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9권, 오례 길례 의식 친협 종묘의 신관

오례 / 길례 의식 / 친협 종묘의 / 신관

◎ 신관(晨祼)

제향일(祭享日) 축시(丑時) 전 5각(刻)에 【축시 전 5각은 곧 3경 3점이니, 행사는 축시 1각에 한다. 】 종묘령과 전사관이 각기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찬구를 담고 나면, 찬인이 감찰을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서 당의 상하를 살펴보고 의식과 같지 아니한 것을 규찰(糾察)하고 도로 나온다. 축시 전 3각에 여러 향관과 배제할 관원이 각기 그 복색을 갖춘다. 【향관은 제복(祭服)이고, 배제관은 공복(公服)이다. 】 집례가 알자·찬자·찬인을 거느리고 동문으로 들어가서 먼저 계간(階間)의 악현 북쪽 배위로 나아가, 겹줄로써 북향하고 서쪽을 위로 해서 사배한다. 이를 마치면 각기 자리로 나아간다.

아악령이 공인과 이무(二舞)를 거느리고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는데, 문무는 악현의 북쪽에 들어가 악현의 남쪽 길 서편에 선다. 통찬·사인이 배제할 종실 및 문무 군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게 하고, 인진사(引進使)가 아헌관을 인도하고, 【만약 영의정이 아헌하게 되면 알자가 인도한다. 】 알자와 찬인이 각기 여러 향관을 인도하여 모두 동문(東門) 밖 자리[位]로 나아가고, 찬인이 감찰·대축·전사관·축사·재랑(齋郞)·종묘령(宗廟令)·궁위령(宮闈令)·협률랑(協律郞)·봉조관(捧俎官)과 집준자(執尊者)·집뢰자(執罍者)·집비자(執篚者)·집멱자(執羃者), 그리고 칠사(七祀)와 공신(功臣)의 축사·재랑·집준자·집뢰자·집비자·집멱자를 인도하여 들어가서 악현의 북쪽 배위(拜位)로 나아가서, 겹줄로써 북향하고 서쪽을 위로 해서 서게 하면, 집례가

"사배하라."

하고, 찬자가 전갈(傳喝)하여, 【무릇 집례가 말이 있으면, 찬자가 다 전갈한다. 】 감찰 이하가 모두 사배한다. 이를 마치면, 찬인이 감찰을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고, 찬인이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 관세하고 나서, 각기 자리로 나아가게 한다.

축시 전 1각에 인진사가 아헌관을 인도하고, 알자·찬인이 종헌관과 진폐 찬작관·천조관·전폐 찬작관과 칠사·공신의 헌관을 인도하여 들어가서 자리로 나아가고, 찬인이 종묘령·대축·궁위령을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 목조실(穆祖室)로 나아가서 들어가 감실(坎室)을 열고 신주(神主)를 받들어 내어 호외(戶外)의 신악(神幄)으로 나아가서 자리[座]에 설치한다. 【신주를 받들고 신악 안으로 나아가서, 궤(几) 뒤에서 궤(匱)를 열고 자리에 설치한다. 선왕의 신주는 대축이 받들어 내어 백저건(白紵巾)으로 덮고, 선후(先后)의 신주는 궁위령이 받들어 내어 청저건(靑紵巾)으로 덮는데, 서쪽을 위로 한다. 】 차례로 익조 이하의 신주를 받들어 내는데, 목조위의 의식과 같이 하고,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찬인이 재랑을 인도하여 작세위에 나아가서 찬을 씻고 찬을 닦으며, 작을 씻고 작을 닦는다.

