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실록 40권, 고종 37년 8월 1일 양력 1번째기사
1900년 대한 광무(光武) 4년
- 고종실록40권, 고종 37년 8월
-
- 경효전에서 별다례를 지내다
- 헌릉에 작헌례를 대신으로 하여금 섭행하게 하다
- 서북 양계에 새로운 부대를 편성 배치하여 변방의 방어에 힘쓰게 하다
- 의정부 의정 윤용선이 상소하여 사직을 청하다
- 평안북도 관찰사 이도재가 전라도 안렴사의 역할을 잘하지 못한 자신을 규탄하다
- 각 도의 관찰사를 소견하다
- 원수부 회계국 총장 육군 부장 민영환에게 헌병대 사령관을 겸임하게 하다
- 심순택이 홍릉의 새 터를 간심하고 와서 보고하다
- 귀인 엄씨를 순빈에, 궁인 이씨를 소의에 책봉하다
- 이재완이 원종 대왕의 팔고조도를 고치는 일을 의논하다
- 헌릉에 작헌례를 섭행하고 온 이승응을 소견하다
- 평리원 재판장 홍종우가 일을 사사로이 처리하는 법부 대신 민종묵을 규탄하다
- 의정부 의정 윤용선에게 별유하다
- 윤용선을 비난한 유기환과 법부 대신 대리 민종묵을 처벌하다
- 조병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둘째 황자와 셋째 황자를 왕으로 책봉하는 의식 절차를 의논하게 하다
- 헌릉에 작헌례를 거행할 때의 헌관 이하에게 시상하다
- 의정부 의정 윤용선에게 재차 유시하다
- 윤정구가 함흥과 영흥의 본궁을 공사한 지방관 등을 표창할 것을 청하다
- 의정부 의정 윤용선에게 세 번째로 유시하다
- 이주영이 친왕을 책봉할 때 칭호와 세 번째 황자의 이름도 정하기를 청하다
- 조병식이 근거없는 내용의 상소문을 올린 전권공사 유기환을 처벌할 것을 청하다
- 법부 협판 이근호에게 대신의 사무를 서리하게 하다
- 의정부 의정 윤용선에게 네 번째로 칙유하다
- 조동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주영이 친왕 책봉 때의 금책과 금인을 쓰는 일에 대하여 의논하다
- 의정부 의정 윤용선에게 다섯 번째로 칙유하다
- 셋째 황자의 이름을 은 자로 정하다
- 친왕봉호망단자를 둘째 황자의 칭호는 의 자, 셋째 황자는 영 자를 쓰기로 하다
- 의왕에게 금책을 주는 절차는 조정에서 거행하기로 하다
- 이주영이 친왕의 책봉 의식 절차 등에 대하여 아뢰다
- 이호준을 궁내부 특진관과 영왕 책봉의 정사로 삼다
- 궁내부의 관제 중 황태자비 궁 아래에 친왕부를 증치하는 일에 관한 안건 등을 반포하다
- 박승봉을 경흥감리 겸 경흥부윤에 임명하다
- 의정부 의정 윤용선이 사직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다
- 농상공부 대신 민병석에게 궁내부 대신의 사무를 임시로 서리하게 하다
- 의정 윤용선을 서용하지 않기로 하다
- 전 의정 윤용선을 서용하고 직무를 다시 주게 하다
- 의정 윤용선에게 칙유하다
- 고영희를 탁지부 협판에, 김정근을 친위 제1연대장에 임명하다
- 비서원 경 윤덕영이 유기환에게 비난받은 사실로 자신을 규탄하다
- 진전에 나아가 다례를 행하다
- 김영준을 평리원 재판장에 임명하다
- 조병식이 상소를 올려 공사의 직책을 사직하다
- 의정 윤용선이 상소하여 사직을 청하다
- 의정 윤용선에게 세 번째로 칙유하다
- 임창호를 경부 회계국장에 임명하다
- 산릉을 재심하고 온 총호사 이하를 소견하다
- 의정 윤용선에게 네 번째로 칙유하다
- 이정래를 공사관 3등 참서관에, 팽한주를 평양 감리에 임명하다
- 정낙용과 민병승을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하다
- 광산 조합과 직산군 금광 채굴에 대한 합동 조약을 체결하다
- 중화전에 나아가 황자를 책봉하다
- 주차일본 전권공사 조병식을 소견하다
- 민영달을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하다
- 황태자가 올리는 치사와 전문을 받고 이어 하례를 받다
- 남정철, 민영국, 민영돈 등을 궁내부 특진관에, 오정근을 시강원 첨사에 임명하다
- 감옥의 죄수들을 너그럽게 처결하게 하다
- 책봉할 때의 정사와 부사 이하 등에게 시상하다
- 중화전에 나아가 황태자가 올리는 치사와 전문을 받고 하례를 받다
- 진하할 때의 각 차비 이하에게 시상하다
- 서북 변방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이도재를 찰변사에 임명하다
- 민응식을 경효전 제조에, 민병한을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하다
- 윤용선이 상소하여 사직을 청하다
- 권재형이 유기환의 비방 때문에 사직을 청하다
- 이우면, 오정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산릉을 세 번째로 간심하고 온 총호사 이하를 소견하다
- 묘적산 금곡에 홍릉의 천봉을 정하다
- 윤용선이 거듭 사직 상소를 올리다
- 윤용선, 민종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경효전에서 별다례를 지내다
- 산릉도감 제조 이근명과 천릉도감 제조 김영목을 서로 바꾸라고 명하다
- 김만수를 장례원 소경에, 심상황을 경효전 제조에 임명하다
- 정족 산성 사고에서 없어진 《인조실록》은 강릉 사고에서 등서하여 보충하게 하다
- 권재형을 법부 대신에 임명하다
- 김중환을 중추원 의관에, 태명식을 평리원 검사에 임명하다
- 총호사 이하를 소견하다
- 궁내부의 관제 중 개정에 관한 안건을 반포하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