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10월 20일 을사 1번째기사 1866년 청 동치(同治) 5년

출정했던 군사들에게 호궤하고 시상하다

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 전투에 나갔던 군사들에게 호궤(犒饋)하고 이어 상을 베풀었다.

하교하기를,

"선전관(宣傳官)들은 각 장수들과 군사들이 있는 곳에 각각 나누어 나가서 위문하라."

하였다. 또 하교하기를,

"승지(承旨)는 자원하여 전투에 나갔던 사람들을 위문해 주어라."

하였다. 또 하교하기를,

"이번에 전투에 나갈 때 자원하여 나간 보부(褓負)들의 공이 많다고 하니, 두목들에게 다같이 체가(帖加)하라."

하였다. 또 하교하기를,

"문수산성(文殊山城)정족산성(鼎足山城)에서 싸운 군사들 중에 자원하여 나간 자에게는 집을 하사하며, 향군의 포수(砲手)들은 다같이 각 해당 고을에서 잡역(雜役)을 면제해주게 하라. 자원하여 전투에 나간 반민(泮民)의 두목과 3명의 소임(所任)에게 다같이 체가하라."

하였다. 또 하교하기를,

"강화도(江華島)에 서양 오랑캐들이 침입한 것을 오히려 차마 말할 수 있겠는가? 해사(廨舍)들이 모두 불에 타 없어지고 조그마한 비축마저 모두 약탈당하여 관청이나 개인을 막론하고 눈에 보이는 것은 슬프고 처참한 것뿐이니, 한바탕 큰 액운을 겪은 것이다. 그리고 목숨을 잃은 백성들이나 한 몸을 바친 군사들은 첫째도 나라를 위하여 죽었고 둘째도 나라를 위하여 죽은 것이다. 오직 나라가 있는 줄만 알았지 자기 몸은 생각할 줄 몰랐으니, 떳떳한 양심을 다같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 충성스럽고 의로운 혼령들이 의지할 곳 없이 방황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매우 측은하니, 어떻게 위로해야 하겠는가? 통진 부사(通津府使)에게 제단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내주도록 함으로써 살아 있는 사람이나 죽은 사람이나 다같이 정성스럽게 돌봐주는 뜻을 보이게 하라."

하였다. 이어 시임 대신(時任大臣)과 원임 대신(原任大臣), 의정부(議政府)의 당상(堂上官), 순무사(巡撫使)를 인견(引見)하였다. 하교하기를,

"한 달 남짓이나 진을 치고 있으며 별 탈 없이 오고갔는가? 바람과 이슬을 무릅쓰고, 한데서 먹고 잔 뒤에, 군졸들도 또한 병을 앓지는 않았는가?"

하니, 순무사 이경하(李景夏)가 아뢰기를,

"탈 없이 오갔으며, 군병들도 병 없이 돌아왔습니다."

하였다.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김좌근(金左根)이 아뢰기를,

"서양 배들은 돛을 돌려 퇴각했고 관군(官軍)도 방금 철수하여 위아래가 비로소 안정되었으니, 얼마나 다행한 일입니까? 그러나 한 때일수록 위태로운 때를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비단 이 때에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모든 방어하는 대책을 힘을 다하여 강구하여야 소홀함이 없을 것입니다. 이제부터는 모든 병영에서 필요한 물품을 잘 수리하고 마련하여 대비해 놓고 군사 대오를 단속하여 때가 닥쳐 군색한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하였다. 또 아뢰기를,

"성인(聖人)은 반드시 말하기를, ‘비용을 절약하여 백성들을 사랑하라.’고 하였습니다. 비용을 절약하지 않으면 세금을 무겁게 거두어들이게 되며, 무겁게 거두어들이면 백성들을 해치게 되고, 백성들을 해치게 되면 나라의 근본이 든든하지 못하게 되니 나라가 장차 어떻게 할 도리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 만일 비용을 절약하여 백성들을 사랑한다면 군영(軍營)에서 일상 쓰는 물품들에 대해 어찌 부족하게 될까 걱정하겠습니까?"

하였다. 하교하기를,

"진달한 내용이 매우 절실하니, 응당 명심하겠다."

