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태조실록14권, 태조 7년 8월 26일 기사 1번째기사 1398년 명 홍무(洪武) 31년

제1차 왕자의 난. 정도전·남은·심효생 등이 숙청되다

봉화백(奉化伯) 정도전·의성군(宜城君) 남은부성군(富城君) 심효생(沈孝生) 등이 여러 왕자(王子)들을 해치려 꾀하다가 성공하지 못하고 형벌에 복종하여 참형(斬刑)을 당하였다. 처음에 임금이 정안군(靖安君)의 건국(建國)한 공로는 여러 왕자들이 견줄 만한 이가 없음으로써 특별히 대대로 전해 온 동북면 가별치(加別赤) 5백여 호(戶)를 내려 주고, 그 후에 여러 왕자들과 공신(功臣)으로써 각도(各道)의 절제사(節制使)로 삼아 시위(侍衛)하는 병마(兵馬)를 나누어 맡게 하니, 정안군전라도를 맡게 되고, 무안군(撫安君) 이방번(李芳蕃)은 동북면을 맡게 되었다. 이에 정안군이 가별치(加別赤)를 방번에게 사양하니, 방번은 이를 받고 사양하지 않았는데, 임금도 이를 알고 또한 돌려주기를 요구하지 않았다. 정도전남은 등은 권세를 마음대로 부리고자 하여 어린 서자(庶子)를 꼭 세자(世子)로 세우려고 하였다. 심효생은 외롭고 한미(寒微)하면 제어하기가 쉽다고 생각하여, 그 딸을 부덕(婦德)이 있다고 칭찬하여 세자 이방석(李芳碩)의 빈(嬪)으로 만들게 하고, 세자의 동모형(同母兄)인 방번(芳蕃)과 자부(姉夫)인 흥안군(興安君) 이제(李濟) 등과 같이 모의(謀議)하여 자기편 당(黨)을 많이 만들고는, 장차 여러 왕자들을 제거하고자 몰래 환자(宦者) 김사행(金師幸)을 사주(使嗾)하여 비밀히 중국의 여러 황자(皇子)들을 왕으로 봉한 예(例)에 의거하여 여러 왕자를 각도(各道)에 나누어 보내기를 계청(啓請)하였으나, 임금이 대답하지 아니하였다. 그 후에 임금이 정안군에게 넌지시 타일렀다.

"외간(外間)의 의논을 너희들이 알지 않아서는 안 되니, 마땅히 여러 형들에게 타일러 이를 경계하고 조심해야 될 것이다."

도전 등이 또 산기 상시(散騎常侍) 변중량(卞仲良)을 사주(使嗾)하여 소(疎)를 올려 여러 왕자의 병권(兵權)을 빼앗기를 청함이 두세 번에 이르렀으나, 임금은 윤허하지 아니하였다. 점(占)치는 사람 안식(安植)이 말하였다.

"세자의 이모형(異母兄) 중에서 천명(天命)을 받을 사람이 하나뿐이 아니다."

도전이 이 말을 듣고 말하였다.

"곧 마땅히 제거할 것인데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의안군(義安君) 이화(李和)가 그 계획을 알고 비밀히 정안군에게 알렸다. 이때에 이르러 환자(宦者) 조순(曹恂)이 교지(敎旨)를 전하였다.

"내가 병이 심하니 사람을 접견하고 싶지 않다. 다만 세자 외에는 들어와서 보지 못하게 하라."

김사행조순은 모두 그들의 당여(黨與)이었다. 정도전·남은·심효생과 판중추(判中樞) 이근(李懃)·전 참찬(參贊) 이무(李茂)·흥성군(興城君) 장지화(張至和)·성산군(星山君) 이직(李稷) 등이 임금의 병을 성문(省問)한다고 핑계하고는, 밤낮으로 송현(松峴)에 있는 남은의 첩의 집에 모여서 서로 비밀히 모의하여, 이방석·이제와 친군위 도진무(親軍衛都鎭撫) 박위(朴葳)·좌부승지(左副承旨) 노석주(盧石柱)·우부승지(右副承旨) 변중량(卞仲良)으로 하여금 대궐 안에 있으면서 임금의 병이 위독(危篤)하다고 일컬어 여러 왕자들을 급히 불러 들이고는, 왕자들이 이르면 내노(內奴)와 갑사(甲士)로써 공격하고, 정도전남은 등은 밖에서 응하기로 하고서 기사일에 일을 일으키기로 약속하였다. 이보다 먼저 정안군은 비밀히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 이숙번(李叔蕃)에게 일렀었다.

"간악한 무리들은 평상시에는 진실로 의심이 없지마는, 임금이 병환이 나심을 기다려 반드시 변고를 낼 것이니, 내가 만약 그대를 부르거든 마땅히 빨리 와야만 될 것이다."

이때에 와서 민무구(閔無咎)정안군의 명령으로써 이숙번을 불러서 이르게 되었다. 이때 임금의 병이 매우 급하니 정안군익안군(益安君) 이방의(李芳毅)·회안군(懷安君) 이방간(李芳幹)·청원군(淸原君) 심종(沈淙)·상당군(上黨君) 이백경(李伯卿)·의안군(義安君) 이화(李和)이제(李濟) 등이 모두 근정문(勤政門) 밖의 서쪽 행랑(行廊)에서 모여 숙직(宿直)하였는데, 이날 신시(申時)에 이르러 민무질(閔無疾)정안군의 사저(私邸)에 나아가서 들어가 정안군의 부인(夫人)과 마주앉아 이야기를 한참 동안 하니, 부인이 급히 종 소근(小斤)을 불러 말하였다.

"네가 빨리 대궐에 나아가서 공(公)을 오시라고 청하라."

소근이 대답하였다.

"여러 군(君)들이 모두 한 청(廳)에 모여 있는데, 제가 장차 무슨 말로써 아뢰겠습니까?"

부인이 말하였다.

"네가 내 가슴과 배가 창졸히 아픔으로써 달려와 아뢴다고 하면 공(公)께서 마땅히 빨리 오실 것이다."

소근이 말을 이끌고 서쪽 행랑에 나아가서 자세히 사실대로 알리니, 의안군(義安君)이 청심환(淸心丸)과 소합환(蘇合丸) 등의 약을 주면서 말하였다.

"마땅히 빨리 가서 병을 치료하십시오."

정안군이 사저(私邸)로 즉시 돌아오니, 조금 후에 민무질(閔無疾)이 다시 와서 정안군 및 부인과 함께 세 사람이 서서 비밀히 한참 동안을 이야기하다가, 부인이 정안군의 옷을 잡고서 대궐에 나아가지 말기를 청하니, 정안군이 말하였다.

"어찌 죽음을 두려워하여 대궐에 나아가지 않겠소! 더구나 여러 형들이 모두 대궐안에 있으니 사실을 알리지 않을 수가 없소. 만약 변고가 있으면 내가 마땅히 나와서 군사를 일으켜 나라 사람들의 마음을 살펴보아야 될 것이오."

이에 옷소매를 떨치며 나가니, 부인이 지게문 밖에까지 뒤따라 오면서 말하였다.

"조심하고 조심하세요."

날이 이미 어두워졌다. 이때 여러 왕자들이 거느린 시위패(侍衛牌)를 폐하게 한 것이 이미 10여 일이 되었는데, 다만 방번(芳蕃)만은 군사를 거느림이 그전과 같았다. 정안군이 처음에 군사를 폐하고 영중(營中)의 군기(軍器)를 모두 불에 태워버렸는데, 이때에 와서 부인이 몰래 병장기(兵仗器)를 준비하여 변고에 대응(對應)할 계책을 하였던 것이다. 이무(李茂)는 본디부터 중립(中立)하려는 계획이 있어 비밀히 남은 등의 모의(謀議)를 일찍이 정안군에게 알리더니, 이때에 와서 민무질을 따라와서 정안군을 뵈옵고 조금 후에 먼저 갔다. 이무무질의 가까운 인척(姻戚)이었고, 죽성군(竹城君) 박포(朴苞)도 또 그 사이를 왕래하면서 저쪽의 동정(動靜)을 몰래 정탐하였다. 이에 정안군민무구에게 명령하여 이숙번으로 하여금 병갑(兵甲)을 준비하여 본저(本邸)의 문 앞에 있는 신극례(辛克禮)의 집에 유숙하면서 변고를 기다리게 하고는, 그제야 대궐에 나아가서 서쪽 행랑(行廊)에 들어가서 직숙(直宿)하였다. 여러 군(君)들은 모두 말을 남겨 두지 않았으나, 홀로 정안군만은 소근을 시켜 서쪽 행랑 뒤에서 말을 먹이게 하였다. 방번이 안으로 들어가려 하는데 정안군이 그를 부르니, 방번이 머리를 긁으며 머뭇거리다가 대답하지 않고 들어갔다. 밤 초경(初更)에 이르러 어느 사람이 안으로부터 나와서 말하였다.

