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사 김홍집을 소견하다
돌아온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을 소견(召見)하였다. 하교하기를,
"세금을 정하는 일을 아직 바르게 귀결짓지 못하고 돌아왔는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별단(別單)에서 이미 대략 진달하였지만 그 나라에서 한창 조약을 수정하는 일이 있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에 갑자기 정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개항 등에 관한 일을 다시 먼저 말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가 한 번 사적으로 묻기에 조정의 의견은 전과 다름이 없다고 대답했더니 더는 말하지 않았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러시아[俄羅斯]가 두만강에서부터 곧바로 산동(山東)으로 향해 간다고 하는데, 만일 정말 전쟁이 일어난다면 응당 멀지 않은 듯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일본 사람들은 그렇게 말하나 여러 청나라 사신에게 물어보니, 중국의 일은 잘 마무리될 듯합니다."
하였다. 하교 하기를,
"그렇다면 응당 무사할 것이라고 말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숭후(崇厚)를 이미 석방하고 죄를 주지 않았다고 들었으므로 이리(伊犁) 지방을 끝내 러시아에게 허락하고서야 끝날 듯하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숭후를 어째서 죄주지 않았는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숭후가 제멋대로 땅을 떼 줄 것을 허락한 것은 참으로 그의 죄입니다. 중국이 이미 그에게 전권을 위임해놓고 그가 허락한 것을 뒤따라 어긴다면, 이것은 이웃 나라에 신의를 잃는 것이기 때문에 죄를 줄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우리나라가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하는 것은 혹시 우리를 꼬이고 놀래키려는 단서가 아닌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저들이 말하기를, ‘이것은 조선을 위해서 대신 도모하려는 것이 아니라, 실은 우리나라를 위하여 그러한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이미 스스로 저희 나라를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면 그 말이 혹 그럴 듯하다."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청나라 사신에게 물어보니, 또한 그 실정이 그렇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일본에서 각국의 말을 배우는 학교를 널리 설치하여 가르친다고 하는데, 그 학교의 규모는 어떻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그곳에 가보지는 못하였지만 각국의 언어를 모두 학교를 설치하여 가르친다고 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우리나라의 역학(譯學)과 같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그렇습니다. 그 나라 조사(朝士)의 자제들은 모두 취학하게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사람을 파견하여 외국말을 배우는 것을 돌아가서 조정에 보고하라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이 일은 대체로 우리나라를 위해서 하는 말이었고, 시행 여부는 오직 우리 조정의 처분에 달려 있으므로 돌아가서 보고하겠다고 대답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남쪽 섬에서 검은 연기가 난다고 하는데, 그런가 안 그런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그 지역에 화산이 있기 때문에 항상 지진이 많다고 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지진이 과연 잦고 크게 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몇 달 간격으로 문득 지진이 일어나며, 10여 년쯤 사이를 두고 큰 지진이 나 집과 사람과 물건들이 손상을 많이 입는다고 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몇 해 전에 사쓰마[薩摩州] 사람이 우리나라를 침범하려고 하는 것을 그 대신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가 막아서 뜻을 이룰 수 없었다고 하는데, 이 일이 사실인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이 말은 진실로 확실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청나라 사신에게 물어보았으면 자세히 알 수 있었을 것이다."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비록 여러 청나라 사신에게는 미처 물어보지 못했지만 이와쿠라 도모미를 만나 이 일을 언급하니, 스스로 사실 이런 일이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 사람들이 모두 근실하고 게으르지 않는 것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그 일은 이와 같이 되었을 것이다."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참으로 그렇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 나라의 66개 주(州)를 지금 모두 통합하였다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66개 주를 폐지하고 나누어 36개 현(縣)으로 만들었으며, 현에는 합(合)을 둔 것이 마치 우리나라의 감사(監司) 제도와 같았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각 주를 세습(世襲)하던 사람들이 지금은 모두 지위를 상실했는데, 원망하는 뜻이 없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그들이 마음속으로는 좋아하지 않는 듯하나, 모두 녹봉(祿俸)을 후하게 받으면서 도성 아래에서 산다고 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부세(賦稅)를 많이 견감했다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참으로 그렇습니다. 