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 / 길례 서례 / 시일
◎ 시일(時日)
○ 무릇 제사(祭祀)에 일정한 날이 있는 것이 있으니, 중춘(仲春)·중추(仲秋)의 상무(上戊)008) 와 납일(臘日)에 사직(社稷)에 제사하고, 삭망(朔望)과 세시(歲時) 【정조(正朝)·한식(寒食)·단오(端午)·추석(秋夕)·동지(冬至)·납일(臘日).】 에 종묘(宗廟)·계성전(啓聖殿)009) ·문소전(文昭殿)010) ·건원릉(健元陵)011) ·제릉(齊陵)012) 에 제향(祭享)하고, 【삭망(朔望)에 만약 별제(別祭)를 만나게 되면 다만 별제만을 지낸다. 】 세시(歲時)에 준원전(濬源殿)013) 과 여러 산릉에 제향하고, 계하(季夏)의 토왕일(土旺日)에 중류(中霤)에 제사하고, 입추(立秋) 후의 진일(辰日)에 영성(靈星)에 제사하고, 경칩(驚蟄) 후의 길일(吉日) 해일(亥日)에 선농(先農)에 제향하고, 계추(季秋)의 길일(吉日) 사일(巳日)에 선잠(先蠶)에 제향하고, 중춘(仲春)·중추(仲秋)의 상정(上丁)014) 에 문선왕에게 석전(釋奠)하고, 삭망(朔望)에 문선왕에게 전을 드리고, 【만약 석전을 만나게 되면 다만 석전만을 행한다. 】 중춘(仲春) 중기(中氣)015) 후의 강일(剛日)016) 에 마조(馬祖)에 제사하고, 중하(仲夏) 중기 후의 강일에 선목(先牧)에 제향하고, 중추(仲秋) 중기 후의 강일에 마사(馬社)에 제사하고, 중춘(仲春) 중기 후의 강일에 마보(馬步)에 제사한다.
○ 무릇 제사(祭祀)에 일정한 날이 없는 것은 모두 좋은 날을 점쳐서 가리게 되니, 협사(祫祀)017) ·종묘(宗廟)에 제향하고, 【3년 만에 한 번 협사(祫祀)를 지내게 되는데, 맹동(孟冬) 시향(時享)의 후에 거행한다. 】 사맹월(四孟月)에 종묘·사직(社稷)에 제향하는데, 종묘와 여러 신사(神祀)에는 기고(祈告)하고, 【기원(祈願)이 박절(迫切)하면 좋은 날을 점쳐서 가리지 아니한다. 】 보사(報祀)하며, 【혹은 일로 인하여 기고(祈告)하여, 만약 그 기원을 얻게 되면 보사(報謝)하는 것이니, 만약 수재(水災)와 한재(旱災)를 기도(祈禱)한다면, 입추(立秋)를 기다려 그 후에 보사한다. 】 중춘과 중추에 풍운뢰우에 제사하고, 【산천(山川)과 성황(城隍)도 붙여 제사한다. 】 중춘과 중추에 악·해·독에 제사하고, 맹하(孟夏)에 우사(雩祀)를 지내고, 중춘과 중추에 명산 대천(名山大川)에 제사하고, 중춘과 중추에 조선(朝鮮) 단군(檀君)과 후조선(後朝鮮) 시조(始祖) 기자(箕子)와 고려 시조(高麗始祖)에게 제사하고, 계동(季冬)에 얼음을 떠서 곳간에 넣어 두거나[藏氷], 춘분(春分)에 곳간에서 얼음을 꺼내면[開氷] 사한(司寒)에제향(祭享)하고, 오래 장마가 지면 영제(禜祭)를 지낸다. 【재앙이 박절(迫切)하면 좋은 날을 점쳐서 가리지 아니한다. 】 위의 제사지내는 날은 서운관(書雲觀)에서 기일 전에 예전부터 내려온 관례(慣例)에 준하여 예조(禮曹)에 보고하면, 예조에서는 위에 계문(啓聞)하고 중앙과 지방에 산고(散告)하여, 맡은 관사[攸司]가 직책에 따라 맡아 처리[供辦]한다.