"임금께서 병이 위급하여 병을 피하고자 하니, 여러 왕자들은 빨리 안으로 들어오되 종자(從者)는 모두 들어오지 못하게 하시오."

화(和)·종(淙)·제(濟)가 먼저 나가서 뜰에 서고, 정안군익안군(益安君)·회안군(懷安君)·상당군(上黨君) 등 여러 군(君)들과 더불어 지게문 밖에 잠시 서서 있다가, 비밀히 말하기를,

"옛 제도에 궁중(宮中)의 여러 문에서는 밤에는 반드시 등불을 밝혔는데, 지금 보니 궁문에 등불이 없다."

하면서, 더욱 의심하였다. 화(和)제(濟)·종(淙)은 먼저 안으로 들어갔으나, 정안군은 배가 아프다고 말하면서 서쪽 행랑 문밖으로 나와서 뒷간에 들어가 앉아서 한참 동안 생각하고 있는데, 익안군회안군 등이 달려나오면서 정안군을 두 번이나 부르니, 정안군이 말하기를,

"여러 형님들이 어찌 큰소리로 부르는가?"

하고, 이에 또 서서 양쪽 소매로써 치면서 말하였다.

"형세가 하는 수가 없이 되었다."

이에 즉시 말을 달려 궁성(宮城)의 서문으로 나가니 익안군·회안군·상당군이 모두 달아나는데, 다만 상당군만은 능히 정안군의 말을 따라오고 익안군회안군은 혹은 넘어지기도 하였다. 정안군마천목(馬天牧)을 시켜 방번을 불러 말하였다.

"나와서 나를 따르기를 바란다. 그 종말에는 저들이 너도 보전해 주지 않을 것이다."

방번이 안 행랑 방에 누웠다가, 마천목을 보고 일어나 앉아서 이 말을 다 듣고는 도로 들어가 누웠다. 방번의 겸종(傔從)은 모두 불량(不良)한 무리들로서 다만 활 쏘고 말 타기만 힘쓸 뿐이며, 또한 망령되이 세자(世子)의 자리를 옮기려고 꾀한 지가 오래 되었다. 어느날 방번에게 일렀다.

"우리들이 이미 중궁(中宮)에 연줄이 있어 공(公)으로 하여금 이방석(李芳碩)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어 교명(敎命)이 장차 이르게 될 것이니, 청하건대 나가지 말고 기다리십시오."

방번이 이 말을 믿고 밖으로 나오지 않으니 사람들은 이를 비웃었다. 정안군은 그들이 서로 용납하지 못한 줄을 알고 있었던 까닭으로 방번을 나오라고 불렀으나 따르지 아니하였다. 정안군이 본저 동구(本邸洞口)의 군영(軍營) 앞길에 이르러 말을 멈추고 이숙번을 부르니, 이숙번이 장사(壯士) 두 사람을 거느리고 갑옷 차림으로 나왔으며, 익안군·상당군·회안군 부자(父子)도 또한 말을 타고 있었다. 또 이거이(李居易)·조영무(趙英茂)·신극례(辛克禮)·서익(徐益)·문빈(文彬)·심귀령(沈龜齡) 등이 있었으니, 이들은 모두 정안군에게 진심으로 붙좇는 사람인데, 이때에 이르러 민무구·민무질과 더불어 모두 모였으나, 기병(騎兵)은 겨우 10명뿐이고 보졸(步卒)은 겨우 9명뿐이었다. 이에 부인이 준비해 둔 철창(鐵槍)을 내어 그 절반을 군사에게 나누어 주었으며, 여러 군(君)의 종자(從者)들과 각 사람의 노복(奴僕)이 10여 명인데 모두 막대기를 쥐었으되, 홀로 소근만이 칼을 쥐었다. 정안군이 달려서 둑소(纛所)087) 의 북쪽 길에 이르러 이숙번을 불러 말하였다.

"오늘날의 일은 어찌하면 되겠는가?"

숙번이 대답하였다.

"일이 이미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군호(軍號) 【방언(方言)에 말마기[言的]라 한다.】 를 내리기를 청합니다."

정안군이 산성(山城)이란 두 글자로써 명하고 삼군부(三軍府)의 문앞에 이르러 천명(天命)을 기다리었다. 방석 등이 변고가 일어났다는 말을 듣고 군사를 거느리고 나와서 싸우고자 하여, 군사 예빈 소경(禮賓少卿) 봉원량(奉元良)을 시켜 궁의 남문에 올라가서 군사의 많고 적은 것을 엿보게 했는데, 광화문(光化門)으로부터 남산(南山)에 이르기까지 정예(精銳)한 기병(騎兵)이 꽉 찼으므로 방석 등이 두려워서 감히 나오지 못하였으니, 그때 사람들이 신(神)의 도움이라고 하였다. 정안군이 또 숙번을 불러 말하였다.

"어찌하면 좋겠는가?"

숙번이 대답하였다.

"간당(姦黨)이 모인 장소에 이르러 군사로써 포위하고 불을 질러 밖으로 나오는 사람은 문득 죽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밤이 이경(二更)인데, 송현(松峴)을 지나다가 숙번이 말을 달려 고하였다.

"이것이 소동(小洞)이니 곧 남은 첩의 집입니다."

정안군이 말을 멈추고 먼저 보졸(步卒)과 소근(小斤) 등 10인으로 하여금 그 집을 포위하게 하니, 안장 갖춘 말 두서너 필이 그 문 밖에 있고, 노복(奴僕)은 모두 잠들었는데, 정도전남은 등은 등불을 밝히고 모여 앉아 웃으면서 이야기하고 있었다. 소근 등이 지게문을 엿보고 들어가지 않았는데, 갑자기 화살 세 개가 잇달아 지붕 기와에 떨어져서 소리가 났다. 소근 등이 도로 동구(洞口)로 나와서 화살이 어디서 왔는가를 물으니, 숙번이 말하였다.

"내가 쏜 화살이다."

소근 등으로 하여금 도로 들어가 그 집을 포위하고 그 이웃집 세 곳에 불을 지르게 하니, 정도전 등은 모두 도망하여 숨었으나, 심효생·이근(李懃)·장지화 등은 모두 살해를 당하였다. 도전이 도망하여 그 이웃의 전 판사(判事) 민부(閔富)의 집으로 들어가니, 민부가 아뢰었다.

"배가 불룩한 사람이 내 집에 들어왔습니다."

정안군은 그 사람이 도전인 줄을 알고 이에 소근 등 4인을 시켜 잡게 하였더니, 도전이 침실(寢室) 안에 숨어 있는지라, 소근 등이 그를 꾸짖어 밖으로 나오게 하니, 도전이 자그만한 칼을 가지고 걸음을 걷지 못하고 엉금엉금 기어서 나왔다. 소근 등이 꾸짖어 칼을 버리게 하니, 도전이 칼을 던지고 문 밖에 나와서 말하였다.

"청하건대 죽이지 마시오. 한마디 말하고 죽겠습니다."

소근 등이 끌어내어 정안군의 말 앞으로 가니, 도전이 말하였다.

"예전에 공(公)이 이미 나를 살렸으니 지금도 또한 살려 주소서."

예전이란 것은 임신년088) 을 가리킨 것이다. 정안군이 말하였다.

"네가 조선봉화백(奉化伯)이 되었는데도 도리어 부족(不足)하게 여기느냐? 어떻게 악한 짓을 한 것이 이 지경에 이를 수 있느냐?"

