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 / 빈례 의식 / 연조정사의
그날에 영접 도감(迎接都監)에서 사자(使者)의 좌석을 태평관(太平館) 정청(正廳)의 동벽(東壁)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오칠 교의(烏漆交椅)이다. 】 액정서(掖庭署)에서 전하의 좌석을 서벽(西壁)에 동향하여 설치하고, 【주칠 교의(朱漆交椅)이다. 】 향안(香案)을 북벽(北壁)에 설치하고, 사준원(司樽院)에서 주탁(酒卓)을 정청 안에 남쪽 가까이 북향하여 설치한다.
전하가 태평관(太平館)에 이르러 편전(便殿)에 들어간다. 시각이 되면, 판통례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외판(外辦)을 아뢰어, 전하가 여(輿)를 타고 나오는데, 산(繖)과 선(扇)으로 시위하기를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한다. 판통례(判通禮)가 전하를 인도하여 중문(中門) 밖에 이르러 여(輿)에서 내리게 한다. 사자(使者)가 문을 나오면, 전하가 읍양(揖讓)을 하고, 사자도 또한 읍양을 한다. 사자는 문에 들어와서 오른쪽으로 가고, 전하는 문에 들어와서 왼쪽으로 가서 정청에 이르러, 사자는 동쪽에 있고, 전하는 서쪽에 있어 읍(揖)을 하면, 사자가 답하여 읍을 한다. 사자가 좌석에 나아가면, 전하가 좌석에 나아가는데, 산과 선을 정청 밖에 서쪽 가까이 진열하고, 여러 호위(護衛)하는 관원이 어좌(御座) 뒤에 늘어서고, 승지(承旨)는 여러 호위하는 관원의 앞에 남쪽 가까이에 부복한다. 대장(大仗)을 뜰의 동쪽·서쪽에 진열하고, 군사들이 월대(月臺)와 뜰의 동쪽·서쪽과 안팎의 문에 늘어서기를 모두 의식과 같이 한다.
사준 제거(司尊提擧) 1인은 다병(茶甁)을 받들고, 1인은 다종(茶鍾)347) 의 쟁반[盤]을 받들고 모두 들어와서 주정(酒亭)의 동쪽에 서고, 【종(鍾)을 받든 사람은 서쪽에 있다. 】 사옹 제거(司饔提擧) 2인은 과실 쟁반을 받드는데, 1인은 정사(正使)의 오른쪽에 북쪽 가까이 남향하여 서고, 1인은 부사(副使)의 왼쪽에 남쪽 가까이 북향하여 선다. 【사자(使者)는 비록 부사(副使) 이하의 사람이라도 과실 쟁반은 모두 왼쪽에 있다. 】 제조(提調)가 과실 쟁반을 받들고 전하의 오른쪽에 남쪽 가까이 북향하여 서고, 사준 제조(司尊提調)가 종(鍾)348) 으로써 차(茶)를 받아 【제거(提擧)가 차를 따른다. 】 꿇어앉아 전하에게 올리면, 【다종(茶鍾)을 올리려고 하면, 전하가 좌석에서 일어나 조금 앞으로 나와서 서고, 사자(使者)도 좌석에서 일어나 또한 조금 앞으로 나와서 선다. 술을 올리는 예(禮)도 이와 같다. 】 전하가 종(鍾)을 쥐고 정사(正使) 앞에 나아가서 차를 건낸다. 정사가 종(鍾)을 받아 임시로 통사(通事)에게 준다. 제조(提調)가 또 종(鍾)으로써 차를 받아 꿇어앉아 전하에게 올리면, 전하가 종을 쥐고 부사(副使) 앞에 나아가서 차를 건낸다. 부사가 종을 받으면, 전하가 조금 물러난다. 제조가 또 종으로써 차를 받아 서서 정사에게 올리면, 정사가 종을 쥐고 전하 앞에 나아가서 차를 올린다. 【제조(提調)가 물러가 주정(酒亭) 뒤로부터 주정(酒亭)의 서쪽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꿇어앉는다. 술을 올리는 예(禮)도 이와 같다. 】 전하가 종을 쥔다. 통사(通事)가 임시로 다종(茶鍾)을 받아서 서서 정사에게 올리면, 정사가 도로 종을 쥔다. 사자가 좌석에 나아가고, 전하가 좌석에 나아가서 차를 든다. 이를 마치면, 사준 제거(司尊提擧)는 각각 사자 앞에 나아가서 서서 종을 받고, 제조는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종을 받아, 모두 찻쟁반에 그전대로 두고서 나간다. 처음에 차를 들고 이를 마치려 할 때, 사옹 제거는 서서 사자에게 과실을 올리고, 제조는 꿇어앉아 전하에게 과실을 올린다. 이를 마치면 모두 쟁반을 가지고 나간다.
