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 9월 2일 기유 9번째기사 1418년 명 영락(永樂) 16년

예조에서 아뢴 사신 맞이하는 의례 절차

예조에서 사신을 맞이하는 의례(儀禮)의 절차를 아래와 같이 아뢰었다.

"그날을 앞서 유사(有司)가 모화루(慕華樓)의 서북쪽에 장전(帳殿)을 설치하고, 장전 앞에는 홍문(紅門)을 세워 오색 비단으로 꾸미고, 용정(龍亭)과 욕위(褥位)는 장전 한가운데에, 향정(香亭)은 그 남쪽에 안치하고, 사향(司香) 두 사람의 자리는 장전 바깥 좌우에 마련한다. 그리고 상왕 전하와 전하의 자리는 장전의 서쪽 길가에서 북쪽 가까이 동향하여 배설하되, 전하의 자리는 약간 뒤로 물려 설치한다. 문무 군신들의 자리는 장전의 남쪽에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 무관은 서쪽으로 갈라서 모두 북쪽을 향하게 한다. 그리고 금고(金鼓)·의장(儀仗)·고악(鼓樂)을 모화루 앞에 설비하여 맞아들이는 절차를 기다리고 있게 한다. 그리고 또 성내 거리에는 오색 비단으로 장식한다. 또 왕궁에는 전상 가운데에 궐정을 설치하여, 칙서상(勅書床)은 그 앞 조금 동쪽으로, 사물상(賜物床)은 그 앞 조금 서쪽으로 각각 설치한다. 향상(香床)은 궐정 남쪽에 놓는다. 사향(司香) 두 사람의 자리를 향상 좌우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전칙서관(展勅書官)과 전사물관(展賜物官) 두 사람의 자리를 월대(月臺)의 동쪽 약간 서쪽에 두어 서향하게 한다. 상왕 전하의 수사위(受賜位)를 향상의 앞에 마련하고, 상왕 전하와 전하의 배위(拜位)는 전정(殿庭) 노대(露臺)의 위에 마련하여 북향하게 하되, 전하의 자리는 약간 뒤에다 설치한다. 상왕 전하의 악차는 전각 서쪽 마당 가운데에 설치하고, 또 전하의 악차도 전각 서쪽에 설치하되 조금 뒤로 한다. 그리고 여러 신하들의 배위는 노대의 아래 좌우로 남쪽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북향하게 하되, 위계를 달리 겹줄로 통상의식과 같이 한다. 사찬(司贊) 두 사람의 자리는 상왕 전하 배위(拜位)의 북쪽에 정하고, 인례(引禮) 두 사람의 자리는 사찬(司贊) 자리의 남쪽에 정하여 각각 동·서를 향하여 서로 마주 서게 하고, 인반(引班)의 자리는 군신(群臣)들의 배위의 북쪽에 설치하되, 각각 동서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한다. 의장(儀仗)은 전중(殿中) 동편과 서편에 벌여 두고, 악부(樂部)를 군신 배위(群臣拜位)의 남쪽에 설치한다.

그 날에 상왕 전하와 전하는 여러 신하들을 거느리고 적당한 의복으로 의장을 갖추어 모화루로 나아가고, 사신이 도착하려 할 때는 문무 군신들이 먼저 제자리에 나아가 나누어 선다. 인례가 상왕 전하와 전하를 전도(前導)하여 자리에 나아가게 한다. 사신이 장전 앞에 와서 말에서 내리면, 상왕 전하와 전하께서 백관을 거느리고 허리를 굽혀 사신을 영접한다. 그리고 칙서(勅書)는 용정 안에 두고, 사물(賜物)을 지는 사람들은 장전 앞에 선다. 용정자(龍亭子)가 길을 떠나게 되면 사향(司香) 두 사람이 와서 향정(香亭)을 모시고, 향을 피우면 용정은 남향하여 잠깐 멈추고, 금고(金鼓)가 맨 앞에 서고, 그 다음은 군신들, 그 다음은 전하, 그 다음은 상왕 전하, 그 다음은 의장과 고악(鼓樂), 그 다음은 향정, 그 다음은 칙서 용정(勅書龍亭), 그 다음은 사물 짐, 그 다음은 사신이 따르게 된다.