무릇 백성들을 이롭게 하는 정사는 반드시 들어서 행한다고 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육군을 조련(調練)하는 것은 그 방법이 어떻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모든 동작이 자못 군사 규범에 맞았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 나라는 과연 러시아를 몹시 두려워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온 나라에 그것을 위급하고 절박한 걱정거리로 여기지 않는 자가 없었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들이 통상하는 것이 17개국이라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전하는 말이 그렇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들의 무기가 지금 서양 각국을 대적할 수 있다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저들이 배운 것이 서양의 병법(兵法)이므로 스스로 서양에 미치지 못한다고 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그 병법에는 마땅히 다시 네덜란드[阿蘭陀]를 따라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어떤 나라인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네덜란드는 서양에서도 가장 작은 나라로서 면적이 우리나라의 4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나라는 이처럼 작은데 무슨 방법으로 능히 이와 같은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나라가 크건 작건 관계없이 무기가 정예한 것은 또한 스스로 강하게 하고 실제에 힘쓰는 것에 달려 있을 따름입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순사들이 거리를 단속하는 것이 자못 엄숙하다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그렇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 나라에서는 각기 그 재주에 따라서 사람을 가르치기 때문에 비록 부녀자와 어린아이라도 모두 공부시키니, 그렇다면 한 사람도 버릴 만한 사람이 없을 것이다."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그렇기 때문에 한 사람도 놀고 먹는 백성이 없었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건축 제도가 달라진 것이 많이 있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지붕은 간혹 서양식 제도를 쫓은 것이 있기도 했으나 역시 옛날 제도대로 지은 것이 많았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더러는 아직도 옛날식 옷을 입고 그 풍속을 고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는데, 그 중에는 틀림없이 볼 만한 사람이 있을 것이다."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그 가운데에는 문사(文士)들이 많았으니, 자못 숭상할 만합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다른 나라로 나가서 머무는 전권공사(全權公使)와 영사관(領事官)은 그 숫자가 일정하지 않다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상세히 듣지는 못하였지만 간혹 해당 나라에 대한 사무가 많고 적음으로 인하여 그런 것 같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조선에만 유독 변리공사(辦理公使)를 두고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변리(辦理)로 승진시켜 임명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이것은 품계를 올리려고 그런 것 같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우리나라와 상의하지도 않고 한 것은 그 뜻이 국서(國書)를 보내려고 그러는 것인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변리공사는 응당 국서를 가지고 간다고 들었기 때문에 신이 하나부사 요시모토에게 묻기를, ‘병자년(1876)에 국서를 가지고 다니지 말 것을 약속했는데, 지금 어째서 우리나라와 상의하지도 않고 갑자기 시행하는가? 단지 외무성의 서계(書契)만 가지고 오는 것이 좋을 것이다.’라고 하니, 그의 대답도 자못 그렇게 생각한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 곳에 연로(沿路)의 시장과 백성들의 거주지가 과연 어떻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보이는 것이 자못 번화하고 풍성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들도 농사에 힘써서 올 가을에 큰 풍년이 들었다는데, 과연 무슨 곡식을 중하게 여기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그들도 쌀을 중히 여깁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러시아가 중국을 침략하려고 하는데, 어느 길을 경유할 것이라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저 나라에서 들은 바로는 대체로 우리나라의 동남 바닷길을 거쳐 중국으로 돌아 들어갈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그들의 동정을 살피건대, 저 나라는 우리나라에 대하여 과연 악의가 없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지금 본 바로는 우선 가까운 시일 안으로는 걱정할 것이 없습니다. 신이 이 일에 대해서 청나라 사신에게 물어보니, 또한 실정은 그러하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그렇다면 영원히 별일이 없으리라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겠는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이 일은 신이 감히 확정지어 대답할 수 없지만 향후에 우리가 그들을 응접하는 것에 옳은 방도를 얻는 데에 달려 있을 따름입니다. 이 때문에 청나라 사신도 스스로 힘쓰라는 말로 권면하였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스스로 힘쓴다는 것은 바로 나라를 부강하게 만드는 것을 말한 것인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나라를 부강하게 만드는 것만 스스로 힘쓰는 것으로 되는 것일 뿐 아니라 우리의 정사와 교화를 잘 닦아서 우리의 백성과 나라를 보호함으로써 외국과의 관계에서 불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실로 스스로 힘쓰는 데에 제일 급선무인 것입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청나라 사신도 또한 러시아 때문에 근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일을 많이 도와줄 의향이 있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신이 청나라 사신을 몇 차례 만났는데, 말한 것이 다 이 일이었으며 우리나라를 위한 정성이 대단했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저 사람들이 비록 우리나라와 한마음으로 힘을 합치고자 하나, 이것이 어찌 깊이 믿을 만한 것이겠는가? 요컨대, 우리도 또한 부강해질 방도를 시행해야 할 뿐이다."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저들의 마음을 참으로 깊이 믿을 수는 없지만, 오직 우리나라가 바깥 일을 모르고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고 있었습니다."