조금 후에 사준 제거 2인이 주정(酒亭)의 동쪽·서쪽에 나누어 서고, 제조(提調) 이하의 관원은 따로 주정의 뒤에 선다. 전악(典樂)이 가자(歌者)와 금슬(琴瑟)을 타는 사람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동계(東階)·서계(西階)의 아래에 서면, 음악이 시작된다. 사준 별감(司尊別監) 4인이 각각 어주(御酒) 담은 그릇을 받들어 올리고는, 월대(月臺) 아래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면, 제조 4인이 나와서 월대 위에 나아가 차례대로 전해 받들고 들어가서, 소정(小亭)에 담아 드린다. 가자(歌者) 등이 올라와서 월대 위에 서면, 음악이 그치고, 모두 앉으며, 제조가 모두 물러가서 주정 뒤에 선다. 사옹 제거 2인이 각각 과실 쟁반을 받들어 사자(使者) 앞에 올리고, 제조(提調)는 과실 쟁반을 받들어 전하 앞에 올리기를 모두 다례(茶禮) 같이 하는데, 과실 쟁반을 올리려 할 때에 음악이 시작된다. 【무릇 곡(曲)과 무(舞)는 임시에 계문(啓聞)하여 재가(裁可)한다. 】
사준 제조(司尊提調)가 잔(盞)에 술을 받아 【무릇 술을 따를 적에는 모두 제거(提擧)가 이를 한다. 】 꿇어앉아 전하에게 올리면, 전하가 잔을 쥐고 정사 앞에 나아가서 읍(揖)하고, 제1잔의 술을 올린다. 정사가 답(答)하여 읍(揖)한다. 잔을 잡아 부사(副使)에게 주고 나서 읍(揖)하면, 부사가 답하여 읍한다. 부사가 또 전하를 향하여 읍하면, 전하가 답하여 읍하고 나서, 도로 잔대(盞臺)를 잡는다.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정사가 술을 마시고 이를 마치면, 제조(提調)가 나아가서 꿇어앉아 빈 잔을 받는다. 정사(正使)가 읍을 하면, 전하가 답하여 읍을 한다. 사옹 제거가 과실 쟁반을 정사(正使) 앞에 서서 올린다. 【매양 사자(使者)가 술을 다 마시면, 제거(提擧)가 과실을 올린다. 】
사준 제조(司尊提調)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전하에게 올리면, 전하가 잔을 쥐고 읍을 하면서 정사에게 술을 올린다.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술잔을 잡고, 도로 전하에게 올린다. 전하가 술잔을 잡아 부사(副使)에게 주고 읍을 하면, 부사가 답하여 읍을 한다. 또 정사에게 읍을 하면,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도로 잔대를 잡는다.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전하가 술을 들고 이를 마치면, 【매양 전하가 술을 들 적에는 제조(提調) 이하의 관원이 꿇어앉는다. 】 제조(提調)가 앞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빈 잔을 받는다. 전하가 읍을 하면,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한다. 사옹 제조가 과실 쟁반을 꿇어앉아 전하 앞에 올린다. 【매양 전하가 술을 들고 이를 마치면, 제조(提調)가 과실을 올린다. 】
사준 제조(司尊提調)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전하에게 올린다. 전하가 잔을 잡고 읍을 하면서 술을 올리면,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잔을 잡아 술을 마신다. 이를 마치면, 제조가 앞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빈 잔을 받는다. 정사가 읍을 하면, 전하가 답하여 읍을 한다. 사준 제조(司尊提調)가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전하에게 올리면, 전하가 잔을 잡아 부사(副使) 앞에 나아가서 행례(行禮)하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조금 뒤로 물러가서 선다. 사준 제조(司尊提調)가 잔으로써 술을 받아 서서 정사에게 올리면, 정사가 잔을 잡고 읍을 하면서 전하에게 술을 올린다. 전하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잔을 잡아 술을 든다. 이를 마치면, 제조가 앞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빈 잔을 받는다. 전하가 읍을 하면,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한다. 사자가 좌석에 나아가고, 전하가 좌석에 나아가면, 음악이 그친다.
