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9권, 오례 길례 의식 친협 종묘의 거가 환궁

오례 / 길례 의식 / 친협 종묘의 / 거가 환궁

◎ 거가 환궁(車駕還宮)

전하가 재궁(齋宮)으로 돌아오면, 판통례가 꿇어앉아서 해엄(解嚴)하기를 계청한다. 1각(刻)쯤 지나서 북[鼓]을 쳐서 1엄(嚴)을 삼고, 장위(仗衛)와 노부(鹵簿)를 돌아갈 길[還塗]에다 돌려 놓기를 올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3각(刻)쯤 지나서 북을 쳐서 2엄을 삼고, 전악령(典樂令)이 악부(樂部)를 재궁 남문 밖에다 진설하고, 왕세자 이하 문무 군관이 각기 조복(朝服)을 갖춘다. 판통례가 꿇어앉아 중엄을 계청하여, 전하가 관포(冠袍)를 갖춘다. 5각쯤 지나서 북을 쳐서 3엄을 삼고, 왕세자 이하 문무 군관이 재궁 대문 밖에 차례로 서[序立]고, 문무 시신(文武侍臣)이 재궁에 나아가서 봉영(奉迎)한다. 판사복(判司僕)이 상로(象輅)를 재궁의 남문 밖에다 남향하여 놓고, 천우 장군이 노 앞에 선다. 판통례가 꿇어앉아 외판(外辦)을 아뢰면, 판사복이 올라가서 고삐를 잡고, 전하께서 여(輿)를 타고 악차(幄次)에서 나오는데, 산선(繖扇)과 화개(華蓋)의 시위(侍衛)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다. 천우 장군이 앞으로 나아가서 고삐를 잡고, 전하께서 문밖에 이르러 여(輿)에서 내려 노(輅)를 타면, 판사복이 서서 수(綏)를 준다.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거가(車駕)의 진발(進發)을 계청하고 물러와 제자리로 돌아가면, 거가가 움직인다. 천우 장군이 노를 양쪽에서 모시고 추창한다. 〈노가〉 시신의 상마소(上馬所)에 이르면,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계청하기를,

"거가를 조금 멈추시고 시신의 상마를 명하소서."

한다.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서 교지를 받고 물러와서 칭(稱)하기를,

"가(可)하다고 명하셨다."

하면, 통찬 사인이 전갈(傳喝)하여, 문무 시신이 말에 오른다.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계청하기를,

"거우(車右)가 오를 것을 명하소서."

하고,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서 교지를 받고 물러와서 칭하기를,

"가하다고 명하셨다."

하면, 지통례가 물러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고, 천우 장군이 〈수레〉에 오른다. 지통례가 꿇어앉아서 거가의 진발을 계청하고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가면, 거가가 움직이는데, 고취(鼓吹)를 진작(振作)하고 환궁(還宮)한다. 문무 군관의 도종(導從)은 올 때의 의식과 같다.

거가가 경복궁 문밖의 시신 하마소(侍臣下馬所)에 이르면, 거가가 조금 멈춘다. 문무 시신이 모두 말에서 내려 나누어 서서 국궁(鞠躬)하고, 천우 장군이 내려서 노(輅)의 오른편에 선다. 거가가 움직이면, 천우 장군이 노를 양쪽에서 모시고 추창한다. 거가가 근정문에 이르면, 악이 그치고, 노를 돌려 남향하게 한다. 판통례가 노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노에서 내리기를 계청하고, 면복(俛伏)하였다 일어나서 돌아와 시립(侍立)한다. 전하가 노에서 내려 여(輿)를 타고 들어가는데, 산선(繖扇)과 화개(華蓋)의 시위(侍衛)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고, 시신(侍臣)이 따라서 전정(殿庭)에 이른다. 유사(有司)가 악좌(幄座)를 근정전에 베풀되, 중앙에다 남향하게 하고, 향로 둘을 전영(前楹) 밖에다 설치하고, 통례문이 협률랑의 자리[位]를 전계(殿階) 위에 설치하되, 서쪽으로 가까이 동향하게 하며, 좌우 시신(左右侍臣) 및 왕세자 이하 문무 군관의 자리를 설치하되,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산선(繖扇)과 장위(仗衛)는 전계(殿階)의 상하(上下)에 진설하고, 악부(樂府)는 군관(群官)의 남쪽에 진열하되, 보통 때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왕세자 이하 문무 군관이 모두 문외위(門外位)에 나아간다. 통례문(通禮門)이 〈이들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位]로 나아가고, 판통례가 앞으로 나아가서 반열이 정제되었음[班齊]을 아뢰고, 전에 오르기를 청한다. 중금이 전엄(傳嚴)하고, 향로(香爐)에서 연기가 오른다. 전하께서 여를 타고 나오면, 상장군이 보실[看] 것을 아뢰고, 판통례가 앞에서 인도한다. 협률랑이 꿇어앉아서 면복하였다 휘를 들고 일어나면, 악을 연주한다. 전의가 통찬을 불러

"국궁"

하게 하여, 중관이 국궁하고, 전하께서 자리[座]에 오르면, 상장군이 보실 것을 아뢰고, 통찬이

"평신(平身)하라."

