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순종실록부록10권, 순종 12년 1월 26일 양력 3번째기사 1919년 일본 대정(大正) 8년

대렴할 때의 의대를 정하다

대렴(大斂)할 때의 의대(衣襨)는 황운 문단(黃雲紋緞) 용포(龍袍) 한 벌 【안감은 다홍색의 구름무늬 비단이며, 가슴과 등과 어깨에 용을 그렸다.】 , 금향오호로단(錦香五壺老緞)으로 만든 군복(軍服) 한 벌 【안감은 남색(藍色)의 오호로단(五壺老緞)이다.】 , 남색 별단(別緞)의 괘자(掛子) 2개, 옥색(玉色)의 별문단(別紋緞) 주의(周衣) 3벌, 다홍공단(多紅貢緞)으로 만든 강사포(絳紗袍) 한 벌, 백색의 갑사(甲紗)로 만든 적삼 한 벌, 다홍갑사로 만든 치마 한 벌, 대대(大帶) 한 개, 금의단후수(錦衣緞後垂) 한 벌 【금환화본(金環畵本)이 있다.】 , 무릎 가리개 1개, 옥대(玉帶) 1개, 【홍공단 화본이다.】 옥규(玉圭) 한 개, 【홍공단 화본이다.】 패옥(佩玉) 1개, 【홍공단 화본이다.】 유청색(柳靑色)의 운문단(雲紋緞) 이불 1벌, 【안감은 백공단(白貢緞)으로 하였다.】 자색의 지초문양(芝草文樣)의 벼개 1개, 홍공단으로 만든 9척 길이의 편의(片衣) 1벌, 홍공단으로 만든 3척 길이의 편의 5벌, 오색고단(五色庫緞)으로 만든 편의 90장, 빈자리를 보충하기 위한 각 색 공단(貢緞)과 고단(庫緞) 70필을 사용하였다.


  • 【원본】 7책 10권 2장 B면【국편영인본】 3책 605면
  • 【분류】
    왕실-종친(宗親) / 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

    大斂衣襨: 黃雲紋緞龍袍一 【內貢, 多紅雲紋緞, 龍胸背肩畫具】 , 錦香五壺老緞軍服一 【內貢, 藍五壺老緞】 , 藍別緞掛子二, 玉色別紋緞周衣三, 多紅貢緞絳紗袍一, 白甲紗衫一, 多紅甲紗裳一, 大帶一, 錦衣緞後垂一, 【金環畫本】 蔽膝一, 玉帶一 【紅貢緞畫本】 , 玉圭一 【紅貢緞畫本】 , 珮玉一 【紅貢緞畫本】 , 柳靑雲紋緞衾一 【內貢白貢緞】 , 紫芝別紋緞枕一, 紅貢緞九尺長片衣一, 紅貢緞三尺長片衣五, 五色庫緞片衣九十枚, 補空次各色貢緞庫緞七十疋。


    • 【원본】 7책 10권 2장 B면【국편영인본】 3책 605면
    • 【분류】
      왕실-종친(宗親) / 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