사옹 제조 2인이 찬안(饌案)을 마주들고 올리려고 하면, 음악이 시작된다. 전하가 정사의 앞에 나아가서 찬안(饌案)을 올리는데, 제조(提調)가 꿇어앉아 도와서 올린다. 정사가 읍을 하면, 전하가 답하여 읍을 한다. 부사(副使)의 앞에 나아가서 찬안(饌案)을 올리기를 위의 의식 같이 하고, 이를 마치면, 전하가 도로 좌석 앞에 나아가서 선다. 제조(提調)가 또 찬안(饌案)을 들고 와서 올리면, 정사가 전하 앞에 나아가서 찬안을 올리는데, 【부사(副使)가 이를 따른다. 】 제조가 꿇어앉아 도와서 올린다. 전하가 읍을 하면, 사자가 답하여 읍을 하고 좌석에 나아가고, 전하가 좌석에 앉으면 음악이 그친다.
내직 별감(內直別監) 3인이 각각 화반(花盤)을 받들고 정청(正廳) 밖에 나아가고, 별시위(別侍衛) 2인이 화반(花盤)을 전해 받들고 와서 음악이 시작된다. 사자 앞에 나누어 나아가면, 통사(通事)가 꽃을 올린다. 근시(近侍)가 화반을 전해 받들고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으면, 내시(內侍)가 꿇어앉아서 꽃을 올리고, 이를 마치면 【통사(通事)가 내시(內侍)와 함께 일시에 꽃을 올린다. 】 음악이 그친다.
왕세자가 들어와서 주정(酒亭)의 동쪽에 서고, 사준 부제조(司尊副提調)가 잔으로써 술을 받으면, 음악이 시작된다. 부제조(副提調)가 잔을 꿇어앉아 왕세자에게 주면, 【교지(敎旨)가 있어야만 그제야 행한다. 】 왕세자가 잔을 잡고 정사(正使) 앞에 나아가서 【사자(使者)가 일어나 서고, 전하도 또한 일어나 선다. 】 읍(揖)을 하고 서서 제2잔의 술을 올린다. 정사(正使)가 답하여 읍(揖)을 하고서 잔을 잡으면, 왕세자는 그대로 잔대(盞臺)를 잡는다. 【뒤의 것도 이에 의방한다. 】 정사가 술을 마시고 이를 마치면, 왕세자는 빈 잔을 받아 조금 뒤로 물러간다. 정사가 읍을 하면, 왕세자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돌아와 주정의 동쪽에 그전대로 서서 북향하여 부제조에게 잔을 준다. 부제조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왕세자에게 주면, 왕세자가 잔을 잡고 정사 앞에 나아가서 읍을 하고 서서 술을 올린다.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잔을 잡아 도로 왕세자에게 주고, 그대로 잔대(盞臺)를 잡는다. 왕세자가 잔을 받아 술을 마시고 이를 마치면, 잔을 잡고 조금 뒤로 물러가서 읍을 하는데,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한다. 왕세자가 돌아와 주정(酒亭)의 동쪽에 그전대로 서서 부제조에게 잔을 준다. 부제조가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왕세자에게 주면, 왕세자가 잔을 잡고 정사(正使) 앞에 나아가서 읍을 하고 서서 술을 올린다.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하고 잔을 잡아 술을 마신다. 이를 마치면, 왕세자가 빈 잔을 받아 조금 뒤로 물러간다. 정사가 읍을 하면, 왕세자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돌아와 주정의 동쪽에 그전대로 서서 부제조에게 잔을 준다. 부제조가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왕세자에게 주면, 왕세자가 잔을 잡고 부사(副使) 앞에 나아가서 행례하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부제조가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왕세자에게 주는데, 왕세자가 잔을 잡고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술을 올린다. 전하가 잔을 잡으면, 왕세자는 그대로 잔대(盞臺)를 받는다. 【뒤의 것도 이에 의방한다. 