하였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이경재(李景在)가 아뢰기를,

"서양 배가 퇴각하자마자 마침 우레가 치는 이재가 뒤따라 나타났으니, 두려워하면서 자신을 반성하는 일을 조금도 소홀히 할 수 없습니다. 외적을 물리치는 것은 부차적인 문제이고, 안을 잘 닦는 것은 근본입니다. 안은 닦는 것의 근본은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데 있으며,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근본은 비용을 절약하는 데 있습니다. 생각건대 병은 조금 나아졌다고 안심하는 데에서 덧나고 전쟁은 승리했다고 자만하는 데에서 버릇이 되니, 이것은 세상에서 가장 크게 경계하는 일입니다. 바라건대 전하께서는 더욱더 경계하고 반성하소서. 재앙을 돌려 복으로 만들고 위험을 편안하도록 전환시키는 것이 진실로 여기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진달한 것이 절실하니, 응당 깊이 명심할 것이다."

하였다. 좌의정(左議政) 김병학(金炳學)이 아뢰기를,

"신이 외람되게 삼사(三事)에 있은 지 지금까지 이미 몇 년이 되었습니다. 요즘 서양 적들이 소요를 일으킨 것은 바로 신이 의정부(議政府)에서 일을 보기 시작한 초기부터인데 지금까지도 시종 그러합니다. 위에서는 수고하고 아래에서는 백성들이 고향을 떠나 흩어지고 있는데도 신은 위로는 전하의 근심을 풀어주지 못하고 아래로는 백성들의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하였습니다. 한 달이 넘도록 의정부에 앉아 있으면서 한 마디의 말이나, 한 가지의 일도 도움을 준 것이 없습니다. 이것만도 벌써 만 번 죽어도 그 죄를 속죄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지금 적들이 물러간 뒤에 뚫어진 배를 수리하고 무기들을 정리하는 것은 신과 같이 변변치 못한 사람이 감당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또 하늘이 경계를 보인 것은 그 허물이 보좌하는 정승에게 있습니다. 빨리 신을 물리치시기를 바랍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지금 이 사직하는 말은 너무 지나치다. 다시는 이 일을 가지고 말하지 말라."

하였다. 김병학이 아뢰기를,

"강화도(江華島)는 왕도의 배경(陪京)인데 약탈을 겪은 뒤에 남은 백성들이 안정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령(守令)에게 분부하여 안착하여 모여 살도록 잘 위문하는 데 관계되는 방도를 마음을 다하여 계획하여 조치하도록 하되, 편의대로 할 수 없는 것이 있으면 낱낱이 장문(狀聞)하여 실제의 성과를 거두도록 하는 것이 진실로 급선무입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묘당(廟堂)에서 해당 수령에게 관문(關問)하여 좋은 쪽으로 계획하여 조처하게 하라."

하였다. 김병학이 아뢰기를,

"군사와 말이 정예하고 강하며 무기들이 견고하고 날카로운 것은 외적을 물리치기는 데 급선무가 아닌 것이 없습니다. 안을 닦는 요점은 하늘의 이치를 밝히고 사람의 마음을 바르게 하며 정학(正學)을 숭상하고 사설(邪說)을 물리치는 것인데, 또한 오직 전하가 학문을 부지런히 하는가 안 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생각건대 전하께서 날마다 경연(經筵)을 열고 신료들을 자주 만나 정사의 잘잘못을 토론한다면 하늘의 이치는 저절로 밝아지고 사람의 마음은 스스로 바르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서양의 좀도적들도 감히 다시는 그들의 흉악함을 멋대로 부리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이른바 안을 닦아 외적을 물리친다는 것입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진달한 것이 매우 절실하니 응당 깊이 명심할 것이다."

하였다. 우의정(右議政) 유후조(柳厚祚)는 아뢰기를,

"서양 배가 멀리 도망친 것은 실로 지금에 있어서는 다행이지만 적들의 실정은 예측할 수 없어서 후환이 없으리라고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사변에 대처하기 위한 준비를 조금 늦출 수 없는 만큼, 방어를 엄격히 하고 군사들을 뽑으며 무기를 수리하고 군량을 저축하여야 할 것입니다. 심지어 사설(邪說)을 다스리는 방도는 그 근본을 제거하지 못한다면 외적들이 침입해 올 경우 자석처럼 서로 끌어당길 것이므로 더욱더 엄격히 신칙하여 수색하고 체포해야 합니다. 이어서 벼슬에서 물러나게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진달한 것이 절실하니, 응당 깊이 명심할 것이다. 그러나 사직한다는 말에 이르러서는 실로 이러한 때에 말할 일이 아니다."

하였다. 이어서 하교하기를,

"순무영(巡撫營)을 파하도록 하라."

하였다. 순무영(巡撫營)에서 군량을 도운 선비들과 백성들에 대하여 기록한 문건을 올렸다.