○ 무릇 제사에 좋은 날을 점쳐서 가리지 않는 것은 종묘에 천신(薦新)하는 일이다. 【2월에는 얼음, 3월에는 고사리[蕨], 4월에는 송어(松魚), 5월에는 보리·밀·앵도·죽순·오이·살구, 6월에는 가지[茄子]·동아[冬瓜]·능금[林檎], 7월에는 기장·피·조, 8월에는 벼·연어(年魚)·밤, 9월에는 기러기·대추·배, 10월에는 감·귤·감자(柑子), 11월에는 천아(天鵝), 12월에는 물고기·토끼이다. 】 위의 신물(新物)의 생산되는 것을 각 관(官)에서 규정에 의거하여 전사시(典祀寺)에 수납(輸納)하면, 전사시에서 예조에 보고하고, 예조에서 위에 계문(啓聞)하여 즉시 종묘(宗廟)에 천신하게 된다. 만약 삭망(朔望)의 전을 만나게 되면 아울러 이를 올리게 한다. 신물(新物)의 익는 것이 혹 일찍 익는 것과 늦게 익는 것이 있으니, 그 익는 것에 따라서 천신하고 월령(月令)에 구애할 필요는 없다. 종묘에 사냥한 짐승을 올린다. 【봄사냥과 겨울사냥에 잡은 사슴·노루·꿩 등류를 사자(使者)를 보내어 빨리 가서 종묘에 올리게 한다. 】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176면
- [註 008]상무(上戊) : 첫째 무일(戊日).
- [註 009]
계성전(啓聖殿) : 환조(桓祖)의 진전(眞殿).- [註 010]
문소전(文昭殿) : 태조 및 신의 왕후의 혼전(魂殿).- [註 011]
건원릉(健元陵) : 태조의 능(陵).- [註 012]
제릉(齊陵) : 태조의 비(妃) 신의 왕후의 능.- [註 013]
준원전(濬源殿) : 영흥(永興)에 있는 태조의 혼전.- [註 014]
상정(上丁) : 첫째 정일(丁日).- [註 015]
중기(中氣) : 동지(冬至)를 기점(起點)으로 하여 다음 동지까지의 기간을 12등분한 구분점. 곧 동지·대한·우수·춘분·곡우·소만·하지·대서·처서·추분·상강·소설임.- [註 016]
강일(剛日) : 갑(甲)·병(丙)·무(戊)·경(庚)·임일(壬日).- [註 017]
협사(祫祀) : 조상의 신주를 함께 모셔 제사하는 일.◎ 時日
凡祀有常日者, 仲春仲秋上戊及臘日祭社稷, 朔望歲時 【正朝、寒食、端午、秋夕、冬至、臘。】 享宗廟、啓聖殿、文昭殿、健元陵、齊陵。 【朔望若値別祭, 則只行別祭。】 歲時, 享濬源殿諸山陵, 季夏土旺日祭中霤, 立秋後辰日祀靈星, 驚蟄後吉亥享先農, 季秋吉巳享先蠶, 仲春仲秋上丁釋奠文宣王, 朔望奠文宣王, 【若値釋奠, 只行釋奠。】 仲春、中氣後剛日祀馬祖, 仲夏中氣後剛日享先牧, 仲秋中氣後剛日祭馬社, 仲春中氣後剛日祭馬步。
○ 凡祀無常日者, 竝卜日。 祫享宗廟, 【三年一祫, 以孟冬時享之後。】 四孟月享宗廟 社稷。 宗廟及諸神祀祈告 【所祈迫切則不卜日。】 報祀。 【或因事祈告, 若値得所祈, 則報謝, 如祈水旱則待立秋後報謝。】 仲春、仲秋祀風雲雷雨, 【山川、城隍附。】 仲春、仲秋祭嶽海瀆, 孟夏雩祀, 仲春、仲秋祭名山大川, 仲春、仲秋享朝鮮 檀君、後朝鮮始祖箕子、高麗始祖。 季冬藏氷, 春分開氷享司寒, 久雨禜祭。 【災迫則不卜日。】 右祭祀之日, 書雲觀前期準舊例報禮曹, 禮曹啓聞, 散告中外, 攸司隨職供辦。
○ 凡祀不卜日者, 宗廟薦新。 【二月氷, 三月蕨, 四月松魚, 五月大小麥、櫻桃、筍、瓜、杏, 六月茄子、冬瓜、林檎, 七月黍、稷、粟, 八月稻、年魚、栗, 九月雁、大棗、梨, 十月柿、橘、柑, 十一月天鵝, 十二月魚、兎。】 右新物所産各官, 依式輸納典祀寺, 典祀寺報禮曹, 禮曹啓聞卽薦。 若値朔望奠, 則兼薦之物, 成或有早晩, 隨其成熟以薦, 不必拘月令。 宗廟薦禽。 【蒐狩所獲鹿獐雉之類, 遣使馳薦。】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176면
- [註 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