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태종실록14권, 태종 7년 7월 28일 기묘 3번째기사 1407년 명 영락(永樂) 5년

대사성 유백순이 시독관으로 생원 이수를 천거하다

성균 대사성(成均大司成) 유백순(柳伯淳)을 불러 시학(侍學)261) 할 만한 사람을 물었다. 임금이,

"경이 오래 성균(成均)에 있었으니, 선비들의 우열(優劣)을 알지 못함이 없을 것이다. 지금 김과(金科)가 홀로 경연(經筵)에 있어 직질(職秩)이 높고 사무가 번다하니, 내가 서생(書生) 가운데 마음가짐이 단정하고, 박학(博學)하고 경서(經書)를 궁리한 자를 얻어서, 때때로 항상 함께 배우고, 만일 의심나고 어려운 곳이 있으면 양촌(陽村)262) 에게 질문하게 하고, 인하여 아동들을 가르치게 하고자 한다."

하였다. 유백순이 생원(生員) 이수(李隨)가 자질이 순수하고 아름답고 학문이 정숙(精熟)하다고 천거하니, 임금이,

"내가 시험하여 보겠다."

하였다. 이때에 김과가 한성 윤(漢城尹)으로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겸하였기 때문이다.


  • 【태백산사고본】 5책 14권 12장 A면【국편영인본】 1책 408면
  • 【분류】
    왕실-경연(經筵) / 왕실-국왕(國王) / 인사-선발(選拔)

  • [註 261]
    시학(侍學) : 임금이나 왕세자(王世子)에게 학문을 가르치며, 어렵고 의심나는 점을 서로 토론하는 일. 또는 그 사람.
  • [註 262]
    양촌(陽村) : 권근(權近).

○召成均大司成柳伯淳, 問可侍學者。 上曰: "卿久在成均, 士子優劣, 無不盡知。 今金科獨在經筵, 秩高務煩。 吾欲得書生之秉心端直, 博學窮經者, 時常與學, 如有疑難, 使之質於陽村, 仍令訓誨兒童。" 伯淳薦生員李隨資質純美, 學問精熟, 上曰: "我且試之。" 時漢城尹, 同知經筵事。


  • 【태백산사고본】 5책 14권 12장 A면【국편영인본】 1책 408면
  • 【분류】
    왕실-경연(經筵) / 왕실-국왕(國王) / 인사-선발(選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