【유학(幼學) 이중윤(李重允)이 소 3척(隻), 이해조(李海祚)가 돈 1만 냥(兩), 이용하(李容夏)가 소 2척, 이석주(李錫柱)가 소 1척과 짚 2파(把), 민승진(閔升鎭)이 소 1척, 소임(所任) 탁성종(卓聖宗)이 땔나무 4태(駄) 3부(負)와 말먹이 콩 1태(駄)와 마초(馬草) 1태, 한량(閑良) 조인갑(趙仁甲)이 땔나무 300속(束), 유학(幼學) 민덕용(閔德容)이 썬담배 2두(斗)와 짚 20파(把)와 홍시 12첩(貼)과 곶감 1첩과 삶은 밤 1두(斗)와 소 1마리, 소임 김영업(金永業)이 땔나무 7태와 말먹이 콩 25속과 짚 14파, 고잠위(高潛位)가 땔나무 8태와 말먹이 콩 1태와 마초 1태와 남초(南草) 8파, 출신(出身) 박인영(朴麟英)이 백미(白米) 1석(石)과 소 2척과 짚 5파, 유학(幼學) 김사훈(金思薰)이 소 1마리, 정대주(丁大柱)가 말먹이 콩 3두와 짚 2파, 김정현(金定鉉)이 말먹이 콩 3두와 짚 5파, 심능태(沈能泰)가 소 5척과 짚 5파, 이지영(李枝榮)이 소 3척, 이상봉(李相鳳)이 소 1척, 장영규(張永奎)가 생밤 15두와 짚 5파, 장한운(張漢雲)이 쌀 3두와 장(醬) 1독과 땔나무 1태, 김순쇠(金順釗)가 짚 3파, 최흥상(崔興商)이 짚 3파, 김용대(金用大)가 짚 17파와 땔나무 5태와 썬 담배 3석과 콩 3속, 이한형(李漢衡)이 백미 2석과 소 1척, 한상혁(韓橡爀)이 말먹이 2석과 말먹이 콩 15속과 짚 10파, 김호복(金好福)이 땔나무 200속과 곡초(穀草) 100속과 푸른콩 70속, 백남승(白南升)이 소 2척, 백남항(白南恒)이 소 2척, 정중검(鄭重儉)이 관솔 3,000자루〔柄〕과 민어 10마리〔尾〕, 김윤칠(金允七)이 관솔 2,000자루, 이복현(李福賢)이 백하 젓〔白鰕醢〕 5옹(甕)과 토장(土醬) 1옹, 이승준(李承準)이 갑옷과 투구 1건(件), 홍종연(洪鍾淵)이 돈 10냥, 김용구(金龍九)와 김홍구(金鴻九)가 각각 쌀 20석씩, 김명구(金命九)가 쌀 5석, 노희호(盧羲鎬)가 돈 200냥, 정용혁(鄭龍爀)이 콩 5석, 김순주(金舜柱)가 돈 100냥, 이석범(李錫範)이 돈 100냥, 임봉장(林鳳章)이 소 2척, 이의상(李義祥)이 굴젓 3옹과 백하젓 반옹과 조기 3속(束)과 육장 2옹과 청주 10분(盆)과 삶은 고기 10근(斤)과 짚 10근, 현제승(玄濟昇)이 돈 500냥과 쌀 10석, 김기석(金基碩)이 쌀 1석, 이성선(李性善)이 소 5척, 현탁(玄鐸)이 돈 100냥, 김인성(金麟性)이 정육(正肉) 300근과 절편 2,400개(介)와 탕(湯) 3옹과 청주 30분, 하정일(河靖一)이 황소 2척, 종친부(宗親府)의 서리(書吏) 등이 황소 3척, 권두(權頭) 등이 소 1척, 사령(使令) 등이 소 2척, 정덕환(鄭德煥)이 백미 5석, 훈련 도감(訓鍊都監)의 고직(庫直) 김도익(金道瀷)이 백미 10석, 의정부(議政府) 서리 등이 백미 10석과 황두(黃豆) 10석, 사령 등이 황두 10석, 안응환(安膺煥)이 소 2척, 장순규(張淳奎)가 백미 30석, 김진유(金鎭裕)가 소 10척, 이복현(李福賢)이 백미 20석, 권영두(權永斗)가 소 1척과 짚 6파, 신재학(申在學)이 소 4척과 간장(艮醬) 3분과 짚 50파, 봉성리(奉城里) 백성들이 흰 절편〔白餠〕 34기(器)와 소 1척과 장(醬) 70완(椀), 차윤행(車允行)이 돈 100냥, 김중효(金重孝)가 쌀 10석, 조인식(曺仁植)이 돈 