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고종실록 14권, 고종 14년 12월 6일 병술 1번째기사 1877년 조선 개국(開國) 486년

통명전에서 진찬을 거행하다

통명전(通明殿)에서 진찬(進饌)을 거행하였다.

【상이 익선관(翼善冠)에 곤룡포(袞龍袍) 차림으로 소차(小次)에 들어갔고, 세자는 쌍동계(雙童䯻), 공정책(空頂幘)에 곤룡포 차림으로 소차에 들어갔으며, 왕비는 머리꾸미개를 하고 적의(翟衣) 차림으로 소차에 들어갔고, 대왕대비 전하는 머리꾸미개를 하고 적의 차림으로 대차(大次)에 들어갔다. 시간이 되자 여집사(女執事)가 세자에게 소차에서 나와 절하는 자리에 들어가 북쪽을 향하여 설 것을 청하였고, 여관(女官)은 왕비(王妃)에게 소차에서 나와 절하는 자리에 들어가 북쪽을 향하여 설 것을 청하였다. 여집사는 상에게 소차에서 나와 절하는 자리에 들어가 북쪽을 향하여 설 것을 청하였으며, 상의(尙儀)는 대왕대비 전하에게 대차에서 나올 것을 청하였다. 음악이 연주되자 상궁(尙宮)이 앞에서 인도하여 어좌(御座)로 올라갔으며 상과 왕비, 세자가 네 번 절하는 예를 거행하였다. 대원군(大院君)과 부대부인(府大夫人)은 네 번 절하는 예를 거행하였고, 좌우 명부(左右命婦)와 종친(宗親), 의빈(儀賓), 척신(戚臣), 진찬소 당상(進饌所堂上)과 낭청(郞廳)이 네 번 절하는 예를 거행하였다. 절하는 의식이 끝나자 여집사가 휘건(揮巾 : 음식을 먹을 때 앞에 두르는 치마)을 담은 함(函)을 상 앞에 올리니 상이 함을 받아서 다시 여집사에게 주었다. 상식(尙食)이 넘겨받아 무릎을 꿇고 대왕대비 자리 앞에 올렸다. 음악이 연주되자 음식상을 올리고 숟가락과 접시를 올렸다. 음악이 연주되자 여집사가 상에게 꽃을 올렸고 여관은 왕비에게 꽃을 올렸다. 여집사가 세자에게 꽃을 올리고, 여집사가 대원군(大院君)에게 꽃을 드리고, 전식(典飾)은 부대부인에게 꽃을 드렸다. 그리고 좌우 명부와 종친, 의빈, 척신, 진찬소 당상과 낭청에게 꽃을 나누어 주었다. 상이 무릎을 꿇고 대왕대비 전하에게 첫 번째 잔을 올리고 몇 가지 찬과 치사(致詞)를 올리자, 여집사가 치사를 받들고 북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읽자 전문(箋文)을 펼쳐 들고 여집사가 전안(箋案) 남쪽에 나가 북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읽었다. 다 읽자 음악이 연주되고 대왕대비 전하가 잔을 들었다. 상식(尙食)이 빈 잔을 받들었다. 상궁이 선교(宣敎)하기를, "잔을 드는 때를 전하와 같이 하소서." 하였다. 음악이 연주되자 염수(鹽水)와 소선탕(小膳湯), 대선탕(大膳湯), 만두를 올렸다. 음악이 멎자 왕비가 무릎을 꿇고 대왕대비 전하에게 두 번째 잔을 올리고 몇 가지 찬과 치사를 올렸다. 여관이 치사를 받들고 북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읽었다. 