찬하여, 중관이 평신한다. 협률랑이 휘(麾)를 눕히면, 악이 그치고, 치사관(致詞官)이 월대(月臺) 중심으로 나아가서 꿇어앉아 치사하기를,

"대사(大祀)가 이미 성취되었으니, 예가 마땅히 경하(慶賀)하여야 합니다."

하고, 면복하였다 일어나서 물러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통찬이

"국궁하라."

찬하여, 중관이 국궁하면, 악을 연주한다.

"사배하고 일어나서 평신하라."

찬하여, 중관이 사배하고 일어나서 평신하면, 악이 그친다. 판통례가 꿇어앉아서

"예가 끝났다."

고 아뢰면, 통찬이

"예가 끝났다."

고 창(唱)하고, 전하께서 자리에서 내려온다. 악을 연주한다. 통찬이

"국궁하라."

찬하여, 중관이 국궁하고, 전하께서 여(輿)를 타고 내전으로 들어간다. 악이 그친다.

"평신하라."

찬하여, 중관이 평신하면, 통례문이 왕세자 이하 문무 군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로 나간다.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2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43면

◎ 車駕還宮

殿下還齊宮, 判通禮跪啓請解嚴。 一刻頃, 槌鼓爲一嚴。 轉仗衛鹵簿於還塗, 如來儀。 三刻頃, 槌鼓爲二嚴。 典樂令陳樂部於齊宮南門外, 王世子以下文武群官, 各具朝服。 判通禮跪啓請中嚴, 殿下服冠袍。 五刻頃, 槌鼓爲三嚴。 王世子以下文武群官序立於齊宮大門外, 文武侍臣詣齊宮奉迎。 判司僕進象輅於齊宮南門外南向, 千牛將軍立於輅前。 判通禮跪啓外辦, 判司僕升執轡, 殿下乘輿出次, 繖扇華蓋侍衛如常儀。 千牛將軍前執轡, 殿下至門外, 降輿乘輅, 判司僕立授綏, 知通禮跪啓請車駕進發, 退復位。 車駕動, 千牛將軍夾輅而趨, 至侍臣上馬所, 知通禮跪啓請車駕小駐, 敎侍臣上馬, 判通禮前承旨, 退稱曰: "敎可。" 通贊舍人傳喝, 文武侍臣上馬。 知通禮跪啓請敎車右升, 判通禮前承旨, 退稱曰: "敎可。" 知通禮退復位。 千牛將軍升訖, 知通禮跪啓請車駕進發, 退復位。 車駕動, 鼓吹振作而還, 文武群官導從如來儀。 駕至景福宮門外侍臣下馬所, 車駕小駐, 文武侍臣, 皆下馬分立鞠躬, 千牛將軍降立於輅右。 車駕動, 千牛將軍夾輅而趨, 駕至勤政門, 【樂止。】 回輅南向, 判通禮進輅前跪啓請降輅, 俛伏興還侍立, 殿下降輅乘輿以入, 繖扇華蓋侍衛, 如常儀, 侍臣從至殿庭。 有司鋪幄座於勤政殿當中南向, 設香爐二於前楹外。 通禮門設協律郞位於殿階上近西, 東向; 設左右侍臣及王世子以下文武群官位如常儀, 繖扇仗衛陳於殿階上下, 樂部陳於群官之南如常儀訖。 王世子以下文武群官, 皆就門外位, 通禮門分引入就位。 判通禮進啓班齊請升殿。 中禁傳嚴, 爐烟升, 殿下乘輿以出, 上將軍啓看, 判通禮前導。 協律郞跪俛伏擧麾興, 【樂作。】 典儀招通贊贊鞠躬, 衆官鞠躬。 殿下陞座, 上將軍啓看, 通贊贊平身, 衆官平身, 協律郞偃麾。 【樂止。】 致詞官就月臺中心跪致詞曰: "大祀旣成, 禮當慶賀。" 俛伏興退復位。 通贊贊鞠躬, 衆官鞠躬。 【樂作。】 贊四拜興平身, 衆官四拜興平身。 【樂止。】 判通禮跪啓禮畢, 通贊唱禮畢, 殿下降座, 【樂作。】 通贊贊鞠躬, 衆官鞠躬。 殿下乘輿入內, 【樂止。】 贊平身, 衆官平身。 通禮門分引王世子以下文武群官以次出。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2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4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