이에 그를 목 베게 하였다. 처음에 정안군의 부인이 자기 스스로 정안군이 서서 있는 곳까지 이르러 그와 화패(禍敗)를 같이하고자 하여 걸어서 나오니, 정안군의 휘하사(麾下士) 최광대(崔廣大) 등이 극력으로 간(諫)하여 이를 말리었으나, 종 김부개(金夫介)도전의 갓과 칼을 가지고 온 것을 보고 부인이 그제야 돌아왔다. 도전이 아들 4인이 있었는데, 정유(鄭游)정영(鄭泳)은 변고가 났다는 말을 듣고 급함을 구원하러 가다가 유병(遊兵)에게 살해되고, 정담(鄭湛)은 집에서 자기의 목을 찔러 죽었다. 처음에 담(湛)이 아버지에게 고하였다.

"오늘날의 일은 정안군에게 알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도전이 말하였다.

"내가 이미 고려(高麗)를 배반했는데 지금 또 이편을 배반하고 저편에 붙는다면, 사람들이 비록 말하지 않더라도 홀로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겠는가?"

이무(李茂)가 문밖으로 나오다가 빗나가는 화살을 맞고서 말하였다.

"나는 이무이다."

보졸(步卒)이 이무를 죽이려고 하니, 정안군이 말하였다.

"죽이지 말라."

이에 말을 그에게 주었다. 남은은 반인(伴人) 하경(河景)·최운(崔沄) 등을 거느리고 도망해 숨고, 이직(李稷)은 지붕에 올라가서 거짓으로 노복(奴僕)이 되어 불을 끄는 시늉을 하여 이내 도망해 빠져 나갈 수 있었다. 대궐 안에 있던 사람이 송현(松峴)에 불꽃이 하늘에 가득한 것을 바라보고 달려가서 임금에게 고하니, 궁중(宮中)의 호위하는 군사들이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면서 고함을 쳤다. 이천우(李天祐)는 자기 집에서 반인(伴人) 2명을 거느리고 대궐로 가는데, 마천목(馬天牧)이 이를 바라보고 안국방(安國坊) 동구(洞口)에까지 뒤쫓아 가서 말하였다.

"천우 영공(天祐令公)이 아닙니까?"

천우가 대답하지 않으므로, 천목(天牧)이 말하였다.

"영공(令公)께서 대답하지 않고 가신다면 화살이 두렵습니다."

천우가 말하였다.

"그대가 마 사직(馬司直)이 아닌가? 무슨 일로 나를 부르는가?"

천목이 대답하였다.

"정안군께서 여러 왕자들과 함께 이곳에 모여 있습니다."

천우가 달려서 정안군에게 나아가서는 또 말하였다.

"이번에 이 일을 일으키면서 어찌 일찍이 나에게 알리지 않았습니까?"

정안군박포(朴苞)민무질을 보내어 좌정승 조준을 불러 오게 하니, 조준이 망설이면서 점(占)치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거취(去就)를 점치게 하고는, 즉시 나오지 않으므로, 또 숙번으로 하여금 그를 재촉하고서, 정안군이 중로(中路)에까지 나와서 맞이하였다. 조준이 이미 우정승 김사형과 더불어 오는데 갑옷을 입은 반인(伴人)들이 많이 따라왔다. 가회방(嘉會坊) 동구(洞口)의 다리에 이르니, 보졸(步卒)이 무기(武器)로써 파수(把守)해 막으며 말하였다.

"다만 두 정승만 들어가십시오."

조준김사형 등이 말에서 내려 빠른 걸음으로 다리를 지나가매, 정안군이 말하였다.

"경 등은 어찌 이씨(李氏)의 사직(社稷)을 걱정하지 않는가?"

조준김사형 등이 몹씨 두려워하면서 말 앞에 꿇어앉았다. 이에 정안군이 말하였다.

"정도전남은 등이 어린 서자(庶子)를 세자로 꼭 세우려고 하여 나의 동모 형제(同母兄弟)들을 제거하고자 하므로, 내가 이로써 약자(弱者)가 선수(先手)를 쓴 것이다."

조준 등이 머리를 조아리면서 말하였다.

"저들의 하는 짓을 우리들이 일찍이 알지 못했습니다."

정안군이 말하였다.

"이같은 큰일은 마땅히 국가에 알려야만 될 것이나, 오늘날의 일은 형세가 급박하여 미처 알리지 못하였으니, 공(公) 등은 마땅히 빨리 합좌(合坐)089) 해야 될 것이오."

노석주(盧石柱)변중량(卞仲良)이 대궐 안에 있으면서 사람을 시켜 도승지 이문화(李文和)와 우승지 김육(金陸)을 그들의 집에 가서 불러 오게 하니, 문화(文和)가 달려와 나아가서 물었다.

"임금의 옥체(玉體)가 어떠하신가?"

석주(石柱)가 말하였다.

"임금의 병환이 위독하므로 오늘 밤 자시(子時)에 병을 피하여 서쪽 작은 양정(涼亭)으로 거처를 옮기고자 한다."

이에 여러 승지들이 모두 근정문(勤政門)으로 나아갔다. 도진무(都鎭撫) 박위(朴葳)근정문에 서서 높은 목소리로 불렀다.

"군사가 왔는가? 안 왔는가?"

문화가 물었다.

"이때에 임금이 거처를 피하여 옮기는가? 어찌 피리를 부는가?"

박위가 말하였다.

"어찌 임금이 거처를 피하여 옮긴다고 하겠는가? 봉화백(奉化伯)의성군(宜城君)의 모인 곳에 많은 군마(軍馬)가 포위하고 불을 지른 까닭으로 피리를 분 것뿐이다."

이보다 먼저 정안군숙번에게 이르기를,

"세력으로는 대적할 수 없으니, 정도전남은 등을 목 벤 후에 우리 형제 4, 5인이 삼군부(三軍府)의 문 앞에 말을 멈추고 나라 사람의 마음을 살펴보아서 인심이 따르지 않는다면 그만이겠지만, 한결같이 쭉 따른다면 우리들은 살게 될 것이다."

하였는데, 이때에 와서 정안군이 돌아와 삼군부(三軍府)의 문 앞에 이르러 말을 멈추니, 밤이 벌써 사경(四更)이나 되었는데, 평소에 주의(注意)하던 사람들이 서로 잇달아 와서 모였다. 찬성(贊成) 유만수(柳曼殊)가 아들 유원지(柳原之)를 거느리고 말 앞에 와서 배알(拜謁)하니, 정안군이 말하였다.

"무슨 이유로 왔는가?"

만수(曼殊)가 말하였다.

"듣건대, 임금께서 장차 신(臣)의 집으로 옮겨 거처하려 하신다더니 지금 옮겨 거처하지 않으셨으며, 또 변고가 있다는 말을 듣고 급히 와서 시위(侍衛)하고자 한 것입니다."

정안군은 말했다.

"갑옷을 입고 왔는가?"

만수가 말하였다.

"입지 않았습니다."

즉시 그에게 갑옷을 주고 말 뒤에 서게 하니, 천우가 아뢰었다.

"만수는 곧 정도전남은의 무리이니 죽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정안군이 말하였다.

"옳지 않다."

이에 회안군천우 등이 강요하여 말하였다.

"이같이 창졸한 즈음에는 여러 사람의 의견을 저지(沮止)시킬 수 없습니다."

정안군숙번을 돌아보면서 이르기를,

"형세가 그만두기가 어렵겠다."

하면서, 그 죄를 헤아리게 하니, 만수가 즉시 말에서 내려 정안군이 탄 말의 고삐를 잡고서 말하였다.

"내가 마땅히 자백(自白)하겠습니다."

정안군이 종자(從者)를 시켜 말고삐를 놓게 하였으나, 만수는 오히려 단단히 잡고 놓지 않으므로, 소근(小斤)이 작은 칼로써 턱 밑을 찌르니, 만수가 고개를 쳐들고 거꾸러지는지라, 이에 목을 베었다. 정안군원지(原之)에게 이르렀다.

"너는 죄가 없으니 집으로 돌아가라."

