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2권, 오례 가례 서례 악현도

오례 / 가례 서례 / 악현도

◎ 악현도(樂懸圖)

○ 조례(朝禮)

【도표】

【그림】

 조례 헌가(朝禮軒架) 조례 헌가(朝禮軒架)

【도표】

【그림】

 조례 고취(朝禮鼓吹) 조례 고취(朝禮鼓吹)
【전정(殿庭)에 설치한다. 노부(鹵簿)의 전부(前部)·후부(後部)의 고취(鼓吹)도 이와 같다. 】

○ 회례(會禮)

【도표】

【그림】

 회례 헌가(會禮軒架) 회례 헌가(會禮軒架)

3방위(方位)에 각각 편종(編鐘) 3개와 편경(編磬) 3개를 설치한다. 동방(東方)의 편종은 북쪽에서 시작되는데, 편경이 사이마다 끼이며, 동쪽을 향한다. 서방(西方)의 편경은 북쪽에서 시작되는데, 편종이 사이마다 끼이며, 서쪽을 향한다. 북방(北方) 편경은 동쪽에서 시작되는데, 편종이 사이마다 끼이며, 북쪽을 향한다. 삭고(朔鼓)·건고(建鼓)·응고(應鼓)를 각각 3개씩 설치하여 북가(北架)의 북쪽에 있으며, 축(柷)·어(敔)를 북가(北架)의 안에 설치하는데, 축(柷)은 동쪽에 있고, 어(敔)는 서쪽에 있다. 금(琴) 6개와 슬(瑟) 4개는 축·어의 남쪽에 있는데, 한 줄이 된다. 다음에 노래 부르는 사람[歌者] 10인이 한 줄이 되고, 그 다음에 관(管) 10개가 한 줄이 되고, 그 다음에 약(籥) 10개가 한 줄이 되고, 그 다음에 화(和) 3개와 생(笙) 7개가 한 줄이 되고, 그 다음에 우(竽), 그 다음에 소(簫), 그 다음에 적(篴), 그 다음에 지(篪), 그 다음에 부(缶), 그 다음에 훈(壎)이 각각 10씩 한 줄이 되는데, 모두 북쪽을 향한다.

【도표】

【그림】

 회례 등가(會禮登歌) 회례 등가(會禮登歌)

【도표】

【그림】

 회례 무(會禮舞) 회례 무(會禮舞)

  • 【태백산사고본】 44책 132권 16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99면

    ◎ 樂懸圖

    【도표】

    【그림】

     朝禮軒架 朝禮軒架

    【도표】

    【그림】

     朝禮鼓吹 朝禮鼓吹
    【전정(殿庭)에 설치한다. 노부(鹵簿)의 전부(前部)ㆍ후부(後部)의 고취(鼓吹)도 이와 같다.。】

    ○ 會禮

    三方各設編鐘三、編磬三。 東方編鐘起北, 編磬間之, 東向。 西方編磬起北, 編鐘間之, 西向。 北方編磬起東, 編鐘間之, 北向。 設朔鼓建鼓應鼓各三, 在北架之北。 設柷敔於北架內, 柷在東敔在西。 琴六瑟四在柷敔之南爲一行, 次歌者十人爲一行, 次管十爲一行, 次籥十爲一行, 次和三笙七爲一行, 次竽次簫次篴次篪次缶次壎各十爲一行, 俱北向。

    【도표】

    【그림】

     會禮軒架 會禮軒架

    【도표】

    【그림】

     會禮登歌 會禮登歌

    【도표】

    【그림】

     會禮舞 會禮舞

    • 【태백산사고본】 44책 132권 16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9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