덮고 병풍을 치고 습상(襲牀)을 걷어치운다. 【만약 내상(內喪)이면 여관(女官)이 이 일을 한다. 】

내시가 왕세자를 부축 인도하여 들어와서 대행왕(大行王)의 평상 동쪽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을 하여 진애(盡哀)하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도 따라 자리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을 하여 진애(盡哀)한다. 상궁(尙宮)이 왕비를 부축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 앉아서 곡을 하여 진애(盡哀)하고, 사규(司閨)가 왕세자빈(王世子嬪)을 부축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 앉아서 곡을 하여 진애(盡哀)하고, 내명부(內命婦)·외명부(外命婦) 이하의 여관(女官)들도 따라 자리에 나아가 앉아서 곡을 하여 진애(盡哀)한다. 통찬이

"궤(跪)·부복(俯伏)·곡(哭)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이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을 하여 진애(盡哀)한다. 통찬이

"지곡(止哭)·흥(興)·평신(平身)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이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몸을 그대로 편다. 내시가 왕세자를 부축 인도하여 별실(別室)에 나아가서 머리털을 거두어 삼노를 사용하여 상투[髻]를 매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도 이와 같이 한다. 상궁(尙宮)이 왕비를 부축 인도하여 별실(別室)에 나아가서 머리털을 거두어 삼노를 사용하여 복머리[髽]를 짜고, 왕세자빈(王世子嬪)과 내명부(內命婦)·외명부(外命婦) 이하의 여관(女官)들도 이와 같이 한다. 봉례랑이 종친과 백관들을 나누어 인도하여 임시로 물러가게 한다.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13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84면

    ◎ 小斂

    其日斂前二刻, 內侍盥手, 設小斂牀於帷外, 鋪褥席及枕, 先布絞於其上, 橫者三在下, 縱者一在上, 皆以白綃一幅, 柝其兩端爲三。 【橫者, 取足以周身相結; 縱者, 取足以掩首, 至足而結於身中。】 次鋪衾, 次鋪散衣, 次鋪絳紗袍一襲。 凡斂衣十九稱。 【皆用複衣複衾。】 前一刻, 監察典儀通贊奉禮郞先入就位, 奉禮郞分引宗親及文武百官入就位。 王世子俯伏哭, 大君以下俯伏哭, 王妃哭, 王世子嬪及內外命婦以下哭。 通贊唱跪俯伏哭, 宗親及百官跪俯伏哭。 將斂, 內侍扶引王世子出帷外, 大君以下從出。 尙宮扶引王妃出帷外, 司閨扶引王世子嬪出, 內外命婦以下從出。 通贊唱止哭興平身, 宗親及百官止哭興平身。 內侍對擧牀, 【若內喪則女官爲之。】 入置于大行牀南, 遷奠於靈座西南, 【俟設新奠乃去之, 後凡奠, 倣此。】 乃遷大行于小斂牀, 先去枕而舒疊衣, 以藉其首, 仍捲兩端, 以鋪兩肩空處。 又卷衣夾其兩脛, 取其方正, 然後以餘衣掩之, 左衽不紐。 斂之以衾而未結以絞, 別覆以衾, 施屛撤襲牀。 【若內喪則女官爲之。】 內侍扶引王世子入詣大行牀東跪俯伏哭盡哀。 大君以下從就位跪俯伏哭盡哀。 尙宮扶引王妃入就位坐哭盡哀。 司閨扶引王世子嬪入就位坐哭盡哀。 內外命婦以下從就位坐哭盡哀。 通贊唱跪俯伏哭, 宗親及百官跪俯伏哭盡哀。 通贊唱止哭興平身, 宗親及百官止哭興平身。 內侍扶引王世子就別室斂髮, 用麻繩撮髻。 大君以下同。 尙宮扶引王妃就別室斂髮, 用麻繩而髽。 王世子嬪及內外命婦以下同。 奉禮郞分引宗親及百官權退。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13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8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