하였다. 하교하기를,
"유구국(琉球國)은 그 동안에 나라를 회복하였다고 하던가?"
하니, 김홍집이 아뢰기를,
"이 일은 혐의가 있어서 일찍이 사람들에게 물어보지는 못하였으나, 전하는 말로는 벌써 그 나라를 폐하고 현(縣)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하였다.
- 【원본】 21책 17권 21장 A면【국편영인본】 1책 619면
- 【분류】외교-러시아[露] / 왕실-국왕(國王) / 외교-일본(日本) / 외교-청(淸) / 사법-행형(行刑) / 사법-치안(治安)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 교육-특수교육(特殊敎育) / 과학-천기(天氣) / 군사-병법(兵法) / 건설-건축(建築) / 풍속-풍속(風俗) / 교통-수운(水運)
二十八日。 召見回還修信使金弘集。 敎曰: "定稅事, 姑未歸正而來耶?" 弘集曰: "別單已爲槪達, 而聞其國方有改約事。 故未可遽定矣。" 敎曰: "開港等事, 更先言耶?" 弘集曰: "花房義質, 一次私問, 故答以朝議, 與前無異, 則更不發說矣。" 敎曰: "俄羅斯自圖們江, 直向山東云。 若果有事, 當在不久耶?" 弘集曰: "彼人所言如此, 而問諸淸使, 則中國事似可善了矣。" 敎曰: "然則當無事云耶?" 弘集曰: "崇厚聞已放釋, 而不之罪, 則伊犂似終許之乃已云矣。" 敎曰: "崇厚何爲不之罪乎?" 弘集曰: "崇厚擅許土地, 信其罪矣。 中國旣委以專權, 而其所許者, 從以背之。 是失信於隣國, 所以不得罪之云矣。" 敎曰: "我國受害云者, 或非誘嚇之端乎?" 弘集曰: "彼言以爲此非爲貴國代謀, 實爲渠國而然矣。" 敎曰: "旣云自爲渠國, 則其言似或然矣。" 弘集曰: "問諸淸使, 亦以爲其實情然矣。" 敎曰: "日本廣設各國語學而敎之。 其學規果何如?" 弘集曰: "臣未嘗往見其處。 而各國言語, 皆設學敎之云矣。" 敎曰: "如我國譯學乎?" 弘集曰: "然矣。 其國朝士子弟, 皆令就學矣。" 敎曰: "遣人學語, 使之歸告朝廷耶?" 弘集曰: "此事蓋爲我國而發也。 施行與否, 惟在朝廷處分。 而不容不以歸告爲答矣。" 敎曰: "南島有黑煙云, 然否?" 弘集曰: "其地有火山。 故地常多震云矣。" 敎曰: "地震果頻而大乎?" 弘集曰: "數月輒有地震, 間十許年大震, 則屋舍人物, 多被傷損云矣。" 敎曰: "年前薩摩人, 欲向我國, 而其大臣岩倉具視抑之, 使不得逞。 此事眞然乎?" 弘集曰: "此說誠確矣。" 敎曰: "問於淸使, 可以詳知也。" 弘集曰: "雖不及問諸淸使, 而見岩倉具視, 言及此事, 則自謂實有是事云矣。" 敎曰: "彼人皆以勤幹不怠爲主。 故其事爲能若是也。" 弘集曰: "誠然矣。" 敎曰: "彼國之六十六州, 今皆統合云耶?" 弘集曰: "廢六十六州, 分爲三十六縣, 縣置合如我國監司之制矣。" 敎曰: "各州世襲之人, 今皆失位, 得無怏怏之意乎?" 弘集曰: "其心似不樂, 然亦皆優其廩而居之都下云矣。" 敎曰: "其賦稅多蠲減云耶?" 弘集曰: "誠然矣。 凡係利民之政, 必擧而行之云矣。" 敎曰: "陸軍操鍊, 其法何如?" 弘集曰: "坐作進退, 頗中師律矣。" 