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고종실록 21권, 고종 21년 9월 1일 임인 2번째기사 1884년 조선 개국(開國) 493년

삭주에 다시 수구진을 설치하다

의정부(議政府)에서 아뢰기를,

"해방 총관(海防總管)이 강화 유수(江華留守)를 겸대(兼帶)하게 하고 절차와 제도에서 그대로 둘 것과 없앨 것, 늘일 것과 줄일 것을 묘당(廟堂)에서 품처(稟處)하게 하라고 명을 내리셨습니다. 해방아문(海防衙門)을 설치하는 것은 이미 중요한 의미가 있으니, 강화 유수를 특별히 겸대하라고 명한 것은 진실로 공고하고 치밀하게 하려는 성상의 뜻에서 나온 것입니다. 일찍이 진무영(鎭撫營)에서 관할하던 군사에 관한 사무를 이제 모두 다 해방아문에 속하게 하였으니, 진무사(鎭撫使)란 직함은 감하(減下)하고 인신(印信)은 예조(禮曹)에 보내서 녹여 없애게 하며, 총관(總管)의 병부(兵符)를 막 새로 주조했으니 유수(留守)의 병부를 승정원(承政院)에 올려 보내서 불태워 버릴 것입니다. 그밖에 각 항목에서 그대로 둘 것과 없앨 것은 해 총관(總管)이 살펴보고서 바로잡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또 아뢰기를,

"방금 함경 감사(咸鏡監司) 정기회(鄭基會)의 장계(狀啓)를 보니, ‘안무사(按撫使) 조병직(趙秉稷)의 이문(移文)으로 인하여 관북(關北) 10개 주(州)의 군전(軍田)의 환곡에 대한 문안(文案)과 3식년조 및 약재 외에 진헌하는 각종 수효를 성책(成冊)하여 이송하는 일은 마음대로 하기 곤란하니 조정의 처분을 기다립니다.’ 하였습니다. 이 문제는 제때에 구별해서 편리한 대로 거행하지 않아서는 안 되니, 안무사(按撫使)가 이문한 대로 시행하라고 분부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고, 또 아뢰기를,

"방금 평안 감사(平安監司) 김영수(金永壽)의 장계를 보니, 의주 전 부윤(義州前府尹) 김기수(金綺秀)의 첩정(牒呈)을 낱낱이 들면서 아뢰기를, ‘작년 봄에 경략사(經略使)가 다섯 개 진영(鎭營)을 없애버린 것에 대하여 의견이 없지 않습니다. 삭주(朔州)구령(仇寧) 지경으로부터 해부(該府)까지는 100여 리 구간이 족히 되는데, 단지 옥강(玉江) 한 곳에 채장(砦將)을 둔 것은 변경의 실정을 놓고 볼 때 결국 허술한 것입니다. 수구진(水口鎭)을 다시 설치하고 영원히 해부에서 자벽(自辟)하는 자리로 만들 것에 대하여 묘당(廟堂)에서 품처(稟處)하게 해 주소서.’라고 하였습니다.

지난번에 진영(鎭營)과 보루를 없애거나 줄일 것에 대해 경략사가 품하여 청한 것이 참작하여 헤아리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지금 의주(義州)의 보고와 도신(道臣)의 장계를 가지고 보건대, 100여 리 사이에 단지 하나의 채장을 둔 것은 변경의 정세로 보아 매우 소홀합니다. 그러니 수구진(水口鎭)을 이전대로 다시 설치하는 동시에 해부가 자벽하는 자리로 만들라고 분부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모두 윤허하였다.


  • 【원본】 25책 21권 71장 A면【국편영인본】 2책 170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지방군(地方軍)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議政府啓: "海防總管兼帶江華留守, 節制之存革增減, 令廟堂稟處事, 命下矣。 海防衙門之建置, 旣有攸重, 則留之特命兼帶, 寔由於鞏固縝密之聖意也。 曾前鎭撫營所管軍務, 今竝屬於海防衙門, 鎭撫使之銜減下, 印信送于禮曹, 使之銷刓; 總管兵符方新造, 則留守兵符, 上送政院, 以爲燒火。 外他各項存減之事, 令該總管審察釐正何如?" 又啓: "卽見咸鏡監司鄭基會狀啓, 則因按撫使趙秉稷移文, ‘關北十州軍田糴文案及帳籍限三式年條及藥材外進獻各種數爻, 修成冊移送之節, 有難擅便, 以待朝家處分’爲辭矣。 此不容不趁卽區別以便擧行, 依按撫使移文施行之意, 分付何如?" 又啓: "卽見平安監司金永壽狀啓, 則枚擧義州前府尹金綺秀牒呈, 以爲‘昨春經略使之減革五鎭, 不無意見。 而自朔州 仇寧境至該府, 洽爲百餘里之間, 只置玉江一砦將者, 揆以邊情, 終是疎虞。 水口鎭復設, 永爲該府自辟窠事, 請令廟堂稟處’矣。 向日鎭堡之革減, 經略使稟請, 非無酌量。 而今以報、道啓觀之, 只置一砦將於百餘里之間者, 邊情甚涉疎虞。 水口鎭依前復設, 仍作該府自辟之意, 分付何如?" 竝允之。


  • 【원본】 25책 21권 71장 A면【국편영인본】 2책 170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지방군(地方軍)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