회안군이 뒤따라 가서 예빈시(禮賓寺) 문 앞에서 목을 베었다. 조준김사형 등이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로 들어가 앉았는데, 정안군은 생각하기를, 방석 등이 만약 시위(侍衛)하는 군사를 거느리고 궁문(宮門) 밖에 나와서 교전(交戰)한다면, 우리 군사가 적으므로 형세가 장차 물러갈 것인데, 만약 조금 물러가게 된다면 합좌(合坐)한 여러 정승(政丞)들이 마땅히 저편 군사의 뒤에 있게 될 것이므로, 혹시 저편을 따를까 여겨, 사람을 시켜 도당(都堂)에 말하였다.

"우리 형제가 노상(路上)에 있는데, 여러 정승들이 도당(都堂)에 들어가 앉았는 것은 옳지 못하니 마땅히 즉시 운종가(雲從街) 위에 옮겨야 될 것이다."

마침내 예조(禮曹)에 명령하여 백관(百官)들을 재촉해 모이게 하였다. 친군위 도진무(親軍衛都鎭撫) 조온(趙溫)도 또한 대궐 안에 숙직(宿直)하고 있었는데, 정안군이 사람을 시켜 조온박위(朴葳)를 부르니, 조온은 명령을 듣고 즉시 휘하(麾下)의 갑사(甲士)·패두(牌頭) 등을 거느리고 나와서 말 앞에서 배알(拜謁)하고, 박위는 한참 동안 응하지 않다가 마지 못하여 칼을 차고 나오니 정안군이 온화한 말로써 대접하였다. 박위는 군대의 세력이 약한 것을 보고 이에 고하였다.

"모든 처분(處分)은 날이 밝기를 기다리겠습니다."

그의 뜻은 날이 밝으면 군사의 약한 형세가 나타나서 여러 사람의 마음이 붙좇지 않을 것이라 여겼던 것이다. 정안군이 그를 도당(都堂)으로 가게 했는데, 회안군정안군에게 청하여 사람을 시켜 목 베게 하였다. 정안군조온에게 명하여 숙위(宿衛)하는 갑사(甲士)를 다 나오게 하니, 조온이 즉시 패두(牌頭) 등을 보내어 대궐에 들어가서 숙위하는 갑사를 다 나오게 하였다. 이에 근정전 이남의 갑사는 다 나와서 갑옷을 벗고 무기(武器)를 버리니, 명하여 각기 제 집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처음에 이무(李茂)가 군대의 세력이 약한 것을 보고는 거짓으로 정신이 흐리멍덩하다고 일컬으면서 사람을 시켜 부축하고서 정안군에게 아뢰었다.

"화살 맞은 곳이 매우 아프니 도당(都堂)의 아방(兒房)090) 에 나아가서 휴식하기를 청합니다."

정안군은 말하였다.

"좋다."

조금 후에 이무박위가 참형(斬刑)을 당했다는 말을 듣고는 즉시 도로 나왔다. 이튿날 닭이 울 적에 임금이 노석주를 불러 대궐로 들어오게 하고, 이른 새벽에 또 이문화를 부르니, 문화가 서쪽 양정(涼亭)으로 나아갔는데, 세자와 방번·제(濟)·화(和)·양우(良祐)·종(淙)추상(樞相)091)장사길(張思吉)·장담(張湛)·정신의(鄭臣義) 등이 모두 벌써 대궐에 들어와 있었다. 여러 군(君)과 추상(樞相), 대소내관(大小內官)들과 아래로 내노(內奴)에 이르기까지 모두 갑옷을 입고 칼을 가졌는데, 다만 조순(曹恂)김육(金陸)·노석주·변중량만은 갑옷을 입지 않았다. 석주문화에게 교지(敎旨)를 전하여,

"교서(敎書)를 지으라."

하니, 문화가 사양하기를 청하므로, 석주가 말하였다.

"한산군(韓山君)092) 이 지은 주삼원수교서(誅三元帥敎書)093) 의 뜻을 모방하여 지으면 된다."

문화가 말하였다.

"그대가 이를 아는가?"

석주가 말하였다.

"적을 부순 공로는 한 때에 혹 있을 수 있지마는, 임금을 무시한 마음은 만세(萬世)에 용서할 수 없다는 것이 그 문사(文詞)이다."

문화가 말하였다.

"지금의 죄인의 괴수(魁首)는 누구인가?"

석주가 말하기를,

"죄인의 괴수는 다시 임금에게 품신(稟申)하겠으니 먼저 글의 초안(草案)부터 잡으라."

하면서, 독촉하기를 급하게 하였다. 문화가 붓을 잡고 쓰면서 말하였다.

"그대도 글을 지을 줄 아니, 친히 품신(稟申)하려는 뜻으로써 지으면 내가 마땅히 이를 쓰겠다."

이에 석주가 글을 지었다.

"아무아무[某某] 등이 몰래 반역(反逆)을 도모하여 개국 원훈(開國元勳)을 해치고자 했는데, 아무아무 등이 그 계획을 누설시켜서 잡히어 모두 죽음을 당했지만, 그 협박에 따라 반역한 무리들은 모두 용서하고 문죄(問罪)하지 않는다."

초안이 작성되자 석주가 초안을 가지고 들어가서 아뢰니, 임금이 말하였다.

"잠정적으로 두 정승이 오기를 기다려 의논하여 이를 반포(頒布)하라."

조금 후에 도당(都堂)에서 백관(百官)들을 거느리고 임금에게 아뢰었다.

"정도전·남은·심효생 등이 도당(徒黨)을 결합(結合)하고 비밀히 모의하여 우리의 종친 원훈(宗親元勳)을 해치고 우리 국가를 어지럽게 하고자 했으므로, 신 등은 일이 급박하여 미처 아뢰지 못하였으나 이미 주륙(誅戮) 제거되었으니, 원컨대 성상께서는 놀라지 마옵소서."

이제(李濟)가 그때 임금의 곁에 있다가 임금에게 아뢰었다.

"여러 왕자들이 군사를 일으켜 함께 남은 등을 목 베었으니, 화(禍)가 장차 신에게 미칠 것입니다. 청하옵건대, 시위하는 군사를 거느리고 나가서 공격하겠습니다."

임금이 말하였다.

"걱정하지 말아라. 화(禍)가 어찌 너에게 미치겠는가?"

화(和)도 또한 말리며 말하였다.

"내부에서 일어난 일이니 서로 싸울 필요가 없다."

이에 이제가 칼을 빼어 노려보기를 두세 번 하였으나, 화(和)는 편안히 앉아서 움직이지 아니하였다. 이때 영안군(永安君)이 임금을 위하여 병을 빌어 소격전(昭格殿)에서 재계(齋戒)를 드리고 있었는데, 변고가 났다는 말을 듣고는 몰래 종 하나를 거느리고 줄에 매달려 성을 나와 걸어서 풍양(豐壤)에 이르러 김인귀(金仁貴)의 집에 숨어 있었다. 정안군이 사람을 시켜 그를 찾아서 맞이하여 궁성(宮城) 남문 밖에 이르니, 해가 장차 기울어질 때였다. 이때 사람들이 모두 임금에게 청하여 정안군을 세자로 삼고자 하였으나, 정안군이 굳이 사양하면서 영안군을 세자로 삼기를 청하니, 영안군이 말하였다.

"당초부터 의리를 수립(樹立)하여 나라를 세워서 오늘날의 일까지 이르게 된 것은 모두 이것이 정안군의 공로이니, 내가 세자가 될 수 없다."

이에 정안군이 사양하기를 더욱 굳게 하면서 말하였다.

"나라의 근본을 정하고자 한다면 마땅히 적장자(嫡長子)에게 있어야 할 것입니다."

영안군이 말하였다.

"그렇다면 내가 마땅히 처리함이 있겠다."

이에 정안군이 도당(都堂)으로 하여금 백관(百官)들을 거느리고 소(疏)를 올리었다.

"적자(嫡子)를 세자로 세우면서 장자(長子)로 하는 것은 만세(萬世)의 상도(常道)인데, 전하(殿下)께서 장자를 버리고 유자(幼子)를 세웠으며, 도전 등이 세자(世子)를 감싸고서 여러 왕자들을 해치고자 하여 화(禍)가 불측한 처지에 있었으나, 다행히 천지와 종사(宗社)의 신령에 힘입게 되어 난신(亂臣)이 형벌에 복종하고 참형(斬刑)을 당하였으니, 원컨대 전하께서는 적장자(嫡長子)인 영안군(永安君)을 세워 세자로 삼게 하소서."