100냥, 박계환(朴啓煥)이 돈 100냥, 천의현(千義賢)이 돈 300냥, 이석엽(李碩燁)이 돈 300냥, 이병제(李秉悌)가 돈 200냥, 이흡(李洽)이 소 1척과 침시(浸枾) 3접과 홍시 1접, 박명각(朴命珏)이 땔나무 820동(同), 전류리(顚流里) 백성들이 쌀 3석과 마초와 콩 4태, 등산리(登山里) 백성들이 말먹이 마른 짚 4석과 청절태(靑絶太)콩 2석, 이익수(李益秀)가 땔나무 1태와 짚 2파, 김홍윤(金弘潤)이 땔나무 300동, 서명동(西明洞) 백성들이 말먹이 푸른콩 161속과 땔나무 170속과 짚 5파, 김명손(金命孫)이 땔나무 3태, 염진옥(廉振玉)이 땔나무 248동, 이용한(李龍漢)이 쌀 1석과 소 1척, 이삼현(李參鉉)이 소 1척, 안기선(安起善)이 땔나무 1태, 유치종(兪致宗)이 땔나무 1태, 김판손(金判孫)이 땔나무 104동, 김재석(金才石)이 땔나무 84속, 한재두(韓在斗)가 소금 6석과 박 2개와 짚 3파, 심규지(沈奎之)가 땔나무 22동, 조한영(趙漢永)이 땔나무 30속, 양인영(梁仁榮)이 땔나무 1태, 박연쇠(朴連釗)가 땔나무 1태, 오응주(吳應周)가 땔나무 1태, 이재택(李在澤)이 소 1척, 최호대(崔虎大)가 소 1척, 이해두(李海斗)가 소 1척과 돼지 2구(口), 김학준(金學準)이 돈 200냥, 김완조(金完祖)가 돈 200냥 김우정(金禹鼎)이 돈 100냥, 유재소(劉在韶)가 쌀 5석, 김진한(金鎭漢)이 돈 100냥, 김응상(金應相)이 소금 5석, 홍장현(洪璋炫)이 소 1척과 절편 1,000개, 김귀성(金貴星)과 이예숭(李禮崇)이 각각 소 1척씩, 정헌교(鄭憲敎)가 쌀 5석, 김재수(金在洙)가 쌀 3석과 콩 2석, 천상호(千相鎬)가 돈 50냥, 사간원(司諫院) 서리 등이 쌀 5석, 문의설(文義說)이 쌀 10석, 호리(戶吏) 김두식(金斗植)이 쌀 5석, 최석우(崔錫祐)가 쌀 5석, 통진(通津)의 권봉헌(權鳳憲)이 술 5옹과 소 2척과 홍시 4접과 지게미와 쌀겨 4석, 조한영(趙漢永)이 재차 소 1척과 말먹이 콩 10속, 이상석(李相錫)과 이규영(李圭永)이 각각 소 1척씩, 민용식(閔龍植)이 땔나무 70속, 김상욱(金相郁)이 땔나무 70속, 이종헌(李宗憲)이 땔나무 70속, 양존리(陽存里) 백성들이 땔나무 180속과 마초 20속, 대파리(大坡里) 백성들이 땔나무 200속, 장한운(張漢雲)이 지게미와 쌀겨 6석과 땔나무 1태, 이길원(李吉遠)이 민어 12미와 조기 5속과 준치 2속 3미, 이기원(李紀遠)이 민어 12미와 조기 5속과 준치 2속 3미, 최광윤(崔光潤)이 땔나무 3태, 최우영(崔遇永) 침채(沈菜) 10통(桶)과 콩 3태, 김득연(金得淵)이 말먹이 콩 4속과 지게미와 쌀겨 3두, 이돌이(李乭伊)가 말먹이 콩 22속, 이상석(李相錫)이 소 1척과 짚 17파, 이규영(李圭永)이 소 1척, 사초리(沙草里) 백성들이 탁주 19분, 하은동(霞隱洞) 백성들이 탁주 24분, 민희복(閔羲復) 콩 2태, 황진원(黃進源)이 침시(沈枾) 1,000개와 굴젓 1분, 박한영(朴漢英) 쌀 10석, 백지연(白之延)이 쌀 3석과 토장 3분, 이응수(李膺秀)가 32명의 장수와 군사들의 군량을 전적으로 담당하였으며, 오전(五廛) 시민(市民)들이 돈 1,000냥, 염재진(廉在鎭)이 소 2척, 정재흔(鄭在昕)이 돈 100냥, 이준수(李俊壽)와 이정우(李鼎禹)가 돈 100냥, 강태현(姜泰鉉)이 쌀 5석, 이인석(李仁石)이 