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0권, 오례 길례 의식 삭망 향종묘의 진설

오례 / 길례 의식 / 삭망 향종묘의 / 진설

◎ 진설(陳設)

제향하기 전 1일에 종묘령(宗廟令)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종묘(宗廟)의 안팎을 소제한다. 헌관(獻官)의 자리를 조계(阼階) 동남쪽에서 서향하여 설치하고, 집사자(執事者)의 자리는 헌관의 뒤에서 조금 남쪽으로 모두 서향하여 하고, 북쪽을 위[上]로 한다. 감찰의 자리를 묘정(廟庭)의 남쪽에서 동쪽 가까이 서향하며 설치하고, 서리(書吏)는 그 뒤에 배립하게 한다. 알자(謁者)·찬자(贊者)는 조계(阼階)의 서쪽에서 서향하게 하고, 북쪽을 위[上]로 한다. 헌관의 음복위(飮福位)를 당상(堂上)의 전영(前楹) 밖에서 동쪽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한다.

제향하는 날 행사하기 전에 궁위령(宮闈令)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제실(祭室)을 열고, 신악(神幄)을 깨끗이 털고 자리를 펴고 안석[几]을 설치하기를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종묘령(宗廟令)이 들어와서 축판(祝版) 각 하나씩을 각 실(室) 신위(神位)의 오른쪽에 드리고, 【각기 점(坫)이 있다. 】 향로(香爐)·향합(香合)과 촉(燭)을 신위 앞에 설치한다. 다음에 제기(祭器)와 제수를 담은 찬구[實饌具]를 설치하되, 매 실(室)마다 각기 왼쪽에 변(籩)이 둘이고, 【율황(栗黃)이 앞에 있고, 녹포(鹿脯)가 다음에 있다. 】 오른쪽에 두(豆)가 둘이며, 【청저(菁菹)가 앞에 있고, 녹해(鹿醢)가 다음에 있다. 】 보(簠)·궤(簋)가 각기 둘인데, 변·두 사이에 놓되 궤(簋)가 앞에 있고, 보(簠)가 다음에 있다. 【보에는 도(稻)·양(粱)을 담고, 궤에는 서(黍)·직(稷)을 담는다. 송(宋)나라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무릇 앞에 있다고 말하는 것은 모두 남쪽을 이름이다."고 하였다. 】 조(俎)가 하나인데, 보·궤의 앞에 있고, 【시성(豕腥)을 담는다. 】 작(爵)이 둘인데, 조(俎) 앞에 있다. 【각기 점(坫)이 있다. 】 또 준(尊)·뇌(罍)를 지게문 밖[戶外]의 왼쪽에 설치하는데, 매 실(室)마다 봄·여름이면 희준(犧尊)이 둘, 【하나는 명수(明水)를 담고, 하나는 예제(醴齊)를 담는다. 】 산뢰(山罍)가 둘이요,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청주(淸酒)를 담는다. 】 가을·겨울이면, 착준(著尊)이 둘, 【하나는 명수(明水)를 담고, 하나는 예제(醴齊)를 담는다. 】 산뢰가 둘인데,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청주(淸酒)를 담는다. 】 모두 작(勺)을 멱(羃)에 얹고 북향하여 서쪽을 위[上]로 한다. 【무릇 준과 뇌에는 명수(明水)와 현주(玄酒)를 담은 것이 위[上]가 된다. 】 세(洗)를 조계(阼階)의 동남에다 북향하여 설치하고,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다. 】 뇌(罍)는 세(洗)의 동쪽에 있는데, 작(勺)을 더하며, 비(篚)는 세의 서남에 펼쳐 놓고 수건[巾]을 담는다. 【만약 작세의 비이면, 또 작을 담는다. 】 여러 집사(執事)의 관세는 헌관(獻官)의 세(洗)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 【태백산사고본】 42책 130권 13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52면

    ◎ 陳設

    前享一日, 宗廟令帥其屬, 掃除廟之內外。 設獻官位於阼階東南, 西向; 設執事者位於獻官之後稍南, 俱西向北上; 設監察位於廟庭之南近東, 西向, 書吏陪其後; 謁者贊者位於阼階之西, 西向北上; 設獻官飮福位於堂上前楹外近東, 西向。 享日未行事前, 宮闈令帥其屬, 開室整拂神幄, 鋪筵設几如常儀。 宗廟令入奠祝版各一於各室神位之右; 【各有坫。】 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之前。 次設祭器實饌具, 每室各左二籩 【栗黃在前, 鹿脯次之。】 右二豆。 【菁菹在前, 鹿醢次之。】 簠簋各二在籩豆間, 簋居前, 簠次之。 【簠實以稻粱, 簋實以黍稷。 宋釋奠儀云: "凡言在前者, 皆謂南也。"】 俎一在簠簋前, 【實以豕腥。】 爵二在俎前。 【各有坫。】 又設尊罍於戶外之左, 每室春夏犧尊二 【一實明水, 一實醴齊。】 山罍二 【一實玄酒, 一實淸酒。】 秋冬著尊二。 【一實明水, 一實醴齊。】 山罍二 【一實玄酒, 一實淸酒。】 皆加勺羃, 北向西上。 【凡尊實明水, 玄酒爲上。】 設洗於阼階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 【若爵洗之, 則又實以爵。】 設諸執事盥洗於獻官洗東南北向。


    • 【태백산사고본】 42책 130권 13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5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