소(疏)가 올라가매, 문화가 이를 읽기를 마치었는데, 세자도 또한 임금의 곁에 있었다. 임금이 한참 만에 말하였다.

"모두 내 아들이니 어찌 옳지 않음이 있겠는가?"

방석을 돌아보고 이르기를,

"너에게는 편리하게 되었다."

하고는, 즉시 윤허를 내리었다. 대궐 안에 있던 정승들이 무슨 일인가를 물으니, 문화가 대답하였다.

"세자를 바꾸는 일입니다."

석주(石柱)가 교초(敎草)를 봉하여 문화로 하여금 서명(署名)하게 하니, 문화가 받지 않으므로, 다음에 화(和)에게 청하였으나 또한 받지 않으므로, 다음에 자리에 있던 여러 정승들에게 청하여도 모두 받지 아니하였다. 이에 문화가 말하였다.

"그대가 지은 글을 어찌 자기가 서명(署名)하지 않는가?"

석주는,

"좋다."

하면서, 이에 서명하고 이를 소매 속에 넣었다. 조금 후에 석주가 대궐에 들어가 명령을 받아 나오면서 말하였다.

"교서(敎書)를 고쳐 써서 빨리 내리라."

문화가 말하였다.

"어떻게 이를 고치겠는가?"

석주가 말하였다.

"개국 공신(開國功臣) 정도전남은 등이 몰래 반역(反逆)을 도모하여 왕자와 종실(宗室)들을 해치려고 꾀하다가, 지금 이미 그 계획이 누설되어, 공이 죄를 가리울 수가 없으므로, 이미 모두 살육(殺戮)되었으니, 그 협박에 따라 행동한 당여(黨與)는 죄를 다스리지 말 것입니다."

변중량(卞仲良)으로 하여금 이를 써서 올리니, 임금이 시녀(侍女)로 하여금 부축해 일어나서 압서(押署)하기를 마치자, 돌아와 누웠는데, 병이 심하여 토하고자 하였으나 토하지 못하며 말하였다.

"어떤 물건이 목구멍 사이에 있는 듯하면서 내려가지 않는다."

정안군이 군기 직장(軍器直長) 김겸(金謙)을 시켜 무기고(武器庫)를 열고 갑옷과 창을 내어 화통군(火㷁軍) 1백여 명에게 주니, 군대의 형세가 조금 떨치었다. 갑사(甲士) 신용봉(申龍鳳)이 대궐에 들어가서 정안군의 말을 전하였다.

"흥안군(興安君)무안군(撫安君)은 각기 사제(私第)로 돌아갔는데, 의안군(義安君) 이하의 왕자는 어찌 나오지 않는가?"

여러 왕자들이 서로 눈짓하면서 말하지 아니하므로, 다시 독촉하니, 화(和) 이하의 왕자들이 모두 나오다가, 종(淙)은 궁성(宮城)의 수문(水門)을 거쳐 도망해 나가고, 정신의(鄭臣義)만이 오래 머무르므로 이를 재촉하니, 그제야 나왔다. 도당(都堂)에서 방석을 내보내기를 청하니, 임금이 말하였다.

"이미 주안(奏案)을 윤가(允可)했으니, 나가더라도 무엇이 해롭겠는가?"

방석이 울면서 하직하니, 현빈(賢嬪)이 옷자락을 당기면서 통곡하므로, 방석이 옷을 떨치고서 나왔다. 처음에 방석을 먼 지방에 안치(安置)하기로 의논했는데, 방석이 궁성(宮城)의 서문을 나가니, 이거이(李居易)·이백경(李伯卿)·조박(趙璞) 등이 도당(都堂)에 의논하여 사람을 시켜 도중(道中)에서 죽이게 하였다. 도당(都堂)에서 또 방번을 내보내기를 청하니, 임금이 방번에게 일렀다.

"세자는 끝났지마는 너는 먼 지방에 안치(安置)하는 데 불과할 뿐이다."

방번이 장차 궁성(宮城)의 남문을 나가려 하는데, 정안군이 말에서 내려 문안에 들어와 손을 이끌면서 말하였다.

"남은 등이 이미 우리 무리를 제거하게 된다면 너도 또한 마침내 면할 수가 없는 까닭으로, 내가 너를 부른 것인데, 너는 어찌 따르지 않았는가? 지금 비록 외방에 나가더라도 얼마 안 되어 반드시 돌아올 것이니, 잘 가거라. 잘 가거라."

장차 통진(通津)에 안치(安置)하려고 하여 양화도(楊花渡)를 건너 도승관(渡丞館)에서 유숙하고 있는데, 방간(芳幹)이백경(李伯卿) 등과 더불어 또 도당(都堂)에 의논하여 사람을 시켜 방번을 죽이게 하였다. 정안군방석방번이 죽었단 말을 듣고 비밀히 이숙번에게 일렀다.

"유만수(柳曼殊)도 내가 오히려 그 생명을 보전하고자 했는데, 하물며 형제겠는가? 이거이(李居易) 부자(父子)가 나에게는 알리지도 않고서 도당(都堂)에게만 의논하여 나의 동기(同氣)를 살해했는데, 지금 인심이 안정되지 않은 까닭으로 내가 속으로 견디어 참으면서 감히 성낸 기색을 보이지 못하니, 그대는 이 말을 입 밖에 내지 말라."

군사들이 변중량·노석주남지(南贄) 등을 잡아 가지고 나오니, 변중량정안군을 우러러보면서 말하였다.

"내가 공(公)에게 뜻을 기울이고 있은 지가 지금 벌써 두서너 해 되었습니다."

정안군이 말하였다.

"저 입도 또한 고기덩이다."

남지남은의 아우로서 이때 우상 절도사(右廂節度使)가 되었는데, 모두 순군옥(巡軍獄)에 가두었다가 뒤에 길에서 목을 베었다. 이제(李濟)가 나오니, 정안군이제에게 일렀다.

"본가(本家)로 돌아가라."

임금께서 마침내 영안군(永安君)을 책명(策命)하여 세자로 삼고 교지(敎旨)를 내리었다.

"적자(嫡子)를 세우되 장자(長子)로 하는 것은 만세(萬世)의 상도(常道)이며, 종자(宗子)는 성(城)과 같으니 과인(寡人)의 기대(期待)이다. 다만 그대의 아버지인 내가 일찍이 나라를 세우고 난 후에 장자(長子)를 버리고 유자(幼子)를 세워 이에 방석(芳碩)으로써 세자로 삼았으니, 이 일은 다만 내가 사랑에 빠져 의리에 밝지 못한 허물일 뿐만 아니라, 정도전·남은 등도 그 책임을 사피(辭避)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때에 만약 초(楚)나라에서 작은 아들을 사랑했던 경계로써094) 상도(常道)에 의거하여 조정에서 간(諫)했더라면, 내 감히 따르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정도전 같은 무리는 다만 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세자로 세우지 못할까를 두려워하였다. 요전에 정도전·남은·심효생·장지화 등이 몰래 반역을 도모하여 국가의 근본을 요란시켰는데, 다행히 천지와 종사(宗社)의 도움에 힘입어 죄인이 형벌에 복종하여 참형(斬刑)을 당하고 왕실(王室)이 다시 편안하게 되었다. 방석(芳碩)은 화(禍)의 근본이니 국도(國都)에 남겨 둘 수가 없으므로 동쪽 변방으로 내쫓게 하였다. 내가 이미 전일의 과실을 뉘우치고, 또 백관(百官)들의 청으로 인하여 이에 너를 세워 왕세자로 삼으니, 그 덕을 능히 밝혀서 너를 낳은 분에게 욕되게 함이 없도록 하고, 그 마음을 다하여 우리의 사직(社稷)을 진무(鎭撫)하라."

이에 문화김육(金陸)에게 명하여 나가서 세자를 알현(謁見)하게 하니, 세자가 문화를 불러 말하였다.

"대궐 안에 시위(侍衛)할 만한 사람이 없으니, 그대가 빨리 대궐 안으로 도로 들어 가라."