쌀 5석, 승정원(承政院) 서리들이 소 2척, 사령들이 소 2척, 선혜청(宣惠廳) 서리 오도열(吳道烈) 등이 쌀 20석과 황두 20석, 고지기〔庫直〕 고진대(高鎭垈) 등이 쌀 20석과 황두 20석, 사령 윤창엽(尹昌燁) 등이 쌀 10석과 황두 10석, 수진궁 장무(壽進宮掌務) 이승업(李承業)이 돈 200냥, 마서리동(麻西里洞) 백성들이 땔나무 59속과 푸른 콩 20속과 지게미와 쌀겨 2석, 절과리(折過里)에서 탁주 29동이, 권병두(權炳斗)가 말먹이 콩 1태, 권병헌(權秉憲)이 말먹이 콩 1태, 박치서(朴致西)가 말먹이 콩 1태, 박태삼(朴太三)이 말먹이 콩 1태, 이준영(李俊永)이 말먹이 콩 1부와 담배 4파, 민희달(閔羲達)과 임윤득(林允得)이 껍질 콩〔及太〕 10속과 마초 6속과 지게미와 쌀겨 1석, 당포동(唐浦洞) 백성들이 말먹이 콩 1석과 지게미와 쌀겨 3석과 땔나무 10태, 진계환(秦繼煥), 강화순(姜和淳), 차윤행(車允行)이 각각 돈 100냥씩, 손형수(孫瀅洙)가 소 2척과 민어 10미(尾), 이종철(李宗哲)이 간장 1옹과 백하젓 1분, 백낙선(白樂善)이 돈 100냥과 쌀 5석과 소 2척, 진계환(秦繼煥), 김경수(金景遂), 강화순(姜和淳)이 각각 돈 100냥씩, 박민호(朴敏浩)가 돈 100냥, 박대영(朴大永)이 돈 300냥, 백목전(白木廛) 시민(市民)이 돈 2,000냥, 유연철(劉淵哲)이 돈 100냥, 홍취원(洪就源)이 쌀 5석과 황두 2석, 규장각 사령(奎章閣使令)들이 소 1척, 의금부 나장(義禁府羅將)들이 황두 10석, 김득헌(金得憲)이 쌀 5석과 돈 100냥, 최치두(崔致斗)가 돈 100냥, 이승간(李承幹)이 소 10척, 이운상(李雲祥)이 소 4척, 이소영(李紹榮)이 북어(北魚) 20쾌(快)와 진장(眞醬) 1분 10완, 소기름으로 만든 초〔肉燭〕 500병(柄), 동을산리(冬乙山里)에서 탁주 11분, 천암회(千巖回)가 땔나무 700동, 심능예(沈能藝)가 침시 600개와 소금 12두, 이동성(李東成)이 쌀 2석과 소 1척, 윤무성(尹茂性)이 황두 10석, 송응준(宋應駿)이 황두 10석, 선혜청 서리(宣惠廳胥吏) 윤의석(尹義錫)이 황두 10석, 병조(兵曹) 서리 석찬영(石燦永)이 쌀 5석, 윤영삼(尹營參)이 소 1척과 당미(唐米) 1석과 짚 5파, 정계성(鄭繼聖)이 쌀 5석, 윤영호(尹營浩)가 소 1척과 좁쌀 1석과 짚 10파, 김인풍(金仁豐)이 돈 100냥, 전기홍(田基弘)이 돈 20냥, 온수동(溫水洞) 백성들이 소 1척과 짚 54파, 고계철(高啓哲)이 송아지 1마리, 양충환(梁忠煥)이 소 1마리와 짚 100근과 소기름으로 만든 초 2,000병과 배 200개, 김영효(金永孝)가 소 1척과 짚 20근, 이군옥(李群玉)이 조기 5속과 어란(魚卵) 5부(五部), 박효진(朴孝鎭)이 조기 2속과 우유(牛油) 1분, 유진여(劉振汝)가 가는 젓〔細醢〕 1분이, 강재일(姜在逸)이 소 1척과 탁주 1옹, 송아리(松牙里)에서 지게미와 쌀겨 10석과 콩 10두, 늑동리(勒洞里)에서 콩 2석과 지게미와 쌀겨 4석, 총융청(總戎廳)의 백남승(白南升)이 재차 소 3척, 이복현(李福賢)이 재차 백하젓 3옹, 어물전(魚物廛)의 시민(市民)이 민어 100미와 미역 100동, 전 수문장(守門將) 이제현(李濟鉉)이 쌀 30석과 소 2척, 전 오위장(五衛將) 박시전(朴時銓)과 유학(幼學) 권기주(權基周)가 쌀 100석을 바쳤다.】