】 전하가 술을 들고 이를 마치면, 왕세자는 빈 잔을 받아 물러가서 주정(酒亭)의 뒤에 서서 부제조에게 주고, 주정의 뒤로부터 돌아와 그 동쪽에 선다. 부제조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꿇어앉아 왕세자에게 주면, 왕세자가 잔을 잡고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술을 올린다. 전하가 잔을 잡아 술을 들고 이를 마치면, 왕세자가 빈 잔을 받아 물러가서 주정의 서쪽에 서서 부제조에게 주고, 이내 나간다. 사자가 좌석에 나아가고, 전하가 좌석에 나아가면, 음악이 그친다. 【정청(正廳) 안의 두목(頭目)과 시종관(侍從官)에게 술과 과실을 내리고, 그 나머지 두목(頭目)은 별청(別廳)에서 접대한다. 】
사옹 제거(司饔提擧)가 빈 안(案)을 정사(正使) 찬안(饌案)의 오른쪽에 두고, 또 부사(副使) 찬안의 왼쪽에 두며, 제조가 빈 안을 전하 찬안의 오른쪽에 둔다. 사옹 제조 3인이 각각 소선(小膳)을 받들고 【매위(每位)에 3쟁반이다. 】 올리려 하면, 음악이 시작된다. 전하가 정사(正使) 앞에 나아가서 선(膳)을 올리는데, 제조가 꿇어앉아 도와서 올린다. 정사가 읍(揖)을 하면, 전하가 답하여 읍을 한다. 부사(副使) 앞에 나아가서 선(膳)을 올리기를 위의 의식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전하가 돌아와 좌석 앞에 나아와서 선다. 제조 3인이 각각 소선(小膳)을 받들어 올리면, 정사가 전하의 앞에 나아가서 선을 올리는데, 【부사(副使)가 이를 따른다. 】 제조가 꿇어앉아 도와서 올린다. 전하가 읍을 하면, 사자가 답하여 읍을 하고 좌석에 나아간다. 전하가 좌석에 나아간다. 제거(提擧)가 사자 앞에 나누어 나아가 서서 육(肉)을 베고, 제조가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육을 벤다. 젓가락[筋]을 들어 먹고 나면, 음악이 그친다.
종친이 들어와서 주정(酒亭)의 동쪽에 서고, 사준 제거(司尊提擧)가 잔으로써 술을 받으면 음악이 시작된다. 제거가 잔을 종친에게 주면, 종친이 잔을 잡고 정사(正使) 앞에 나아가서 【사자(使者)가 일어나 서고, 전하도 또한 일어나 선다. 】 읍(揖)을 하고 서서 제3잔의 술을 올린다. 정사가 답하여 읍하고서 잔을 잡으면, 종친이 그대로 잔대(盞臺)를 잡는다. 【뒤에도 이와 같다. 】 정사가 술을 마시고 이를 마치면, 종친이 빈 잔을 받아 조금 뒤로 물러간다. 정사가 읍을 하면, 종친이 답하여 읍을 하고는, 돌아와 주정(酒亭)의 동쪽에 서서 북향하여 제거에게 잔을 준다. 제거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종친에게 주면, 종친이 잔을 잡고 정사 앞에 나아가서 읍을 하고 서서 술을 올리는데,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하고는 잔을 잡아 도로 종친에게 주고, 그대로 잔대를 잡는다. 종친이 잔을 받아 술을 마시고 나면, 잔을 잡고 조금 뒤로 물러가서 읍을 하는데,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한다. 종친이 돌아와 주정의 동쪽에 서서 제거에게 잔을 주면, 제거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종친에게 준다. 종친이 잔을 잡고 정사 앞에 나아가서 읍을 하고 서서 술을 올리면, 정사가 답하여 읍을 하고 잔을 잡아 술을 마신다. 이를 마치면, 종친이 빈 잔을 받아 조금 뒤로 물러간다. 정사가 읍을 하면, 종친이 답하여 읍을 하고, 돌아와 주정의 동쪽에 서서 제거에게 잔을 준다. 제거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종친에게 주면, 종친이 잔을 잡고 부사(副使) 앞에 나아가서 행례(行禮)하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고 사자가 자리에 나아가면, 전하가 자리에 나아간다.