문화가 즉시 도로 들어가니, 조순(曺恂)이 세자의 명령을 전달하였다.

"시녀(侍女)와 내노(內奴)를 제외한 나머지 사람은 모두 밖으로 나가게 하라."

문화가 또 나오니, 세자가 말하였다.

"그대는 어찌 나오는가?"

문화가 그 사유를 상세히 아뢰므로, 세자가 말하였다.

"그대를 이르는 것이 아니니 마땅히 빨리 도로 들어가 시위(侍衛)하라."

또 상장군 이부(李敷)로 하여금 대궐 안에 들어가 시위(侍衛)하게 하니, 임금이 조순에게 명하여 세자에게 갓과 안장 갖춘 말을 내려 주었다. 세자가 대궐 안으로 들어 갔다. 이제(李濟)가 사제(私第)에 돌아가니, 옹주(翁主)가 이제에게 일렀다.

"내가 공(公)과 함께 정안군의 사저(私邸)에 간다면 반드시 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듣지 않더니, 저녁때에 군사들이 뒤따라 와서 그를 죽이었다. 정안군이 이 소식을 듣고 그제야 놀라서, 즉시 진무(鎭撫) 전흥(田興)을 불러서 말하였다.

"흥안군(興安君)이 죽었으니 노비가 반드시 장차 도망해 흩어질 것이다. 그대가 군사 10여 명을 거느리고 흥안군 집에 이르러 시체를 거두게 하고, 노비들에게 신칙하기를, ‘만약 도망하는 사람이 있으면 후일에 반드시 중한 죄를 줄 것이다.’ 하라."

전흥이 그 집에 이르러 시비(侍婢)를 시켜 들어가 고하기를,

"놀라지 마시오! 나는 정안군의 진무(鎭撫)입니다."

하고는, 이에 시체를 염습(斂襲)하는 모든 일을 한결같이 정안군의 명령대로 하니, 옹주(翁主)가 감격하여 울었다. 남은은 도망하여 성(城)의 수문(水門)을 나가서 성밖의 포막(圃幕)에 숨으니, 최운(崔沄)·하경(河景) 등이 잠시도 그 곁을 떠나지 아니하였다. 남은이 순군옥(巡軍獄)에 나아가고자 하니, 최운 등이 이를 말리므로, 남은이 말하였다.

"정도전은 남에게 미움을 받았던 까닭으로 참형(斬刑)을 당하였지마는, 나는 미워하는 사람이 없다."

이에 스스로 순군문(巡軍門)밖에 이르렀다가 참형(斬刑)을 당하였다. 전하095) 께서 왕위에 오르매, 하경최운은 섬기는 주인에 충성했다는 이유로써 모두 발탁 임용하게 되었다. 정안군이 여러 왕자들과 함께 감순청(監巡廳) 앞에 장막을 치고 3일 동안을 모여서 숙직하고, 그 후에는 삼군부(三軍府)에 들어가 숙직하다가, 세자가 내선(內禪)096) 을 받은 후에 각기 사제(私第)로 돌아갔다.


  • 【태백산사고본】 3책 14권 19장 B면【국편영인본】 1책 130면
  • 【분류】
    변란-정변(政變) / 왕실(王室)

  • [註 087]
    둑소(纛所) : 원수(元帥)의 대기(大旗)가 있는 곳.
  • [註 088]
    임신년 : 태조 즉위년.
  • [註 089]
    합좌(合坐) : 몇 사람의 당상관(堂上官)이 모여 대사를 의논함.
  • [註 090]
    아방(兒房) : 장신(將臣)이 머물러 자는 곳.
  • [註 091]
    추상(樞相) : 중추원의 상신(相臣).
  • [註 092]
    한산군(韓山君) : 이색(李穡).
  • [註 093]
    주삼원수교서(誅三元帥敎書) : 고려 공민왕 때의 명장(名將) 안우(安祐)·이방실(李芳實)·김득배(金得培) 등 세 사람의 원수(元帥)를 목 벤 교서(敎書).
  • [註 094]
    초(楚)나라에서 작은 아들을 사랑했던 경계로써 : 춘추 시대(春秋時代) 초(楚)나라 평왕(平王)이 신하의 참소를 듣고 태자 건(建)을 폐하고 작은 아들 진(珍)을 사랑하여 나라가 어지러웠던 고사(故事).
  • [註 095]
    전하 : 태종(太宗).
  • [註 096]
    내선(內禪) : 임금이 왕세자에게 양위(讓位)는 하였으나 아직 즉위(卽位)의 예(禮)를 올리지 않은 것을 말함.