  • 【원본】 7책 3권 82장 A면【국편영인본】 1책 245면
  • 【분류】
    외교-프랑스[法] / 재정-역(役) / 왕실-사급(賜給) / 군사-휼병(恤兵) / 정론-간쟁(諫諍) / 군사-전쟁(戰爭) / 왕실-국왕(國王) / 군사-병참(兵站)

二十日。 御春塘臺, 犒饋出征軍兵, 仍頒賞。 敎曰: "宣傳官分詣各將卒處勞問。" 又敎曰: "承旨勞問于自願赴陣人。" 又敎曰: "今番出征時, 自願赴陣負商輩, 效勞旣多云。 頭目竝帖加。" 又敎曰: "文殊山城接戰、鼎足山城接戰軍兵, 從自願賜第。 鄕軍砲手, 竝令各其邑除雜役。 自願赴戰泮民頭目三所任, 竝帖加。" 又敎曰: "沁都洋賊之擾, 尙忍言哉? 廨舍竝入灰燼, 甁罌擧被搶掠, 無論公與私, 滿目愁慘, 卽一刦運耳。 且民人之傷命, 軍卒之捐軀, 一則死於王事也, 二則死於王事也。 秖知有國, 不知有身, 可見秉彝之所同得也。 念彼忠魂義魄, 彷徨躑躅, 無所依泊, 憫惻之極, 曷以爲懷? 其令通津府使, 設壇而酹之, 以示生死眷眷之意。" 仍引見時原任大臣、政府堂上、巡撫使。 敎曰: "跨朔結陣, 無恙往來? 風餐露宿之餘, 軍卒亦無疾病乎?" 巡撫使李景夏曰: "無恙往來, 而軍兵亦無病還來矣。" 領敦寧金左根曰: "洋舶回帆, 官軍方撤, 上下始安, 何幸何幸? 第安不忘危, 不但此時爲然。 備禦之策, 專意講究, 可無疎虞。 自今凡諸兵家所需, 繕治儲待。 團束軍伍, 宜無臨時窘跲矣。" 又曰: "聖人必曰: ‘節用而愛民。’ 不節則重斂, 重斂則傷民, 傷民則本不固, 國將奈何? 苟爲節用而愛民, 營壘之日用, 何患不足哉?" 敎曰: "所陳切實, 當服膺矣。" 判府事李景在曰: "洋舶纔退, 雷異適發, 恐懼修省, 不可少忽也。 夫外攘末也, 內修本也。 內修之本, 在於安民; 安民之本, 在於節用。 第念病加於少愈, 戰狃於少勝, 天下之大戒也。 伏願殿下, 益加儆省, 轉災回危, 亶在於是矣。" 敎曰: "所陳切實, 當服膺矣。" 左議政金炳學曰: "臣之冒據三事, 已數年于玆。 邇來洋賊之滋據, 直從臣中書視務之初, 迄今爲終始矣。 聖主勤勞於上, 生民蕩析於下, 而臣無以仰紓主憂, 俯鎭民心。 閱月府坐, 無一言一事之所裨益。 此已爲萬殞難贖。 而今於寇退之後, 補漏船整欹器, 非如臣不肖所可擔夯。 且靑臺告警, 咎在輔相。 伏願亟賜斥退焉。" 敎曰: "今此辭免, 萬萬過當。 更勿以此事言之。" 炳學曰: "江華王都陪京。 刦後餘民, 罔有定極。 分付守臣, 安集拊循之方, 悉心措劃。 如有不可便宜從事者, 這這狀聞, 以收實效, 誠急務也。" 敎曰: "自廟堂關問於該守臣, 從長措劃。" 炳學曰: "士馬之精强, 兵甲之堅利, 未始非外攘之急務。 若夫內修之要, 明天理正人心, 崇正學闢邪說, 而亦惟在於聖學之勤與不勤。 惟殿下日開講席, 頻接臣僚, 討論得失, 天理自明, 人心自正, 西洋小寇, 不敢復肆其凶。 此之謂內修外攘也。" 敎曰: "所陳切實, 當服膺矣。" 右議政柳厚祚曰: "洋舶遠遁, 實爲目前之幸, 而賊情叵測, 難保其無後慮, 陰雨之備, 不容少緩。 