제거(提擧)가 잔으로써 술을 받아 종친에게 주면, 종친이 잔을 잡고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술을 올린다. 전하가 잔을 잡으면, 종친은 그대로 잔대를 받든다. 【뒤에도 이와 같다. 】 전하가 술을 들고 이를 마치면, 종친이 빈 잔을 받아 물러가서 주정의 서쪽에 서서 제거에게 술잔을 주고, 주정 뒤로부터 돌아와 그 동쪽에 선다. 제거가 또 잔으로써 술을 받아 종친에게 주면, 종친이 잔을 잡고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술을 올린다. 전하가 잔을 잡아 술을 들고, 이를 마치면, 종친이 빈 잔을 받아 물러가서 주정의 서쪽에 서서 제거에게 술잔을 주고, 이내 나가는데, 음악이 그친다.
사옹 제거 2인이 각각 탕(湯)을 받들어 올리려고 하면, 음악이 시작된다. 제거가 사자 앞에 나누어 나아가서 서서 올리고, 제조(提調)가 탕(湯)을 받들고 전하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올리면, 내시(內侍)가 전해 받들어 올린다. 젓가락을 들어 먹고 나면, 음악이 그친다. 【군사와 가자(歌者) 등에게 술과 과실을 내린다. 】 술이 일곱 순배 도는데, 【매양 술을 돌린 후에 탕(湯)을 올린다. 】 모두 앞의 의식과 같이 한다. 대선(大膳)을 올리기를 소선(小膳)을 올리는 의식 같이 한다. 【다만 육(肉)을 베지 않는다. 】 사옹 제거(司饔提擧) 2인이 각각 과실 쟁반을 받들어 사자 앞에 올리고, 제조는 과실 쟁반을 받들어 전하 앞에 올린다. 과실 쟁반을 올리려고 하면, 음악이 시작된다. 전하가 술을 돌리기를 제1잔을 돌리는 의식 같이 하고, 【다만 술을 청하지 않는다. 】 술을 돌리기를 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전하가 나아가면, 사자(使者)가 전송하여 중문(中門) 밖에까지 이른다. 전하가 궁(宮)으로 돌아가기를 올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 【태백산사고본】 45책 133권 4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51면
- [註 346]
◎ 宴朝廷使儀
其日, 迎接都監設使者座於太平館正廳東壁, 西向。 【烏漆交倚。】 掖庭署設殿下座於西壁, 東向; 【朱漆交倚。】 設香案於北壁。 司樽院設酒卓於廳內近南, 北向。 殿下至館入便殿, 時至, 判通禮俯伏跪啓外辦, 殿下乘輿以出, 繖扇侍衛如常儀。 判通禮導殿下至中門外降輿, 使者出門, 殿下揖讓, 使者亦揖讓。 使者入門而右, 殿下入門而左, 至正廳, 使者在東, 殿下在西揖, 使者答揖, 使者就座, 殿下卽座。 陳繖扇於廳外近西; 諸護衛之官, 列立於座後; 承旨於諸護衛之官前近南俯伏; 陳(於)大仗於庭之東西; 軍士列立於月臺及庭東西內外門, 竝如式。 司尊提擧一人奉茶甁, 一人奉茶鍾盤, 俱入立於酒亭東。 【奉鍾者在西 。】 