상왕 전하 및 전하와 사신이 한때에 말을 타고 잠깐 머물면, 군신들이 말을 타고 차례대로 앞에서 인도하여 대궐문 앞에 이르면, 군신들은 서문으로 들어가 전정(殿庭)의 동서 양쪽에 마련된 자리에 나아가고, 인례는 상왕 전하와 전하를 인도하여 동문으로 들어가게 하되, 전하는 조금 뒤에 따라오게 한다. 전전(殿前) 노대 서쪽 뜰 가운데, 북쪽 가까운 곳에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서고, 전하는 약간 남쪽에 선다. 용정과 짐과 사신은 중문(中門)으로 들어온다. 상왕 전하와 전하는 백관들을 거느리고 서서 허리를 굽혀 사신을 영접하여 전(殿)으로 올라간다. 인례는 상왕 전하와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로 들어간다. 그러면 집사(執事)는 상왕 전하와 전하의 욕위(褥位)를 노대 위의 북쪽 가까이 북향으로 설치하되, 전하의 자리는 약간 남쪽으로 차린다. 사신은 칙서와 사물(賜物)을 상위[案上]에 놓고 칙서상(勅書床) 동쪽에 서향하여 서면, 인례가 상왕 전하와 전하를 인도하여 배위로 나아가서, 인례가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하여, 상왕 전하와 전하가 허리를 굽히면 이때 풍악이 울리고, 이어 네 번 절하고 일어나서 허리를 편다. 다음에 사찬(司贊)이 또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하여 여러 신하들이 허리를 굽혀 사배하고 일어나 허리를 펴면 풍악은 그친다. 인례가 ‘꿇어앉으라.’ 창하면 상왕 전하와 전하는 꿇어앉고, 사찬이 또 ‘꿇어앉으라.’ 창하면 여러 신하들이 모두 꿇어앉는다. 사향 두 사람이 향상(香床) 앞으로 나아가서 한 사람은 향로를 받들며, 또 한 사람은 향합을 받들고 서로 마주 서서 세 번 향을 피우고 나서, 제각기 향상 위에 놓고 물러나 제자리로 간다. 인례가 ‘부복(俯伏)·흥·평신’을 창하면, 상왕 전하와 전하는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허리를 편다. 사찬이 ‘부복·흥·평신’을 창하면, 여러 신하들이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허리를 편다. 인례가 상왕 전하를 인도하여 서계(西階)로부터 올라가 향상 앞의 수사위(受賜位)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고, 사신이 ‘어명(御命)018) 이 있다. ’고 말하면, 인례가 ‘꿇어앉으라.’ 창하여 상왕 전하가 꿇어앉고, 또 사찬이 ‘꿇어앉으라.’ 창하면 전하와 여러 신하들이 모두 꿇어앉는다. 사신은 칙서를 받들고 서향하여 상왕 전하께 드린다. 상왕 전하는 칙서를 받아 근신(近臣)에게 주고, 사신이 또 사물(賜物)을 받들어 상왕 전하께 드리면, 상왕 전하는 그 사물을 받아 근신에게 준다. 근신이 칙서를 펴 가지고 무릎을 꿇고 상왕 전하께 드리면, 상왕 전하는 이를 보고 나서 다시 근신에게 준다. 인례가 ‘부복·흥·평신’을 창하면 상왕 전하는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허리를 펴고, 사찬이 또 ‘부복·흥·평신’을 창하면 전하가 여러 신하들을 거느리고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허리를 편다. 인례가 상왕 전하를 인도하여 물러나 본 자리로 돌아가서, 인례가 다시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하여, 상왕 전하는 전하와 같이 허리를 굽히면 풍악이 울린다. 이어 사배하고 일어나서 허리를 편다. 이어서 사찬이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하여, 여러 신하들이 허리를 굽히어 사배하고, 일어나 허리를 펴면 풍악이 그친다. 인례가 ‘예를 다 마쳤다. ’고 창하고, 사찬도 예를 마쳤다고 창한다.

인례는 상왕 전하와 전하를 인도하여 전(殿) 앞의 월대 서계로 내려가 악차로 들어간다. 인반(引班)은 여러 신하들을 인도하여 밖으로 나간다. 이때에 인례는 상왕 전하를 인도하여 전(殿) 위로 올라 동향하여 사신과 마주서게 하고, 인례가 ‘국궁·재배·흥·평신’을 창하면, 상왕 전하는 허리를 굽혀 재배하고 일어나서 허리를 펴서 악차로 돌아가고, 인례는 또 전하를 인도하여 전(殿) 위로 올라가 사신과 더불어 행례를 위와 같이 하여 예를 마치고, 인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악차로 돌아간다. 이때에 통사(通事)가 사신을 인도하여 나가 이방(二房)으로 나아가면, 여러 군[諸君]019) 과 사신이 나와서 돈수 재배(頓首再拜)의 예를 행하고, 그 다음에는 재추(宰樞), 그 다음은 각사(各司), 이렇게 차례대로 행례를 마친다. 【만약 사신이 이방에 가지 않고 바로 밖으로 나가면, 각사는 각사대로 나누어 먼저 태평관으로 가서 예를 행할 것이다. 】 통사가 사신을 인도하여 밖으로 나가고, 인례는 상왕 전하와 전하를 인도하여 인정문(仁政門) 밖까지 나가서 전송할 것이다."