嚴防守簡軍實, 繕器械, 峙糇糧而已。 至於治邪之道, 若不鋤治其本, 則外寇之至, 其將磁鐵而相引。 更加嚴飭搜捕焉。" 因乞解免。 敎曰: "所陳切實, 當服膺。 而至於辭免, 實非此時可言之事也。" 仍敎曰: "巡撫營撤罷。" 巡撫營士民助餉秩: 【幼學李重允牛三隻, 李海祚一萬兩, 李容夏牛二隻, 李錫柱牛一隻、草二把, 閔升鎭牛一隻, 所任卓聖宗柴四駄三負、馬太一駄、馬草一駄, 閑良趙仁甲柴三百束, 幼學閔德容截草二斗、草二十把、紅枾十二貼、乾枾一貼、熟栗一斗、牛一隻, 所任金永業柴七駄、馬太二十五束、草十四把, 高潛位柴八駄、馬太一駄、馬草一駄、南草八把, 出身朴麟英白米一石、牛二隻、草五把, 幼學金思薰牛一隻, 丁大柱馬太三斗、草二把, 金定鉉馬太三斗、草五把, 沈能泰牛五隻、草五把, 李枝榮牛三隻, 李相鳳牛一隻, 張永奎生栗十五斗、草五把, 張漢雲米三斗、醬一壺、柴一駄, 金順釗草三把, 崔興商草三把, 金用大草十七把、柴五駄、折草三石、太三束, 李漢衡白米二石、牛一隻, 韓橡爀馬料二石、馬太十五束、草十把, 金好福柴二百束、穀草一百束、靑太七十束, 白南升牛二隻, 白南恒牛二隻, 鄭重儉松炬三千柄、民魚十尾, 金允七松炬二千柄, 李福賢白鰕鹽五甕、土醬一甕, 李承準甲冑一件, 洪鍾淵十兩, 金龍九、金鴻九各米二十石, 金命九米五石, 盧羲鎬二百兩, 鄭龍爀黃豆五石, 金舜柱一百兩, 李錫範一百兩, 林鳳章牛二隻, 李義祥石花鹽三甕、白鰕鹽半甕、石魚三束、醬肉二甕、淸酒十益、熟肉十斤、草十斤, 玄濟昇五百兩、米十石, 金基碩米一石, 李性善牛五隻, 玄鐸百兩, 金麟性正肉三百斤、截餠二千四百介、湯三甕、淸酒三十盆, 河靖一黃牛二隻, 宗親府書吏等黃牛三隻, 權頭等牛一隻, 使令等牛二隻, 鄭德煥白米五石, 訓鍊都監庫直金道瀷白米十石, 政府書吏等白米十石、黃豆十石, 使令等黃豆十石, 安膺煥牛二隻, 張淳奎白米三十石, 金鎭裕牛十隻, 李福賢白米二十石, 權永斗牛一隻、草六把, 申在學牛四隻、艮醬三盆、草五十把, 奉城里人民白餠三十四器、牛一隻、醬七十椀, 車允行一百兩, 金重孝米十石, 曺仁植一百兩, 朴啓煥一百兩, 千義賢三百兩, 李碩燁三百兩, 李秉悌二百兩, 李洽牛一隻、浸枾三貼、紅枾一貼, 朴命珏柴八百二十同, 顚流里民人等米三石、馬草太四駄, 登山里民人等馬料枯草四石、靑絶太二石, 李益秀柴一駄、草二把, 金弘潤柴三百同, 西明洞民人等馬靑太一百六十一束、柴一百七十束、草五把, 金命孫柴三駄, 廉振玉柴二百四十八同, 李龍漢米一石牛一隻, 李參鉉牛一隻, 安起善柴一駄, 兪致宗柴一駄, 金判孫柴一百四同, 金才石柴八十四束, 韓在斗鹽六石、瓢二箇、草三把, 沈奎之柴二十二同, 趙漢永柴三十束, 梁仁榮柴一駄, 朴連釗柴一駄, 吳應周柴一駄, 李在澤牛一隻, 崔虎大牛一隻, 李海斗牛一隻、猪二口, 金學準二百兩, 金完祖二百兩, 金禹鼎一百兩, 劉在韶米五石, 金鎭漢一百兩, 金應相鹽五石, 洪璋炫牛一隻絶餠千箇, 金貴星、李禮崇各牛一隻, 鄭憲敎米五石, 金在洙米三石太二石, 千相鎬五十兩, 諫院書吏等米五石, 文義說米十石, 