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4권, 오례 흉례 의식 습

오례 / 흉례 의식 / 습

◎ 습(襲)

내시가 손을 씻고 습상(襲牀)381) 을 휘장 안에 설치하고, 욕석(褥席)과 베개[枕]를 편다. 먼저 대대(大帶) 1개 【겉감과 안찝은 흰 비단이고, 홍색·녹색의 선[緣]이다. 만약 내상(內喪)이라면 겉감과 안찝은 푸른 비단이다. 】 곤룡포(袞龍袍) 1개【곧 흉배(胸背)에 용의 무늬를 짜넣는다. 원령(圓領)382) 이다. 】 저사 답호(紵絲褡𧞤) 1개 【곧 반비의(半臂衣)이다. 】 철릭(帖裏) 1개, 차라원령(次羅圓領) 1개, 답호(褡𧞤) 1개, 철릭(帖裏) 1개를 설치하고 【이상은 습(襲)할 때 편다. 】 다음에 홍저사 원령(紅紵絲圓領) 1개, 답호(褡𧞤) 1개, 철릭(帖裏) 1개, 흰 생초(生綃)의 과두(裹肚) 1개, 흰 생초(生綃)의 한삼(汗衫) 1개, 흰 생초의 바지 2개, 흰 생초의 버선 1개를 【이상은 몸에 입힌다. 】 그 위에 설치하는데, 무릇 9칭(稱)383) 에 답호(褡𧞤)를 섞어서 사용한다. 【의상(衣裳) 등은 모두 상의원(尙衣院)에서 바친다.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또 함(函)으로써 망건(網巾) 【검은 비단으로 대용(代用)한다. 】 수관(首冠)【검은 비단을 사용한다. 제도는 감두(㔶頭)384) 와 같다. 】 충이(充耳) 2개 【새 솜을 사용한다. 크기는 대추씨만 하다. 】 명목(幎目) 1개 【푸른 비단에 안찝은 붉은 생초(生綃)를 사용한다. 사방이 1척 2촌인데, 사각(四角)으로 자주색 생초(生綃)의 띠를 펴어서 뒤에서 이를 맺는다. 】 악수(握手) 2개 【푸른 비단에 안찝은 붉은 생초를 사용한다. 길이는 1척 2촌, 나비는 5촌이다. 자주색 생초의 띠 2개를 펴어서 손바닥 뒤에서 이를 맺는다. 】 신[履] 1쌍을 【붉은 빛의 신이다. 만약 청의(靑衣)이면 푸른 빛의 신이다. 모두 저사(紵絲)를 사용한다. 】 담아서 습상(襲牀)의 동북쪽에 설치한다. 목욕을 마치려 하면, 내시가 마주 서서 습상(襲牀)을 들고 【만약 내상(內喪)이면 여관(女官)이 이 일을 한다. 】 들어와서 욕상(浴牀)385) 의 서쪽에 두고, 대행왕(大行王)을 그 위에 옮기고는 이어서 습(襲)하며 【다만 수건(首巾)·웃옷[上服]과 신[履]만은 입히거나 신기지 않는다. 】 이불로 이를 덮는다. 내시가 욕상(浴牀)을 걷어 치우고 대행왕(大行王)이 평상(平牀)을 한가운데로 옮겨서 남쪽으로 머리를 두게 하고는, 이에 병풍과 휘장을 친다. 【모두 흰 것을 사용한다. 】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83면

  • [註 381]
    습상(襲牀) : 염습하는 데 쓰는 평상(平牀).
  • [註 382]
    원령(圓領) : 옷깃의 둥근 옷.
  • [註 383]
    칭(稱) : 염습할 때 겹쳐 입히는 옷의 수.
  • [註 384]
    감두(㔶頭) : 감투.
  • [註 385]
    욕상(浴牀) : 목욕하는 데 쓰는 평상(平牀).

◎ 襲

內侍盥手, 設襲牀於帷內, 鋪褥席及枕。 先置大帶一、 【表裏白, 羅紅綠緣, 若內喪則表裏靑羅。】 袞龍袍一、 【卽胸背織龍圓領 。】 紵絲褡𧞤一、 【卽半臂衣。】 帖裏一、次羅圓領一、褡𧞤一、帖裏一, 【已上鋪襲。】 次紅紵絲圓領一、褡𧞤一、帖裏一、白綃裏肚一、白綃汗衫一、白綃袴二、白綃襪一 【已上被體。】 於其上, 凡九稱。 雜用褡𧞤。 【衣裳等皆尙衣院供進, 後倣此。】 又以函盛網巾 【代用皂羅。】 首冠 【用羅, 製如頭。】 充耳二 【用新綿如棗核大 。】 幎目一 【用靑羅裏纁綃, 方尺二寸四, 角安紫綃帶於後結之。】 握手二 【用靑羅裏纁綃, 長尺二寸, 廣五寸, 安紫綃帶二結於掌後。】 履一雙, 【赤履, 若內喪則靑履, 皆用紵絲。】 置于牀之東北。 沐浴將畢, 內侍對擧牀, 【若內喪, 則女官爲之。】 入置于浴牀之西, 遷大行于其上乃襲, 【但未着首巾上服及履。】 覆以衾。 內侍撤浴牀, 遷大行牀于正中南首, 乃施屛幄。 【皆用素。】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8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