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97권, 선조 31년 2월 11일 丙寅 4번째기사 1598년 명 만력(萬曆) 26년

왜적의 진중에서 도망해 온 전풍상이 왜적의 상황을 아뢰다

진해(鎭海)에 사는 정병(正兵) 전풍상(全風上)이 왜적의 진중에서 도망해 와서 아뢰었다.

"지난 임진년 8월 산골로 피란했다가 왜적에게 잡혔는데 왜장 산도(山道)의 진중에 소속되어 안골포(安骨浦)에 한달 남짓 머물러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산도를 따라 바다를 건너 일본의 국도(國都)에서 동쪽으로 하룻길인 진역군리(鎭域軍里)에 도착했는데 진역군리는 바로 산도가 다스리는 고을이었습니다. 또 산도에게 딸린 부장(副將) 우다능기(尤多凌其)의 종이 되어 복역하면서 이따금 문서(文書)를 선소(船所)에 송달하기도 했는데 대체로 우다능기는 바로 산도가 관할하는 전선(戰船)의 장수였습니다. 선척의 숫자는 1백 20여 척으로 지난해 6월 산도가 재차 자기 소속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부산포(釜山浦)에 정박하였고, 7월 사이에는 한산도(閑山島)에서 접전한 뒤에 하동(河東) 앞 포구에서 하륙(下陸)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구례(求禮) 지방을 거쳐 남원(南原)을 함락시키고 전주(全州)에 도착했다가 즉시 하동으로 돌아왔는데 대개 갔다가 돌아온 기간이 20여 일이었습니다. 또 하동에서 열흘 간 머문 뒤에 산도(山道)가 선척을 다 거느리고 수로(水路)를 따라 순천(順天)·흥양(興陽)을 거쳐 우수영(右水營) 앞바다에 도착했는데, 거기서 통제사(統制使)와 접전을 하여 왜적의 반이 죽거나 부상당했습니다. 그리하여 무안(務安) 지방으로 후퇴하여 정박하면서 날마다 분탕질을 한 뒤에 다시 순천으로 들어와서 왜교(倭橋)에다 성을 쌓고 주난궁(走難宮)에게 지키도록 한 다음 산도는 즉시 일본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래서 우다능기를 따라 광양(光陽) 지방의 장도(獐島)에 옮겨 정박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또 우다능기가 일본으로 다시 들어간다는 기별을 듣고 고향 생각을 이기지 못하여 밤을 타서 도망와 현감(縣監)에게 자수(自首)해 온 것입니다."


  • 【태백산사고본】 62책 97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23책 382면
  • 【분류】
    군사(軍事) / 외교-왜(倭)

    鎭海居正兵全風上, 自賊中逃來言曰: "往在壬辰年八月, 避亂山谷, 爲賊所擄, 屬於山道之陣中, 留安骨浦月餘, 隨山道渡海, 抵日本國都東距一日程鎭域軍里, 鎭域軍里, 乃山道所治之邑也。 又從山道副將尤多凌其, 爲奴服役, 往往持文書, 送于船所, 蓋尤多凌其, 乃山道之管戰船將也。 船數則一百二十餘隻, 前年六月, 山道再領其軍, 來泊于釜山浦, 七月間閑山島接戰後, 下陸于河東前浦。 由求禮南原, 到全州, 卽還河東, 蓋往返二十餘日矣。 留河東一旬, 山道盡擧船隻, 以水路, 由順天興陽, 至右水營前洋, 與統制使接戰, 倭賊爲半死傷。 退泊于務安地, 連日焚蕩後, 還入于順天, 築城於倭橋, 而又令走難宮守之, 山道卽還日本, 而隨尤多凌其, 移泊于光陽獐島。 又聞尤多凌其還入日本之奇, 不勝懷土之情, 乘夜逃來, 來現縣監" 云矣。


    • 【태백산사고본】 62책 97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23책 382면
    • 【분류】
      군사(軍事) / 외교-왜(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