다 읽자 음악이 연주되고 대왕대비 전하가 잔을 들었다. 상식이 빈 잔을 받자 상궁이 선교하기를, "잔을 드는 때를 왕비와 같이 하소서." 하였다. 음악이 연주되자 상식이 대왕대비 전하에게 차를 드렸다. 음악이 멎자 세자가 무릎을 꿇고 대왕대비 전하에게 세 번째 잔을 올리고 몇 가지 찬과 치사를 올렸다. 여집사가 치사를 들고 북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읽자 전문을 펼쳐 들고 여집사가 전안 남쪽에 나가 꿇어앉아 읽었다. 다 읽자 음악이 연주되고 대왕대비 전하가 잔을 들었다. 상식이 빈 잔을 받자 상궁이 선교하기를, "잔을 드는 때를 세자와 같이 하소서." 하였다. 음악이 연주되고 여집사가 휘건을 받들어 상 앞에 올렸고, 여관이 휘건을 받들어 왕비 앞에 올렸으며, 여집사가 휘건을 받들어 세자 앞에 올렸다. 여집사가 음식상을 상 앞에 올렸고, 여관이 음식상을 왕비 앞에 올렸으며, 여집사가 음식상을 세자 앞에 올렸다. 음악이 연주되고 상과 왕비, 세자 이하가 세 번 머리를 조아리며 만세를 부르고 절차대로 네 번 절하는 예를 거행하였다. 음악이 연주되고 여집사가 휘건을 대원군과 부대부인 앞에 펼쳐 드리고 음식상을 놓고 숟가락과 접시를 놓았고, 전선(典膳)이 좌우 명부와 종친, 의빈, 척신, 진찬소 당상과 낭청에게 음식상을 차렸다. 음악이 연주되고 여집사가 술을 따라 대왕대비에게 올렸다. 대왕대비 전하는 그것을 받아서 상식에게 주었고 상식이 상에게 전하니 상이 잔을 받아 마셨다. 여집사가 몇 가지 찬과 탕, 만두, 차, 별행과(別行果)를 임금에게 올리자 여관(女官)이 왕비 앞에 나아가서 모두 위의 의식절차 대로 하였다. 여집사가 세자 앞에 올리는 것도 모두 위의 의식절차와 같이 하였다. 여집사가 대원군, 부대부인, 좌우 명부, 종친, 의빈, 척신, 진찬소 당상과 낭청에게 술잔을 올렸다. 음악이 울리자, 상식이 대왕대비 전하의 음식상과 휘건을 물렸고, 여집사가 상의 음식상과 휘건을 물렸으며, 여관이 왕비의 음식상과 휘건을 물렸고, 여집사가 세자의 음식상과 휘건을 물렸다. 이를 마치자 여집사가 대원군, 부대부인, 좌우 명부, 종친), 의빈, 척신, 진찬소 당상과 낭청의 음식상을 물렸다. 이를 마치자 상과 왕비, 세자에게 제자리로 갈 것을 청하였으며 또 대원군, 부대부인, 좌우 명부, 종친, 의빈, 척신, 진찬소 당상과 낭청에게도 절하는 자리에 나가 네 번 절할 것을 청하였다. 상궁이 탑전(榻前)에 나가서 꿇어앉아 예식이 끝났다고 아뢰었다. 대왕대비 전하가 자리에서 내려와 대차에 들어가고 여집사들이 치사함(致詞函)과 전문함(箋文函)을 들고 순서대로 꿇어앉아 임금 앞에 올리니 상이 그것을 받고는 공손히 받들고서 들어가라고 명하였다. 여관들이 치사함을 들고 꿇어앉아 왕비 앞에 올리기를 모두 위의 의식절차대로 하였다. 여집사들이 치사함과 전문함을 들고 순서대로 꿇어앉아 세자 앞에 올리기를 모두 위의 의식절차대로 하였다.】