이를 마치면, 비에 넣어서 받들고 태계(泰階)로 나아간다. 여러 축사가 각기 맞이하여 계상에서 취하여 준소의 점 위에 놓는다. 여러 향관이 장차 들어가 자리에 나아가려 하면, 판통례가 재궁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서 중엄을 계청하고, 조금 있다가 또 외판을 아뢴다. 전하가 곤복과 면류관을 갖추고 나오는데, 산선·화개의 시위는 보통 때의 의식과 같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문 밖에 이르면, 근시가 꿇어앉아서 규(圭)를 올리고, 예의사가 규를 잡기를 계청한다. 화개(華蓋)와 장위는 문밖에서 정지한다. 상서관이 보를 받들어 소차(小次) 옆에 진열하여 놓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정문으로 들어가면, 【시위로서 들어가지 못할 자는 문밖에서 머무른다. 】 협률랑이 꿇어앉아 면복(俛伏)하였다가 휘(麾)를 들고 일어나고, 【무릇 물건을 취하는 자는 모두 꿇어앉아 면복하고 나서, 물건을 취하고 일어난다. 물건을 올[奠]릴 때에는 꿇어앉아 올리고 나서 면복(俛伏)하고, 뒤에 일어난다. 】 악공이 축(柷)을 쳐서, 헌가에서 승안지악(承安之樂)을 연주한다. 전하가 판위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면, 【매양 설 때마다 예의사는 왼쪽에서 물러선다. 】 협률랑이 휘를 눕히고, 어(敔)를 긁어서 악이 그친다. 【무릇 악은 모두 협률랑이 꿇어앉아 면복하였다가 휘를 들고 일어나면, 악공이 축(柷)을 친 뒤에 연주하고, 휘를 눕히고 어를 긁은 뒤에 그친다. 】 예의사가 앞으로 나아와서 사배(四拜)하기를 계청(啓請)하고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가면, 전하가 사배한다. 집례가

"중관(衆官)도 사배하라."

하여, 자리에 있는 자가 모두 사배한다. 【먼저 절한 자는 절하지 아니한다. 】 집례가

"예의사는 행사(行事)하기를 계청하라."

하여, 예의사가 앞으로 나아와서 아뢰기를,

"유사(有司)가 삼가 갖추었사오니 행사하기를 청합니다."

하고,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헌가에서 경안지악(景安之樂)을 연주하고, 열문지무(烈文之舞)를 추는데, 구성(九成)을 연주하고 그친다. 근시가 관세위에 나아가 관세하고 나서 돌아와 시립(侍立)하면, 알자가 진폐 찬작관과 전폐 찬작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 관세하고 나서, 동계로 올라가서 목조위 준소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한다. 【만약 북향(北向)한 신위(神位)의 준소(尊所)로 나아가면, 곧 남향하여 선다. 아래도 이에 준한다. 】 집례가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신관례(晨祼禮)를 행하라."

하면,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고, 헌가에서 승안지악을 연주한다. 관세위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계청하기를,

"규(圭)를 꽂으소서."

