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녕전에 나아가 내진연을 행하다
내진연(內進宴)을 강녕전(康寧殿)에서 행하였다. 【상(上)이 익선관(翼善冠)에 곤룡포(袞龍袍)를 갖추고 막차(幕次)에서 나와 자리에 올랐다. 왕비가 머리장식을 하고 적의(翟衣)를 갖추고서 막차에서 나와 자리에 올랐다. 음악이 연주되고 사창(司唱)이 ‘승천(承天)’ 악장(樂章)을 불렀으며 왕세자(王世子)와 세자빈(世子嬪) 및 좌명부(左命婦)와 우명부(右命婦), 종친(宗親)과 척신(戚臣), 진연소(進宴所)의 당상(堂上)과 낭청(郎廳)들이 예(禮)를 행하였다. 음악이 그쳤다. 찬안(饌案)을 올리고 화반(花盤)을 올리자 음악이 연주되었다. 전식(典飾)이 꽃을 나누어 주고 미수(味數)를 올리자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가 제1작(爵)을 올리자 상 및 왕비가 잔을 들었으며 상궁(尙宮)이 전교를 선포하고 지(旨)를 선포하기를, "술잔을 들어 축하하는 날에 왕세자와 경사를 함께 하노라." 하였다. 음악이 연주되었다. 염수(鹽水)를 올리고 소찬(小饌)을 드리자 음악이 멎었다. 탕(湯)을 드리고 만두(饅頭)를 올리자 음악이 연주되었다. 세자빈이 제2작을 올리고 위의 의식과 같이 하니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와 세자빈이 각각 자리에 나아갔다. 여집사(女執事)가 찬안을 올리자 음악이 연주되었다. 제3작, 제4작, 제5작, 제6작, 제7작, 제8작, 제9작을 차례로 올리면서 모두 위와 같은 절차로 하자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와 세자빈 및 좌명부와 우명부, 종친과 척신, 진찬소(進饌所)의 당상과 낭청이 국궁(鞠躬)하고 사배(四拜)하자 예가 끝났다.】 치사문(致詞文)에,
"문덕(文德)이 높으시어 자손을 위한 훌륭한 계책을 남겼고
인자함과 사랑이 극진하여
특별히 연회를 차리도록 하셨습니다.
그 은혜에 조금이나마 보답하려고
장수하기를 바라며
운수가 장구하기를 비오니
만수무강하소서.
복을 누리고 장수하기를 빌어
삼가 축하의 술잔을 드립니다."
하였다. 전문(箋文)에,
"삼가 아룁니다. 태평스러운 운수가 돌아드니 복을 비는 마음이 간절하고, 하늘땅의 덕이 합침에 연회를 베푸는 성대한 의식을 기쁘게 거행하여 장수하기를 비는 술잔을 드리니 온 나라가 기뻐합니다.
공경히 생각건대 통천 융운 조극 돈륜 정성 광의 명공 대덕 요준 순휘 우모 탕경 응명 입기 지화 신렬 주상 전하(統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公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主上殿下)께서는 36년의 공덕이 대단하고 오복(五福)을 누려 강녕(康寧)하며 장수와 복록을 얻고 명성을 얻은 성신(聖神)이시니, 훌륭한 운수를 만나 산 같고 강 같고 언덕 같은 길한 상서(祥瑞)가 크게 이르렀습니다. 이 때가 음력 2월에 있어 기쁨을 기념하는 날에 소자(小子)가 장수를 비는 술을 올릴 것을 청하였습니다. 올해의 생일은 유별나서 물론 옛 법을 따라 하는 일이기는 하지만, 이 날 술을 올리는 것은 원래 지극한 심정에서 우러나온 것이었습니다. 다행히도 상소를 올린 것에 대하여 윤허를 내리시니, 연회를 베풀어 기쁨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스물한 살이 되도록 두 성인의 가르침을 받았으니 하늘처럼 높고 땅처럼 두터운 그 은혜에 무엇으로 보답하겠습니까? 해가 솟아오르고 달이 둥글어지는 것이 항구하듯이 장수하시기를 빌 뿐입니다."
하였다. 악장문(樂章文)에,
"화려한 누각에 발이 걷히니 봄바람 불고
꽃밭 너머 관리들 무릎 꿇고 절하네
기쁜 기색 보이는 폐하를 우러러
색동옷 차림으로 이 자리에서 즐거움 드리고
유하주(流霞酒)를 부어 두 손 모아 올리며
남산(南山)처럼 길이 장수하시기를 빈다네
세세년년(歲歲年年) 이렇듯 즐겁게 지내시라
천년만년 이렇듯 태평을 누리시라."
하였다.《응천장(應天長)》 1첩(疊)이다.
- 【원본】 35책 31권 5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7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 / 식생활-주류(酒類) / 예술-음악(音樂) / 왕실-국왕(國王) / 왕실-비빈(妃嬪) / 풍속-연회(宴會) / 어문학-문학(文學)
行內進宴于康寧殿。 【上具翼善冠、袞龍袍, 出次陞座, 王妃加首飾具翟衣, 出次陞座, 樂作司唱唱承天樂章。 王世子、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戚臣、進宴所堂郞行禮, 樂止。 進饌案, 進花盤, 樂作; 典飾頒花, 進味數, 樂止。 王世子進第一爵, 上及王妃擧酌。 尙宮宣敎宣旨曰: "稱觴之辰, 與王世子同慶", 樂作。 進鹽水、進小饌, 樂止。 進湯、進饅頭, 樂作; 世子嬪進第二爵, 如上儀, 樂止。 王世子世子嬪各就座, 女執事進饌案, 樂作。 第三爵、第四爵、第五爵、第六爵、第七爵、第八爵、第九爵, 次第進上, 竝如上儀, 樂止。 王世子、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戚臣進饌, 堂郞鞠躬四拜。 禮畢。】 致詞文曰: "文德駿遹, 孫謀燕貽, 仁愛備至, 殊錫宴儀。 報效涓露, 願介以眉, 新天永命, 萬壽無期。 箕疇敍福, 《天保》陳詩, 遐視恭進, 北斗之巵。" 箋文曰: "伏以。 豫泰運回, 方切祝釐之微願, 乾坤德合, 欣擧進宴之晠儀, 萬壽兕觥, 八域鱉抃。 恭惟統天, 隆運肇極, 敦倫正聖, 光義明功大德, 堯峻舜徽禹謨湯敬, 應命立紀, 至化神烈, 主上殿下, 三紀巍蕩, 五福康寧, 得壽得祿, 得名聖神, 廣運如岡, 如川如阜, 吉祥大來。 玆屬維卯, 識喜之辰, 及有小子上壽之請, 以今年懸弧之特異, 縱倣舊章而行若是日奉觴之固宜, 實由至情所發。 何幸陳章而獲準, 允矣開宴而供歡。 伏念齡望三旬, 訓承兩聖, 天高地厚, 曷報劬勞之恩, 日升月恒, 祗伸頌禱之悃。" 樂章文曰: "玉樓簾捲春風起, 花外千官齊拜跪。 望天顔知有喜, 彩服供歡筵尺咫。 酌流霞擎賀觶, 雙手拜獻南山翠。 歲歲樂康長如此, 太平千萬禩。" 應天長一疊。
- 【원본】 35책 31권 5장 A면【국편영인본】 2책 478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의생활-예복(禮服) / 식생활-주류(酒類) / 예술-음악(音樂) / 왕실-국왕(國王) / 왕실-비빈(妃嬪) / 풍속-연회(宴會) / 어문학-문학(文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