○己巳/奉化伯 鄭道傳宜城君 南誾富城君 沈孝生等, 謀害諸王子, 不克伏誅。 初, 上以靖安君開國之功, 諸子無與爲比, 特賜世傳東北面加別赤五百餘戶。 其後, 以諸王子及功臣, 爲各道節制使, 分管侍衛兵馬, 靖安君 全羅道, 撫安君 芳蕃東北面。 於是, 靖安君以加別赤讓芳蕃, 芳蕃受而不辭。 上知之, 亦不責還也。 道傳等謀欲擅權, 貪立幼孼, 謂孝生孤寒易制, 譽其女有婦德, 請爲世子芳碩嬪。 與世子母兄芳蕃、姊夫興安君 李濟等同謀, 多樹黨與, 將欲去諸王子。 暗嗾宦者金師幸密啓, 請依朝諸皇子封王之例, 分遣諸王子於各道, 上不答。 其後, 上諷諭靖安君曰: "外間之議, 汝輩不可不知, 宜諭諸兄戒愼之。" 道傳等又嗾散騎卞仲良, 上疏請罷諸王子兵權至再三, 上不允。 卜者安植曰: "世子異母兄, 有天命者非一。" 道傳聞之曰: "卽當除之, 何患乎?" 義安君 知其謀, 密告靖安君。 至是, 宦者曹恂傳旨曰: "予病深, 不欲接人, 惟世子外毋得入見。" 師幸皆其黨也。 道傳孝生、判中樞李懃、前參贊李茂興城君 張至和星山君 李稷等, 托以省問上疾, 日夜聚松峴 妾家, 相與密謀。 令芳碩及親軍衛都鎭撫朴葳、左副承旨盧石柱、右副承旨卞仲良, 在內稱上病篤急, 召諸王子入, 則以內奴及甲士攻之, 道傳等外應, 約以己巳擧事。 先是, 靖安君密謂知安山郡事李叔蕃曰: "姦黨在平時, 固無疑矣, 伺上違豫, 必生變。 予若召汝, 則宜速來。" 至是, 閔無咎靖安君命, 召之而至。 時上病劇, 靖安君益安君 芳毅懷安君 芳幹淸原君 沈悰上黨君 李伯卿義安君 李濟等, 皆會宿勤政門外西廊。 至是日晡時, 閔無疾靖安君邸, 入與夫人偶語良久, 夫人急召奴小斤曰: "汝速詣闕, 請公來。" 小斤曰: "諸君皆會一廳, 奴將何辭以告?" 夫人曰: "汝以我胸腹卒痛奔告, 則公當速來矣。" 小斤牽馬詣西廊, 具告之, 義安君贈以淸心蘇合等藥曰: "宜速往治之。" 靖安君卽還邸。 俄而無疾復來, 與君及夫人鼎立, 密語良久。 夫人執君之衣, 請勿詣闕, 君曰: "豈可畏死不詣? 且諸兄皆在禁中, 不可不使知之。 若有變, 則我當出來擧兵, 以觀國人之心也。" 乃拂衣而出。 夫人追及戶外曰: "愼之愼之。" 日已昏矣。 時命罷諸王子所領侍衛牌, 已十餘日矣, 唯芳蕃摠兵如舊。 靖安君初罷兵, 盡燒營中軍器。 至是, 夫人潛備兵仗爲應變計。 李茂素有中立之計, 密以等謀, 嘗告靖安。 至是, 隨無疾來謁, 少頃先去。 , 無疾之近姻也。 竹城君 朴苞亦往來其間, 暗伺彼之動靜。 於是, 靖安君無咎, 使叔蕃備兵甲宿于本邸門前辛克禮家待變, 乃詣闕入西廊直宿。 諸君皆不留馬, 獨靖安君使小斤秣馬西廊後。 芳蕃將入內, 靖安君呼之, 芳蕃搔首逡巡, 不應而入。 至初夜, 有人自內出曰: "上疾劇欲避病, 諸王子速入內。 從者竝勿許入。" 〔淙〕 先出立庭, 靖安君益安懷安上黨諸君暫立戶內密語。 舊制, 宮中諸門, 夜必張燈, 至是, 見宮門無燈, 益疑之。 〔悰〕 先入內, 靖安君稱腹痛, 出西廊門外入廁, 坐思良久。 益安懷安等走出, 呼靖安君者再, 君曰: "諸兄是何高聲呼耶?" 乃立, 以兩袖拍之曰: "勢不得已也。" 卽馳馬出宮城西門, 益安懷安上黨皆步走。 唯上黨能及靖安君馬, 益安懷安或仆躓。 靖安君使馬天牧, 召芳蕃曰: "請出來從我。 厥終, 彼亦不全汝矣。" 芳蕃臥內廊房, 見天牧起坐, 聞訖還臥。 芳蕃傔從, 皆無賴之徒, 唯事射御, 且妄欲謀移儲位久矣。 一日, 謂芳蕃曰: "吾等已緣中宮, 使公得代芳碩位, 敎命將至矣。 請毋出以待。" 芳蕃信而不出外, 人哂之。 靖安知其不相容故召之, 不從。 靖安君到本邸洞口軍營前路駐馬, 呼叔蕃, 叔蕃率壯士二人, 甲而出, 益安上黨懷安父子, 亦得騎馬。 有李居易趙英茂辛克禮徐益文彬沈龜齡等, 皆歸心靖安者也。 至是, 與無咎無疾皆會, 騎兵纔十, 步卒纔九人。 乃出夫人所備鐵槍, 中折分與軍士, 諸君從者及各人奴僕十餘, 皆執杖, 獨小斤把劍。 君馳至纛所北路, 呼叔蕃曰: "今日之事, 若之何?" 叔蕃對曰: "事已至此, 不須懼也。 請出軍號。" 【方言言的。】 君命以山城二字。 行及三軍府門前, 以待天命。 芳碩等聞變, 欲率兵出戰, 令軍士禮賓少卿奉元良, 登宮南門, 覘軍衆寡, 自光化門南山, 鐵騎彌滿。 芳碩等懼不敢出, 時人以爲神助。 君又呼叔蕃曰: "如何則可?" 叔蕃對曰: "到姦黨會所, 以兵圍而火之, 出者輒殺可矣。" 夜二鼓, 將過松峴, 叔蕃奔馬告曰: "此小洞, 卽妾家也。" 靖安君駐馬, 先使步卒小斤等十餘人, 圍其家, 有鞍馬數匹, 在其門外, 奴僕皆睡, 道傳等, 張燈會坐言笑。 小斤等窺戶未入, 忽有三矢, 相繼落屋瓦, 有聲。 小斤等還出洞口, 問矢之所從來, 叔蕃曰: "我矢也。" 令小斤等還入圍之, 火其隣家三處, 道傳等皆逃匿, 孝生至和等皆見殺。 道傳逃入其隣前判事閔富家, 告曰: "有皤腹者入吾家。" 君知其爲道傳, 乃令小斤等四人捕之。 道傳伏閨中, 小斤等叱之出外, 道傳持尺劍, 不能行步, 匍匐而出。 小斤等叱令棄劍, 道傳投劍出門曰: "請勿殺? 願一言而死。" 小斤等曳出至靖安君馬前。 道傳曰: "昔者公旣活我, 願今亦活之。" 昔者, 指壬申歲也。 君曰: "汝爲朝鮮 奉化伯, 顧不足耶? 何爲惡至是也!" 令斬之。 初夫人欲自至君所立處, 同其禍敗, 徒步而出, 君麾下士崔廣大等, 力諫止之間, 奴金夫介, 以道傳笠劍來, 夫人乃還。 道傳有子四人。 聞變赴急, 爲游兵所殺, 自刎於家。 初, 告於父曰: "今日之事, 不可不告於靖安君也。" 道傳曰: "我旣背高麗, 今又背此附彼, 人雖不言, 獨無愧於心乎?" 李茂出門, 中流矢, 乃曰: "我李茂也。" 步卒將殺之, 靖安君曰: "勿殺。" 乃與之馬。 率伴人河景崔沄等逃竄, 乘屋詐爲奴僕, 作滅火狀, 仍得逃免。 闕內人望見松峴火焰漲天, 奔告于上, 宮中衛士鼓角而噪。 李天祐自其家, 率伴二人, 將赴闕, 馬天牧望之, 追及於安國坊洞口曰: "非天祐令公乎?" 天祐不答。 天牧曰: "令公不答而去, 則矢可畏也。" 天祐曰: "汝非司直乎? 何呼我耶?" 天牧答曰: "靖安君與諸王子, 會于此矣。" 天祐趨詣靖安君, 且曰: "今擧此事, 何不早使我知之?" 靖安君朴苞閔無疾, 召左政丞趙浚, 猶豫, 使卜者筮其去就而不卽赴, 又使叔蕃促之。 靖安君迎至中路, 已與右政丞金士衡來, 帶甲伴人多從之。 到嘉會坊洞口橋, 步卒以兵把截曰: "唯兩政丞入。" 士衡等下馬, 趨而過橋, 靖安君曰: "卿等何不憂李氏社稷?" 士衡等, 驚懼跪于馬前。 君曰: "道傳等, 貪立幼孼, 欲剪除我同母兄弟。 我是以爲弱者先手也。" 等叩頭曰: "彼之所爲, 吾輩未嘗知也。" 君曰: "如此大事, 宜告國家, 今日之事勢, 迫不暇告耳。 公等宜速合坐。" 石柱仲良在闕內使人呼都承旨李文和、右承旨金陸于家。 文和奔詣問曰: "上體若何?" 石柱曰: "上疾篤, 今夜子時, 欲避病于西小涼亭。" 於是, 諸承旨俱詣勤政門。 都鎭撫朴葳, 立於勤政門, 高聲呼曰: "軍士來否?" 文和問曰: "此時避御乎? 何吹角耶?" 曰: "何謂避御? 奉化伯宜城君會處, 有數多軍馬, 圍而火之, 故吹角耳。" 先是, 靖安君叔蕃曰: "勢力則不可敵矣。 斬道傳等, 然後我四五兄弟, 駐馬于三軍府門前, 以觀國人之心。 人心不從則已, 翕然從之, 則我輩得生。" 至是, 靖安君還到三軍府門前駐馬, 夜已四鼓, 素所注意者, 相繼來集矣。 贊成柳曼殊率子原之, 謁馬前, 靖安君曰: "何故來耶?" 曼殊曰: "聞上將移御臣家, 今不移御。 且聞有變, 故急來, 欲侍衛耳。" 曰: "甲而來乎?" 曼殊曰: "否。" 卽與之甲, 令立馬後。 天祐告曰: "曼殊道傳之黨, 不可不殺。" 靖安君曰: "不可。" 懷安天祐等强之曰: "如此倉卒之際, 衆議不可沮也。" 靖安君顧謂叔蕃曰: "勢難得已", 命數其罪。 曼殊卽下馬, 執靖安君馬轡曰: "我當白之矣白之矣。" 靖安君令從者解之, 曼殊猶堅執不解, 小斤以小刀刺頷下, 曼殊仰倒, 乃斬之。 靖安君原之曰: "汝無罪, 可歸家矣。" 懷安追斬于禮賓門前。 士衡等, 入坐都評議司。 靖安君意謂: "芳碩等若率衛士, 出宮門交戰, 則我軍少, 勢將却矣。 若稍却, 則合坐諸相, 當在彼軍之後, 而或從彼矣。" 使人言於都堂曰: "我兄弟在路上, 而諸相入坐都堂, 不可。 宜卽移坐于雲從街上。" 遂令禮曹, 促會百官。 親軍衛都鎭撫趙溫, 亦直宿闕內, 靖安君使人召朴葳聞命, 卽以麾下甲士牌頭等, 出謁馬前, 不應良久, 不得已佩劍而出, 靖安君溫言以待。 見軍勢弱, 乃告曰: "凡諸處分, 乞待天明。" 其志以謂天明, 則兵弱之形著, 而衆心不附矣。 靖安君使赴都堂, 懷安請于君, 使人斬之。 靖安君, 盡出宿衛甲士, 卽遣牌頭等入闕, 盡以宿衛甲士出。 於是, 勤政殿以南甲士盡出, 脫甲棄兵, 命各自歸家。 初李茂見兵勢弱, 詐稱恍惚, 使人扶持, 白於靖安君曰: "中箭處痛甚, 請就都堂兒房休息。" 君曰: "可。" 小頃, 朴葳見誅, 卽還出。 翌日雞鳴, 上召石柱入內, 黎明, 又召文和, 文和詣西涼亭。 世子與芳蕃良祐、樞相張思吉張湛鄭臣義等, 皆已入內。 自諸君樞相大小內官下至內奴, 皆被甲帶劍, 唯曹恂金陸石柱仲良不甲。 石柱傳旨文和曰: "製敎書。" 文和請辭。 石柱曰: "倣韓山君所製誅三元帥敎書之意, 製之可也。" 文和曰: "君知之乎?" 石柱曰: "破賊之功, 一時之或有, 無君之心, 萬世之不宥, 是其詞也。" 文和曰: "今之罪魁, 誰歟?" 石柱曰: "罪魁則更稟于上, 可先起草。" 督之急。 文和執筆曰: "君亦解屬文, 以親稟之意製之, 我當書之。" 石柱製曰: "某某等潛圖不軌, 欲害開國元勳某某等, 以漏洩被捉, 皆令就戮, 其刼從黨與, 皆宥不問。" 草成, 石柱齎草入啓, 上曰: "姑待兩政丞來, 擬議頒之。" 已而, 都堂率百官聞于上曰: "道傳孝生等結黨陰謀, 欲害我親勳, 以亂我國家。 臣等事迫, 不及以聞, 已得誅除, 願上勿驚。" 李濟方在側, 復于上曰: "諸王子起兵, 共誅等, 禍將及。 臣請以衛士出攻。" 上曰: "勿憂。 禍豈及汝?" 亦止之曰: "自中事也, 不必相戰。" 拔劍睥睨者數矣, 安然不動。 時永安君爲上禱病, 致齋于昭格殿, 聞變潛率一奴, 縋城而出, 步至豐壤, 隱於金仁貴家。 靖安君使人尋之, 迎到宮城南門外, 日將昃矣。 時人皆欲請於上, 以靖安君爲世子, 靖安君固讓, 請以永安君爲世子。 永安君曰: "當初建開國, 至於今日之事, 皆是靖安之功, 我不可爲世子。" 靖安君讓益固曰: "欲定國本, 當在嫡長。" 永安君曰: "然則我當有以處之。" 於是, 靖安君令都堂, 率百官上疏曰: "立嫡以長, 萬世之經。 殿下捨長立幼, 道傳等挾世子, 欲害諸王子, 禍在不測, 幸賴天地宗社之靈, 亂臣伏誅。 願殿下立嫡長永安君爲世子。" 疏上, 文和讀訖, 世子亦在側。 上良久曰: "皆吾子也, 何不可之有!" 顧謂芳碩曰: "於汝便矣。" 上卽允下。 在內諸相問何事, 文和答曰: "易世子也。" 石柱封敎草, 使文和署名, 文和不受, 次請, 亦不受, 次請坐中諸相, 皆不受。 文和曰: "君之所製書, 何不自署乎?" 石柱曰: "諾。" 乃署名袖之。 旣而, 石柱入內承命出曰: "敎書改寫速下。" 文和曰: "何以改之?" 石柱曰: "開國功臣道傳南誾等, 潛圖不軌, 謀害王子宗室, 今已漏洩, 功不掩罪, 已皆就戮, 其刼從黨與罔治。" 使仲良書以進。 上令侍女扶起押訖, 還臥病劇, 欲吐未吐曰: "如有物在咽(侯)〔喉〕 間不下。" 靖安君令軍器直長金謙, 開武庫出甲槍, 授火㷁軍百餘人, 軍勢稍振。 甲士申龍鳳入闕, 傳靖安君言曰: "興安君撫安君, 各歸私第。 義安君以下, 何不出來?" 諸君相目不言。 更督之, 以下皆出。 由宮城水門逃出, 獨鄭臣義遲留, 促之乃出。 都堂請出芳碩, 上曰: "旣已判付, 出去何害!" 芳碩泣辭, 賢嬪牽衣而哭, 芳碩拂衣而出。 初議置遠方, 出宮城西門。 李居易李伯卿趙璞等, 議于都堂, 使人殺于道。 都堂又請出芳蕃, 上謂芳蕃曰: "世子則已矣, 汝不過置遠方耳。" 芳蕃將出宮城南門, 靖安君下馬入門內, 携手語曰: "等旣剪除我輩, 則汝亦終不免, 故我招之。 汝何不從耶? 今雖出外, 未幾必還矣。 好去好去。" 將置通津, 過楊花渡, 宿渡丞館。 芳幹李伯卿等, 又議於都堂, 使人殺之。 靖安君芳碩芳蕃之死, 密謂叔蕃曰: "柳曼殊, 予尙欲保全, 況骨肉乎? 居易父子, 不告於我, 議於都堂, 戕害我同氣。 今人心未定, 故我隱忍不敢示怒也。 汝毋出此言。" 軍士執仲良石柱南贄等以出。 仲良仰視靖安君曰: "我注意於公, 今已數年矣。" 君曰: "彼口亦肉也。" , 之弟, 時爲右廂節制使。 竝囚于巡軍, 而追斬于路。 李濟出, 靖安君曰: "可歸本家。"