司饔提擧二人奉果盤, 一人立於正使之右近北南向, 一人立於副使之左近南北向。 【使者雖副使以下, 果盤皆在於左。】 提調奉果盤立於殿下之右近南, 北向。 司樽提調以鍾受茶, 【提擧酌茶。】 跪進于殿下。 【茶鍾將進, 殿下起座稍前立, 使者起座亦稍前立, 酒禮同。】 殿下執鍾, 就正使前進茶, 正使受鍾, 權授通事。 提調又以鍾受茶, 跪進于殿下, 殿下執鍾, 就副使前進茶, 副使受鍾, 殿下少退。 提調又以鍾受茶, 立進于正使, 正使執鍾, 就殿下前進茶, 【提調退從酒亭後, 詣酒亭西北向跪, 酒禮同。】 殿下執鍾, 通事以權授茶鍾, 立進于正使, 正使還執鍾。 使者就座, 殿下卽座。 擧茶訖, 司尊提擧各進使者前, 立受鍾; 提調進殿下前跪受鍾, 俱復於茶盤以出。 初擧茶訖, 司饔提擧立進果于使者, 提調跪進果于殿下訖, 俱以盤出。 小頃, 司尊提擧二人分立于酒亭東西, 提調以下列立於酒亭後。 典樂率歌者及琴瑟入, 立於東西階下。 【樂作。】 司尊別監四人各奉進御酒器, 就月臺下北向立, 提調四人出就月臺上, 次次傳奉入置, 進於小亭。 歌者等升立於月臺上 【樂止。】 俱坐, 提調俱退立於酒亭後。 司饔提擧二人各奉果盤進使者前, 提調奉果盤進殿下前, 竝如茶禮。 將進果盤, 樂作。 【凡曲舞, 臨時啓裁。】 司尊提調以盞受酒, 【凡酌酒, 皆提擧爲之。】 跪進于殿下, 殿下執盞就正使前, 揖進第一盞酒, 正使答揖執盞, 與副使揖, 副使答揖。 又向殿下揖, 殿下答揖, 還執盞臺。 【後倣此 。】 正使飮訖, 提調進跪受虛盞, 正使揖, 殿下答揖。 司饔提擧以果盤立進于正使前, 【每當使者飮訖, 提擧進果。】 司尊提調又以盞受酒, 跪進于殿下, 殿下執盞揖進酒, 正使答揖, 執盞還進于殿下, 殿下執盞, 與副使揖, 副使答揖, 又與正使揖, 正使答揖, 還執盞臺。 【後倣此 。】 殿下擧酒訖, 【每當殿下擧酒, 提調以下跪。】 提調進跪受虛盞, 殿下揖, 正使答揖。 司饔提調以果盤跪進于殿下前, 【每當殿下擧酒訖, 提調進果。】 司尊提調又以盞受酒, 跪進于殿下, 殿下執盞揖進酒, 正使答揖, 執盞飮訖, 提調進跪受虛盞。 正使揖, 殿下答揖。 司尊提調以盞受酒, 跪進于殿下, 殿下執盞, 就副使前行禮, 如上儀訖, 少退立。 司尊提調以盞受酒, 立進于正使, 正使執盞, 揖進酒于殿下, 殿下答揖, 執盞擧酒訖, 提調進跪受虛盞。 殿下揖, 正使答揖。 使者就座, 殿下卽座。 【樂止。】 司饔提調二人對擧饌案, 將進樂作。 殿下就正使前進案, 提調跪助進, 正使揖, 殿下答揖。 就副使前進案如上儀訖, 殿下還就座前立。 提調又擧饌案以進, 正使就殿下前進案, 【副使從之。】 提調跪助進, 殿下揖, 使者答揖, 就座, 殿下卽座。 【樂止。】 內直別監三人, 各奉花盤就廳外, 別侍衛二人傳奉花盤, 【樂作。】 分就使者前, 通事進花。 近侍傳奉花盤, 詣殿下前跪, 內侍跪進花。 訖, 【通事與內侍一時進。】 【樂止。】 王世子入, 立于酒亭之東, 司尊副提調以盞受酒, 【樂作。】 副提調以盞跪授王世子, 【有旨乃行。】 王世子執盞就正使前 【使者起立, 殿下亦起立。】 揖, 立進第二盞酒, 正使答揖執盞, 王世子仍執盞臺。 【後倣此 。】 正使飮訖, 王世子受虛盞少退。 正使揖, 王世子答揖, 還立于酒亭之東北向, 以授副提調。 