한다. 【만일 꽂으시기가 불편하면, 근시가 받들어 봉행한다. 】 내시가 꿇어앉아서 이(匜)를 가지고 일어나 물을 붓고, 또 내시가 꿇어앉아서 반(槃)을 가지고 물을 받는다. 전하가 손을 씻으면, 내시가 꿇어앉아서 비(篚)에서 수건을 가져다 올린다. 전하가 손을 닦고 나면, 내시가 수건을 받아서 비에다 놓는다. 예의사가 규를 잡으시기를 계청하고,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서, 【예의사·근시·내시가 따라 올라간다. 】 악이 그친다. 목조위(穆祖位) 준소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한다. 【북향한 신위의 준소이면, 역시 모두 남향하여 선다. 아래도 이에 준한다. 】 등가에서 숙안지악(肅安之樂)을 연주하고, 열문지무(烈文之舞)를 춘다. 집준자(執尊者)가 멱을 들고, 전폐 찬작관이 울창(鬱鬯)을 떠내면, 근시가 찬(瓚)으로 울창을 받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만약 북향한 신위 앞으로 나아가면, 곧 다 남향하여 선다. 아래에도 이에 준한다. 】 꿇어앉아 규를 꽂기를 계청한다. 근시 한 사람이 향합을 받들고 꿇어앉아서 올리고 근시 한 사람이 향로를 받들고 꿇어앉아서 올리면, 예의사가 세 번 상향(上香)하기를 계청한다. 근시가 찬을 진폐 찬작관에게 주어, 진폐 찬작관이 찬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리면, 예의사가 집찬 관지(執瓚祼地)하기를 계청한다. 이를 마치면, 찬을 전폐 찬작관에게 주어, 전폐 찬작관이 받아서 대축에게 준다. 근시가 폐비(幣篚)를 진폐 찬작관에게 주어, 진폐 찬작관이 폐백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리면 예의사가 집폐 헌폐(執幣獻幣)하기를 계청하여, 폐백을 전폐 찬작관에게 주어서 안(案)에 드리게 한다. 【무릇 남향한 신위에 나아가면, 진향(進香)·진찬(進瓚)·진폐(進幣)는 다 동쪽에서 서향하고, 전로(奠爐)·수찬(受瓚)·전폐(奠幣)는 다 서쪽에서 동향한다. 만약 북향한 신위라면, 진향·진찬·진폐는 다 서쪽에서 동향하고, 전로·수찬·전폐는 동쪽에서 서향한다. 진작(進爵)·전작(奠爵)도 이에 준한다. 】 예의사가 규를 잡고 면복하였다 일어나기를 계청하고, 전하를 인도하여 다음 위(位)로 나아가서 상향(上香)하고 관창(祼鬯)하고 전폐(奠幣)하게 하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예의사가 규를 잡고 면복하였다 일어나기를 계청하고, 등가(登歌)가 그친다. 진폐 찬작관과 전폐 찬작관이 모두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고,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조금 뒤로 물러나 중앙에서 서향하여 서게 하고, 예의사가 재배(再拜)하기를 계청한다. 전하를 인도하면 헌가에서 승안지악을 연주한다. 동계로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면 악이 그친다. 등가(登歌)가 그칠 때를 당하여, 여러 축사가 각기 모혈반(毛血槃)과 간료등(肝膋㽅)을 전영 밖에서 취(取)하여 가지고 모두 들어가서 신위 앞에 드린다. 【모혈반(毛血槃)은 등의 뒤에 있고, 간료등은 변(籩)의 왼쪽에 있다. 】 여러 축사가 모두 간(肝)을 가져다 노탄(爐炭)에 굽고 환소(還所)한다.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19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42면