戶吏金斗植米五石, 崔錫祐米五石, 通津 權鳳憲酒五甕、牛二隻、紅枾四貼、糟糠四石, 趙漢永再次牛一隻、馬太十束, 李相錫、李圭永各牛一隻, 閔龍植柴七十束, 金相郁柴七十束, 李宗憲柴七十束, 陽存里民人等柴一百八十束、馬草二十束, 大坡里民人等柴二百束, 張漢雲糟糠六石、柴一駄, 李吉遠民魚十二尾、石魚五束、眞魚二束三尾, 李紀遠民魚十二尾、石魚五束、眞魚二束三尾, 崔光潤柴三駄, 崔遇永沈菜十桶、太三駄, 金得淵馬太四束、糟糠三斗, 李乭伊馬太二十二束, 李相錫牛一隻、草十七把, 李圭永牛一隻, 沙草里民人等濁酒十九盆, 霞隱洞民人等濁酒二十四盆, 閔羲復太二駄, 黃進源沈枾千箇、石花鹽一盆, 朴漢英米十石, 白之延米三石、土醬三盆, 李膺秀將卒三十二人糧饌全當, 五廛市民千兩, 廉在鎭牛二隻, 鄭在昕一百兩, 李俊壽、李鼎禹百兩, 姜泰鉉米五石, 李仁石米五石, 政院書吏等牛二隻, 使令等牛二隻, 惠吏吳道烈等米二十石、黃豆二十石, 庫直高鎭垈等米二十石、黃豆二十石, 使令尹昌燁等米十石、黃豆十石, 壽進宮掌務李承業二百兩, 麻西里洞民等柴五十九束、靑太二十束、糟糠二石, 折遇里濁酒二十九盆, 權炳斗馬太一駄, 權秉憲馬太一駄, 朴致西馬太一駄, 朴太三馬太一駄, 李俊永馬太一負、南草四把, 閔羲達、林允得皮太十束、馬草六束、糟糠一石, 唐浦洞民等馬太一石、糟糠三石、柴草十駄, 秦繼煥、姜和淳、車允行各一百兩, 孫瀅洙牛二隻、民魚十尾, 李宗哲艮醬一甕、白鰕鹽一盆, 白樂善一百兩、米五石、牛二隻, 秦繼煥、金景遂、姜和淳各一百兩, 朴敏浩一百兩, 朴大永三百兩, 白木廛市民二千兩, 劉淵哲一百兩, 洪就源米五石、黃豆二石, 內閣使令等牛一隻, 禁府羅將等黃豆十石, 金得憲米五石、錢一百兩, 崔致斗一百兩, 李承幹牛十隻, 李雲祥牛四隻, 李紹榮北魚二十快、眞醬一盆十椀、肉燭五百柄, 冬乙山里濁酒十一盆, 千巖回柴七百同, 沈能藝沈枾六百箇、鹽十二斗, 李東成米二石、牛一隻, 尹茂性黃豆十石, 宋應駿黃豆十石, 宣吏尹義錫黃豆十石, 兵吏石燦永米五石, 尹營參牛一隻、唐米一石、草五把, 鄭繼聖米五石, 尹營浩牛一隻、小米一石、草十把, 金仁豐一百兩, 田基弘二十兩, 溫水同民人等牛一隻、草五十四把, 高啓哲犢一隻, 梁忠煥牛一隻、草一百斤、肉燭二千柄、生梨二百箇, 金永孝牛一隻、草二十斤, 李群玉石魚五束、魚卵五部, 朴孝鎭石魚二束、牛油一盆, 劉振汝細鹽一盆, 姜在逸牛一隻濁酒一甕, 松牙里糟糠一石、太十斗, 勒洞里太二石、糟糠四石, 總戎廳白南升再次牛三隻, 李福賢再次白鰕鹽三甕, 魚物廛市民民魚一百尾、甘藿一百同, 前守門將李濟鉉米三十石牛二隻, 前五衛將朴時銓、幼學權基周米一百石。】


  • 【원본】 7책 3권 82장 A면【국편영인본】 1책 245면
  • 【분류】
    외교-프랑스[法] / 재정-역(役) / 왕실-사급(賜給) / 군사-휼병(恤兵) / 정론-간쟁(諫諍) / 군사-전쟁(戰爭) / 왕실-국왕(國王) / 군사-병참(兵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