  • 【태백산사고본】 1책 1권 14장 A면【국편영인본】 2책 265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외교-명(明)

○禮曹啓迎使臣儀曰:

先期, 有司設帳殿于慕華樓西北, 立紅門於帳殿前結綵。 設龍亭、褥位於帳殿正中, 香亭在其南。 設司香二人位於帳殿外左右。 設上王殿下與殿下位於帳殿之西道邊近北東向, 殿下位差後。 設文武群臣位於帳殿之南, 文東武西俱北上。 備金鼓、儀仗, 鼓樂於慕華樓前, 以伺迎引。 又於城內街巷結綵, 又於王宮設闕庭於殿上正中。 設勑書案於闕庭前小東, 賜物案於闕庭前小西, 香案于闕庭南, 設司香二人位於香案左右。 設展勑書、展賜物官二人位於月臺之東小西西向。 設上王殿下受賜位於香案前, 設上王殿下與殿下拜位於殿庭露臺上, 北向, 殿下差後。 設上王殿下幄次於殿西庭中, 又設殿下幄次於殿西差後, 設群臣拜位於露臺下左右近南北向, 異位重行如常。 設司贊二人位於上王殿下拜位之北, 引禮二人位於司贊之南, 俱東西相向, 引班位於群臣拜位之北, 東西相向。 陳儀仗於殿中東西, 設樂部於群臣拜位之南。 其日, 上王殿下與殿下率群臣, 時服備儀仗, 出慕華樓。 使臣將至, 文武群臣先就位分立, 引禮引上王殿下與殿下出就位。 使臣至帳殿前下馬, 上王殿下與殿下率百官, 躬身迎使臣, 以勑書置龍亭中, 賜物舁擔者立帳殿前。 龍亭子出上路, 司香二人夾侍香亭, 續上香, 龍亭南向小住。 金鼓在前, 次群臣, 次殿下, 次上王殿下, 次儀仗鼓樂, 次香亭, 次勑書龍亭, 次賜物舁擔, 次使臣。 上王殿下與殿下、使臣, 一時乘馬小駐, 群臣騎馬, 以次先導, 行至宮門, 群臣由西門入殿庭, 東西各就位。 引禮引上王殿下與殿下, 由東門入, 殿下差後。 就殿前露臺西邊庭中近北東向立, 殿下稍南立。 龍亭舁擔及使臣由中門入, 上王殿下與殿下率百官, 躬身迎使臣升殿, 引禮引上王殿下與殿下入幄次。 執事設上王殿下與殿下褥位於露臺上近北北向, 殿下位稍南。 使臣置勑書及賜物於案上, 立於勑書案之東西向, 引禮引上王殿下與殿下就拜位。 引禮贊鞠躬、四拜、興、平身, 上王殿下與殿下鞠躬, 樂作, 四拜、興、平身。 司贊唱鞠躬、四拜、興、平身, 群臣鞠躬、四拜、興、平身, 樂止。 引禮贊跪, 上王殿下與殿下跪, 司贊唱跪, 群臣皆跪。 司香二人進香案前, 一人奉香爐, 一人奉香榼相對, 三上香訖, 各置于案上, 退復位。 引禮贊俯伏、興、平身, 上王殿下與殿下俯伏、興、平身, 司贊唱俯伏、興、平身, 群臣俯伏、興、平身。 引禮引上王殿下, 由西階升詣香案前受賜位北向立, 使臣稱有制。 引禮贊跪, 上王殿下跪, 司贊唱跪, 殿下與群臣皆跪。 使臣奉勑書, 西向授上王殿下, 上王殿下受勑書, 授近臣。 使臣奉賜物, 授上王殿下, 上王殿下受賜物, 授近臣。 近臣展勑書跪進, 上王殿下覽訖, 授近臣。 引禮贊俯伏、興、平身, 上王殿下俯伏、興、平身, 司贊唱俯伏、興、平身, 殿下率群臣俯伏興平身。 引禮引上王殿下, 退復位。 引禮贊鞠躬、四拜、興、平身, 上王殿下與殿下鞠躬, 樂作, 四拜、興、平身, 司贊唱鞠躬、四拜、興、平身, 群臣鞠躬、四拜、興、平身, 樂止。 引禮贊禮畢, 司贊唱禮畢。 引禮引上王殿下與殿下, 從殿前月臺西邊階入幄次, 引班引群臣出。 引禮引上王殿下, 升殿東向, 與使臣相對立。 引禮贊鞠躬、再拜、興、平身, 上王殿下鞠躬、再拜、興、平身, 還幄次。 引禮引殿下升殿, 與使臣行禮如上儀訖, 引禮引殿下, 還幄次。 通事引使臣, 出就二房, 諸君與使臣出, 行頓首再拜禮。 次宰樞, 次各司以此行禮畢。 【若使臣不就二房而出, 則各司分司先就太平館行禮。】 通事引使臣出, 引禮引上王殿下與殿下, 送于仁政門外。


  • 【태백산사고본】 1책 1권 14장 A면【국편영인본】 2책 265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외교-명(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