副提調又以盞受酒, 跪授王世子, 王世子執盞, 就正使前揖, 立進酒, 正使答揖, 執盞還授王世子, 仍執盞臺。 王世子受盞飮訖, 執盞少退揖, 正使答揖, 王世子還立于酒亭之東, 以授副提調。 副提調以盞受酒, 跪授王世子, 王世子執盞, 就正使前揖, 立進酒, 正使答揖, 執盞飮訖, 王世子受虛盞少退, 正使揖, 王世子答揖, 還立于酒亭之東, 以授副提調。 副提調以盞受酒, 跪授王世子, 王世子執盞, 就副使前行禮, 如上儀。 訖 副提調以盞受酒, 跪授王世子, 王世子執盞詣殿下前跪進酒, 殿下執盞, 王世子仍奉盞臺。 【後倣此 。】 殿下擧酒訖, 王世子受虛盞, 退立于酒亭之西, 以授副提調, 從酒亭後還立其東。 副提調又以盞受酒, 跪授王世子, 王世子執盞詣殿下前, 跪進酒, 殿下執盞擧酒訖, 王世子受虛盞, 退立于酒亭之西, 以授副提調乃出。 使者就座, 殿下卽座, 樂止。 【賜廳內頭目及侍從官酒果, 其餘頭目, 饋于別廳。】 司饔提擧以空案置於正使饌案之右, 又置於副使饌案之左; 提調以空案置於殿下饌案之右。 司饔提調三人, 各奉小膳 【每位三盤。】 將進, 樂作。 殿下就正使前進膳, 提調跪助進, 正使揖, 殿下答揖。 就副使前進膳如上儀訖, 殿下還就座前立, 提調三人各奉小膳以進, 正使就殿下前進膳, 【副使從之。】 提調跪助進, 殿下揖, 使者答揖就座, 殿下卽座。 提擧分就使者前立割肉, 提調詣殿下前跪割肉, 擧筯訖, 樂止。 宗親入立于酒亭之東, 司尊提擧以盞受酒, 【樂作。】 提擧以盞授宗親, 宗親執盞, 就正使前 【使者起立, 殿下亦起。】 揖, 立進第三盞酒, 正使答揖執盞, 宗親仍執盞臺。 【後倣此 。】 正使飮訖, 宗親受虛盞少退, 正使揖, 宗親答揖, 還立于酒亭之東, 北向以授提擧。 提擧又以盞受酒, 授宗親, 宗親執盞就正使前揖, 立進酒, 正使答揖, 執盞還授宗親, 仍執盞臺。 宗親受盞飮訖, 執盞少退揖, 正使答揖, 宗親還立于酒亭之東, 以授提擧。 提擧又以盞受酒, 授宗親, 宗親執盞, 就正使前揖, 立進酒, 正使答揖, 執盞飮訖, 宗親受虛盞少退。 正使揖, 宗親答揖, 還立于酒亭之東, 以授提擧。 提擧又以盞受酒, 授宗親, 宗親執盞, 就副使前行禮, 如上儀訖, 使者就座, 殿下卽座。 提擧以盞受酒, 授宗親, 宗親執盞詣殿下前跪進酒, 殿下執盞, 宗親仍奉盞臺。 【後倣此 。】 殿下擧酒訖, 宗親受虛盞, 退立于酒亭之西, 以授提擧, 從酒亭後還立其東。 提擧又以盞受酒, 授宗親, 宗親執盞詣殿下前跪進酒, 殿下執盞擧酒訖, 宗親受虛盞, 退立于酒亭之西, 以授提擧乃出。 【樂止。】 司饔提擧二人各奉湯將進, 樂作。 提擧分就使者前立進, 提調奉湯詣殿下前跪進, 內侍傳奉以進, 擧筯訖, 樂止。 【賜軍士及歌者等酒果 。】 酒行七徧, 【每行酒後進湯。】 竝如前儀。 進大膳, 如進小膳儀。 【唯不割 。】 司饔提擧二人各奉果盤進使者前, 提調奉果盤進殿下前, 【將進果盤, 樂作。】 殿下行酒, 如第一盞儀。 【唯不請酒。】 行酒畢, 【樂止。】 殿下出, 使者送至中門外, 還宮如來儀。
- 【태백산사고본】 45책 133권 4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5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