  • 【원본】 18책 14권 39장 B면【국편영인본】 1책 564면
  • 【분류】
    왕실-종친(宗親) / 왕실-비빈(妃嬪) / 왕실-의식(儀式) / 예술-음악(音樂) / 어문학-문학(文學) / 왕실-궁관(宮官)

初六日。 行進饌于通明殿 【上具翼善冠·袞龍袍, 入小次; 王世子具雙童䯻·空頂幘·袞龍袍, 入小次; 王妃加首飾、具翟衣, 入小次; 大王大妃殿加首飾、具翟衣, 入大次。 時至, 女執事請王世子, 出次, 入詣拜位, 北向立; 女官請王妃, 出次, 入詣拜位, 北向立; 女執事請上出次, 入詣拜位, 北向立; 尙儀請大王大妃殿, 出次。 樂作, 尙宮前導陞座, 上及王妃、王世子行四拜禮。大院君、府大夫人行四拜禮, 左右命婦及宗親、儀賓、戚臣、進饌所堂·郞行四拜。 禮訖, 女執事奉揮巾函, 進于上前, 上受函, 還授女執事。 尙食傳捧, 跪進于大王大妃座前。 樂作, 進饌案, 進匙楪。 樂作, 女執事進花于上, 女官進花于王妃, 女執事進花于王世子, 女執事呈花于大院君, 典飾呈花于府大夫人。 頒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進饌所堂·郞花。 上跪進大王大妃殿第一爵, 進味數致詞, 女執事奉致詞, 北向跪讀展箋。 女執事進當箋案南, 北向跪讀。 訖, 樂作, 大王大妃殿擧爵。尙食受虛爵, 尙宮宣敎曰: "稱觴之辰, 與殿下同之。" 樂作, 進鹽水及小膳湯、大膳湯, 饅頭。樂止, 王妃跪進大王大妃殿, 第二爵進味數致詞。女官奉致詞, 北向跪讀。 訖, 樂作, 大王大妃殿擧爵。 尙食受虛爵, 尙宮宣敎曰: "稱觴之辰, 與王妃同之。" 樂作, 尙食進茶于大王大妃殿。 樂止, 王世子跪進大王大妃殿第三爵, 進味數致詞。 女執事奉致詞, 北向跪讀展箋。 女執事進當箋案南, 北向跪讀。 訖, 樂作, 大王大妃殿擧爵。 尙食受虛爵, 尙宮宣敎曰: "稱觴之辰, 與王世子同之。" 樂作, 女執事捧揮巾, 進上前;女官捧揮巾, 進王妃前; 女執事捧揮巾, 進王世子前。 女執事進饌案于上前; 女官進饌案于王妃前; 女執事進饌案于王世子前。 樂作, 上及王妃、王世子以下, 三叩頭山呼行四拜禮如儀。 樂作, 女執事展揮巾于大院君、府大夫人前, 設饌卓、匙楪, 典膳宣左右命婦及宗親、儀賓、戚臣、進饌所堂·郞饌卓。 樂作, 女執事酌酒, 進于大王大妃殿, 大王大妃殿受之以授尙食, 尙食傳于上, 上受爵擧飮。 女執事進味數及湯饅頭茶, 別行果于上, 訖, 女官進于王妃前, 竝如上儀。 女執事進于王世子前, 竝如上儀。 女執事行酒于大院君、府大夫人、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進饌所堂·郞。 樂作, 尙食退大王大妃殿饌案及揮巾, 女執事退上饌案及揮巾, 女官退王妃饌案及揮巾, 女執事退王世子饌案及揮巾訖。 女執事撤大院君、府大夫人、又請大院君、府大夫人、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進饌所堂·郞就拜位, 竝行四拜禮。 尙宮進榻前, 跪啓禮畢。 大王大妃殿降座, 入大次, 女執事奉致詞箋文函, 以次跪進于上前, 上受之, 命敬陪以入。 女官奉致詞函, 跪進于王妃前, 竝如上儀。 女執事奉致詞箋文函, 以次跪進于王世子前, 竝如上儀。】


  • 【원본】 18책 14권 39장 B면【국편영인본】 1책 564면
  • 【분류】
    왕실-종친(宗親) / 왕실-비빈(妃嬪) / 왕실-의식(儀式) / 예술-음악(音樂) / 어문학-문학(文學) / 왕실-궁관(宮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