敎曰: "彼國果甚畏俄羅斯乎?" 弘集曰: "擧國莫不以是爲急切之憂矣。" 敎曰: "彼通商爲十七國云乎?" 弘集曰: "傳說然矣。" 敎曰: "彼之兵械, 今則可以敵西洋各國云耶?" 弘集曰: "彼之所學者, 西洋兵法, 而自以爲不及西洋云矣。" 敎曰: "其兵法, 當更從阿蘭陀云。 是何許國耶?" 弘集曰: "阿蘭, 西洋中最小之國。 幅圓不過爲我國四分之一云矣。" 敎曰: "國小如此, 用何術而能如是乎?" 弘集曰: "國無大小, 兵械精利, 亦在自强務實而已。" 敎曰: "巡査警路, 頗爲肅然云耶?" 弘集曰: "然矣。" 敎曰: "彼國敎人, 各隨其才。 雖婦孺, 亦皆學習。 然則無一人可棄也。" 弘集曰: "以故無一遊食之民矣。" 敎曰: "屋舍之制, 多有變改乎?" 弘集曰: "屋宇或從洋制, 而亦多仍舊制矣。" 敎曰: "或有尙著舊服, 不改其俗者, 其中必有可觀矣。" 弘集曰: "其中文士多, 頗爲可尙矣。" 敎曰: "全權公使領事官之出住他國者, 其數不一云耶?" 弘集曰: "未及詳聞, 而或因該國事務大小而然矣。" 敎曰: "朝鮮獨有辨理公使, 而花房之陞爲辨理, 何故耶?" 弘集曰: "似是進階而然矣。" 敎曰: "不與我國相議而爲之。 其意欲帶國書而然耶?" 弘集曰: "聞辨理公使, 當帶國書。 故臣問諸花房義質曰: ‘丙子旣以勿帶國書爲約, 則今何可不與我國相議, 而遽爾行之, 第只帶外務書契以來爲好’云爾, 則其答亦頗以爲然矣。" 敎曰: "彼地沿路市肆民居果何如?" 弘集曰: "所見頗爲殷盛矣。" 敎曰: "彼亦務農, 而今秋大登云。 果以何穀爲重耶?" 弘集曰: "亦以稻米爲重矣。" 敎曰: "俄羅斯欲向中國, 當由何路云耶?" 弘集曰: "彼中所聞, 槪云由我國東南海路, 轉入中國矣。" 敎曰: "察其動靜, 彼國於我國, 果無惡意耶?" 弘集曰: "以今所見, 姑無近慮。 臣以此事問於淸使, 亦以爲實情則然矣。" 敎曰: "然則可以永保無他乎?" 弘集曰: "此事臣未敢質對。 向從惟在我應接之得其道而已。 以故淸使亦以自强相勉矣。" 敎曰: "自强, 是富强之謂乎?" 弘集曰: "非但富强, 爲自强。 修我政敎, 保我民國, 使外衅, 無從以生。 此實自强之第一先務也。" 敎曰: "淸使亦以俄羅斯爲憂, 而於我國事, 多有相助之意乎?" 弘集曰: "臣見淸使, 幾次所言, 皆此事, 爲我國懇懇不已也。" 敎曰: "彼人雖欲與我國, 同心合力, 而此何可深信乎? 卽要我亦行富强之術而已。" 弘集曰: "彼情誠不可深信。 而惟以我國, 不識外事, 爲憫矣。" 敎曰: "琉球國, 間已復國云耶?" 弘集曰: "此事存嫌, 未嘗問人。 而傳說, 已廢其國爲縣云矣。"
- 【원본】 21책 17권 21장 A면【국편영인본】 1책 619면
- 【분류】외교-러시아[露] / 왕실-국왕(國王) / 외교-일본(日本) / 외교-청(淸) / 사법-행형(行刑) / 사법-치안(治安)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 교육-특수교육(特殊敎育) / 과학-천기(天氣) / 군사-병법(兵法) / 건설-건축(建築) / 풍속-풍속(風俗) / 교통-수운(水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