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종실록11권, 태종 6년 4월
-
- 광연루가 완성되자, 감역 제조 이직 등과 함께 낙성을 축하하다
- 정해진 숫자 외에 절에 소속된 전지와 노비를 각사에 분속시키다
- 정탁·이백온의 고신을 돌려주다
- 서리가 내려 풀이 죽다
- 갑주에 비와 눈이 4일 동안이나 내리다
- 임금이 덕수궁에 나아가 헌수하고 즐기다
- 관청 노비를 결절하는 법을 정하다
- 정승 등의 고향에 사람을 보내 위문하다. 왜적을 잡은 도절제사 등에게 상을 주다
- 경상도 기민을 진휼하다
- 법관에게 명하여 옥사를 지체하지 말도록 하다
- 어사한을 경외 종편시키다
- 정릉의 영역을 정하다
- 금주의 목장을 녹양의 교외로 옮기다
- 금주 등지에 서리가 내리다
- 종친과 격구하고, 광연루에서 주연을 베풀다
- 왜적이 안행량에서 전라도 조운선과 호송 병선을 약탈해 가다
- 의안 대군 이화가 광연루에서 연향을 베풀다
- 해온정을 창덕궁 동북쪽에 짓고 명명하다
- 영흥부에 서리가 내려 곡식이 상하다
- 군위현에 서리가 내리다
- 금강산에 2자나 되는 눈이 내리다
- 왜적에게 조운선을 탈취당한 도절제사 최이 등을 조사하여 처벌하다
- 수문 갑사를 때린 병조 정랑 조수와 좌랑 윤회를 순금사에 가두다
- 새로 임명된 녹사에게 돈을 갈취한 삼군 녹사 오치에게 곤장을 치다
- 경기 수군 도절제사 이지실에게 전함을 수리, 왜선을 잡도록 명하다
- 왜구에 부상당한 첨절제사 구성미에게 궁온을 하사하고, 왜구에게 조운선을 약탈당한 도절제사 김계지 등을 힐문하다
- 지리산·영흥부 등지에 많은 눈이 내리다
- 지리산에 서리가 내리고, 이천·안변 등지에 눈이 내리다
- 조수와 윤회를 석방하다
- 사역원 통사를 요동 도사에게 보내 도망친 죄인의 송환을 요구하다
- 지리산과 영주에 서리가 내리다
- 기남보국의 객인이 토물을 바치다
- 옥주에 서리가 내리다
- 광연루에서 종친과 함께 활 쏘는 것을 구경하다
- 금주에 5일 동안 서리가 내리다
- 일본 서해도 단주 태수 원영이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치다
- 사헌부에서 통례문 봉례랑 오소남 등의 파직을 청했으나 회답 않다
- 왜선을 침몰시킨 경상도 도절제사에게 상을 주다
- 유귀산을 제주 안무 진제사로 삼아 제주의 기민을 진휼케 하다
- 중들이 압록강을 건너가서 장사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명하다
- 서연관에게 명하여 세자를 부지런히 공부시키도록 하다
- 명의 내사가 칙서와 자문을 가지고 오다. 도망자 송환 등을 요구
- 명사신이 채단 등을 바치다. 임금이 태평관에 나가 사신에게 연회하다
- 태평관에서 연회를 베풀다. 명에서 제주의 동불을 요구
- 사신의 수행원에게 안장 갖춘 말을 하사하다
- 황엄의 제주 정탐을 막기 위해 제주사의 불상을 미리 가져오게 하다
- 이천과 영풍에 서리가 내리다
- 선군이 둔전과 미역 따기 등의 일을 하는 것을 중지시키다
- 한첩목아가 태상전에 알현하다
- 올량합 만호 보리가 동생을 시켜 내조하다
- 일본 호자전 객인이 와서 토물을 바치다
- 예조 정랑 유영을 석방하여 복직시키다
- 황엄 등에게 연회를 베풀다
- 달단이나 화척이 소와 말을 도살하는 것을 거듭 금하다
- 방목의 폐단을 조사하기 위해 행대 감찰을 경기도에 파견하다
- 황엄 등이 제주로 떠나자 박석명을 동행시키다
- 6품 이상의 조관에게 장정을 내게 하여 송충이를 잡다
- 정승이 개령에서 돌아오자 의정부에서 영접하다
- 이조의 건의로 종묘서·전농시 등 각사의 근무 규정을 정하다
- 호조에서 중 들의 경행(經行)을 금지토록 청하니 윤허하다
- 덕수궁이 완성되자 감독한 관리에게 관직을 주다
- 권근을 기복시켜 예문관 대제학에, 신극례를 참찬의정부사에 임명하다
- 세자전의 음식을 잘못 관리한 환관 정덕경을 밀양으로 유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