    ◎ 晨祼

    享日丑前五刻, 【丑前五刻, 卽三更三點。 行事, 用丑時一刻。】 宗廟令典祀官各帥其屬入, 實饌具畢, 贊引引監察升自阼階, 案視堂之上下, 糾察不如儀者, 還出。 前三刻, 諸享官及陪祭之官, 各服其服。 【享官祭服, 陪祭官公服。】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入自東門, 先就階間懸北拜位, 重行北向西上四拜訖, 各就位。 雅樂令帥工人二舞入就位, 文舞入陳於懸北, 武舞立於懸南道西。 通贊舍人分引陪祭宗室及文武群官入就位, 引進使引亞獻官, 【若領議政爲亞獻, 則謁者引。】 謁者、贊引各引諸享官, 俱就東門外位。 贊引引監察、大祝、典祀官、祝史、齋郞、宗廟令、宮闈令、協律郞、捧俎官、執尊罍篚羃者、七祀功臣、祝史齋郞、執尊罍篚羃者, 入就懸北拜位, 重行北向西上。 立定, 執禮曰: "四拜。" 贊者傳喝, 【凡執禮有辭, 贊者皆傳喝。】 監察以下皆四拜訖, 贊引引監察就位, 贊引引諸執事詣盥洗位盥洗訖, 各就位。 前一刻, 引進使引亞獻官, 謁者、贊引引終獻官、進幣瓚爵官、薦俎官、奠幣瓚爵官、七祀功臣獻官入就位。 贊引引宗廟令、大祝、宮闈令, 升自阼階, 詣穆祖室入開埳室, 奉神主出, 詣戶外神幄, 設於座, 【奉神主詣神幄內, 於几後啓匱, 設于座。 先王神主, 大祝奉出, 覆以白紵巾。 先后神主, 宮闈令奉出, 覆以靑紵巾, 以西爲上。】 以次奉出翼祖以下神主, 如穆祖位儀, 引降復位。 贊引引齋郞詣爵洗位, 洗瓚拭瓚, 洗爵拭爵訖, 置於篚, 捧詣泰階, 諸祝史各迎取於階上, 置於尊所坫上。 諸享官將入就位, 判通禮就齋宮前跪, 啓請中嚴。 小頃, 又啓外辦, 殿下服袞冕以出, 繖扇華蓋侍衛如常儀。 禮儀使導殿下至東門外, 近侍跪進圭, 禮儀使啓請執圭。 華蓋仗衛, 停於門外。 尙瑞官捧寶陳於小次之側, 禮儀使導殿下入自正門, 【侍衛不應入者, 止於門外。】 協律郞跪俛伏擧麾興, 【凡取物者皆跪俛伏而取以興, 奠物則跪奠訖, 俛伏而後興。】 工鼓祝。 軒架作承安之樂。 殿下詣版位西向立, 【每立定, 禮儀使退立於左。】 協律郞偃麾戛敔。 樂止, 【凡樂皆協律郞跪俛伏擧麾興, 工鼓柷而後作, 偃麾戛敔而後止。】 禮儀使前啓請四拜, 退復位, 殿下四拜。 執禮曰: "衆官四拜。" 在位者皆四拜。 【先拜者不拜。】 執禮曰: "禮儀使啓請行事。" 禮儀使前啓: "有司謹具, 請行事。" 退復位。 軒架作景安之樂, 烈文之舞作, 九成止。 近侍詣盥洗位盥洗訖, 還侍立。 謁者引進幣瓚爵官、(尊)〔奠〕 幣瓚爵官詣盥洗位盥洗訖, 升自阼階, 詣穆祖位尊所北向立, 【若詣北向神位尊所, 卽南向立, 下準此。】 執禮曰: "禮儀使導殿下行晨祼禮。" 禮儀使導殿下, 軒架作承安之樂。 詣盥洗位北向立, 啓請搢圭, 【如搢不便, 近侍承奉。】 內侍跪取匜興沃水, 又內侍跪取槃承水, 殿下盥手, 內侍跪取巾於篚以進, 殿下帨手訖, 內侍受巾, 奠於篚。 禮儀使啓請執圭, 導殿下升自阼階訖, 【禮儀使近侍內侍從升。】 樂止。 詣穆祖位尊所西向立, 【北向神位尊所, 亦皆西向立。 下準此。】 登歌作肅安之樂, 烈文之舞作。 執尊者擧羃, 進幣瓚爵官酌鬱鬯, 近侍以瓚受鬱鬯。 禮儀使導殿下詣神位前北向立, 【若詣北向神位, 卽皆南向立。 下準此。】 啓請跪搢圭, 近侍一人捧香合跪進, 近侍一人捧香爐跪進, 禮儀使啓請三上香。 近侍以瓚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捧瓚跪進, 禮儀使啓請執瓚祼地訖, 以瓚授奠幣瓚爵官, 奠幣瓚爵官受, 以授大祝。 近侍以幣篚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奉幣跪進, 禮儀使啓請執幣獻幣, 以幣授奠幣瓚爵官, 奠于案。 【凡詣南向神位, 進香進瓚進幣, 皆在東西向; 奠爐受瓚奠幣, 皆在西東向。 若北向神位, 進香進瓚進幣, 皆在西東向; 奠爐受瓚奠幣, 皆在東西向。 進爵奠爵, 準此。】 禮儀使啓請執圭, 俛伏興, 導殿下詣次位, 上香祼鬯奠幣, 竝如上儀訖, 禮儀使啓請執圭。 俛伏興登歌止, 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 皆降復位。 禮儀使導殿下少退當中西向立, 禮儀使啓請再拜, 導殿下, 軒架作承安之樂。 降自阼階復位。 樂止, 當登歌止時, 諸祝史各取毛血槃肝膋㽅於前楹外, 俱入奠於神位前。 【毛血槃在㽅之後, 肝膋㽅在籩之左。】 諸祝史俱取肝, 燔於爐炭還所。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19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4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