上遂策永安君爲世子, 敎曰:

立嫡以長, 萬世之經; 宗子維城, 寡人之望。 惟爾父身嘗開國, 捨長立幼, 乃以芳碩爲世子, 不獨予昵愛不明之過, 道傳等, 亦不得辭其責矣。 當其時, 若以楚國愛少之誡, 據經廷諍, 予敢不從? 如道傳輩, 不惟不諍, 猶恐其不立。 日者, 道傳孝生至和等, 潛圖不軌, 搖亂根本, 幸賴天地宗社之佑, 罪人伏誅, 王室再安。 芳碩禍胎, 不可留置國都, 放諸東裔。 予旣悔前日之過, 又因百僚之請, 庸建爾爲王世子。 於戲? 克明其德, 無忝爾所生; 往盡乃心, 鎭撫我社稷。

乃命文和金陸, 出謁世子。 世子召文和曰: "內無可侍衛者, 爾速還入內。" 文和卽還入。 曺恂宣世子命曰: "除侍女及內奴外, 餘皆出之。" 文和亦出, 世子曰: "爾何出來?" 文和具告其由, 世子曰: "非謂汝也, 宜速還入侍。" 又令上將軍李敷, 入內侍衛。 上命曹恂, 賜世子笠子鞍馬, 世子入內。 歸私第, 翁主謂曰: "吾與公, 往靖安君邸, 則必獲生矣。" 不聽。 昏時, 軍士追至殺之。 靖安君聞之乃驚, 卽呼鎭撫田興曰: "興安君死矣, 奴婢必將逃散。 汝率軍士十餘人, 到興安家斂屍。 勑奴婢曰: ‘若有散者, 後必重罪。’" 至其家, 使侍婢入告曰: "勿驚。 我是靖安君鎭撫也。" 乃庀斂屍諸事, 一如所命, 翁主感泣。 南誾逃出城水門, 隱於城外圃幕, 等左右扶持, 暫不離焉。 欲詣巡軍, 等止之, 曰: "道傳爲人所憎, 故見誅, 我無憎之者。" 自詣巡軍門外見斬。 殿下卽位, 以忠於所事, 俱加擢用。 靖安君與諸王子, 張幕於監巡廳前, 會宿三日。 其後入宿三軍府, 至世子受內禪後, 各還私第。


  • 【태백산사고본】 3책 14권 19장 B면【국편영인본】 1책 130면
  • 【분류】
    변란-정변(政變) / 왕실(王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