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태종실록3권, 태종 2년 4월 25일 정축 1번째기사 1402년 명 건문(建文) 4년

이성도 근처의 여진 마을을 통합하여 창성군·석주·이주를 설치하다

처음으로 창성군(昌城郡)·석주(石州)·이주(理州)를 두었다. 의정부(議政府)의 수판(受判)에 이러하였다.

"이성도(泥城道)의 우익(右翼)에 속한 이성(泥城) 이언(伊彦)과 창주(昌州)·벽단(碧團)·음동(陰童)·대소 파아(大小波兒)·우농고(亐農庫) 등 각처의 이언(伊彦)021) 을 합하여 한 고을[州]로 삼아서 창성군(昌城郡)이라 호칭하고 우익 단련사(右翼團練使)로 하여금 이를 겸하게 하고, 강계도(江界道)의 중익(中翼)에 속한 입석(立石)·고합(古哈)·외괴(外怪) 등 각처의 이언(伊彦)을 합하여 한 고을[州]로 삼아 석주(石州)라 호칭하고 중익 단련사(中翼團練使)로 하여금 이를 겸하게 하고, 우익(右翼)에 속한 두목리(豆木里)·산양회(山羊會)·도을한(都乙漢)·봉획대(烽𤐰臺) 등 각처의 이언(伊彦)을 합하여 한 고을로 삼아 이주(理州)라 호칭하고 우익 단련사로 하여금 이를 겸하게 하라."


  • 【태백산사고본】 1책 3권 24장 B면【국편영인본】 1책 233면
  • 【분류】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외교-야(野)

  • [註 021]
    이언(伊彦) : 여진(女眞)이 사는 마을, 또는 그 지방을 말함. 이언(伊彦)은 여진 말로 백성이란 뜻인데 그들이 살고 있는 부락(部落) 또는 그 지방을 가리켜 이언(伊彦)이라 함. 또는 일언(逸彦 irgen)이라고도 한다.

○丁丑/初置昌城郡石州理州。 議政府受判: "泥城道右翼屬泥城伊彦、昌州碧團陰童小波兒亏農庫等各處伊彦, 合爲一州, 號稱昌城郡, 以右翼團練使兼之。 江界道中翼屬立石古哈外怪等各處伊彦, 合爲一州, 號稱石州, 以中翼團練使兼之。 右翼屬豆木里山羊會都乙漢烽𤐰臺等各處伊彦, 合爲一州, 號稱理州, 以右翼團練使兼之。"


  • 【태백산사고본】 1책 3권 24장 B면【국편영인본】 1책 233면
  • 【분류】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외교-야(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