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고종실록3권, 고종 3년 6월 18일 을사 2번째기사 1866년 청 동치(同治) 5년

전최에서 성과를 보인 수령들에게 시상하다

의정부(議政府)에서 관리들의 근무성적 평가에서 뛰어난 업적을 세운 수령(守令)들을 등급을 나누어 복계(覆啓)하니, 차등 있게 시상하였다.

안악 군수(安岳郡守) 이휘중(李彙重), 창원 부사(昌原府使) 이명석(李明錫), 김해 부사(金海府使) 허전(許傳), 선천 부사(宣川府使) 이남보(李南輔), 선산 부사(善山府使) 김병우(金炳愚), 공주 판관(公州判官) 민치서(閔致序), 김제 군수(金堤郡守) 이건하(李乾夏), 금산 군수(金山郡守) 김병연(金秉淵), 용강 현령(龍岡縣令) 유초환(兪初煥), 진위 현령(振威縣令) 이승겸(李承謙)에게는 모두 새서(璽書)017) 와 표리 내리는 은전을 베풀었다.

장연 현감(長淵縣監) 김성구(金聖求), 아이 첨사(阿耳僉使) 조리석(趙履錫), 혜산 첨사(惠山僉使) 정보원(鄭輔源)에게는 모두 방어사(防禦使)의 경력으로 잡아주도록 하였다. 경주 영장(慶州營將) 구명현(具明鉉)과 남병영 우후(虞候) 김헌조(金憲祖)에게는 모두 변경에서 근무한 이력을 허용하였다. 고창 현감(高敞縣監) 오영운(吳永運), 남해 현감(南海縣監) 홍기석(洪冀錫)은 모두 영장(營將)의 이력을 허용하여 주었다. 단천 부사(端川府使) 유창로(柳昌魯), 보성 군수(寶城郡守) 신석원(申錫源), 옥구 현감(沃溝縣監) 이창호(李昌鎬), 양덕 현감(陽德縣監) 신계(申棨)에게는 모두 특별히 품계를 가자(加資)하고 영장의 이력을 허용하였다.

전라 좌수영(全羅左水營)의 우후(虞候) 홍순학(洪淳學)은 수령(守令)으로 임명해 보냈으며, 충주 목사(忠州牧使) 민우세(閔禹世), 정산 현감(定山縣監) 황지인(黃芝仁), 제원 찰방(濟原察訪) 김영묵(金瑛默), 금정 찰방(金井察訪) 홍기종(洪夔鍾), 유원 첨사(柔遠僉使) 장태익(張泰翼), 백치 첨사(白峙僉使) 이유형(李裕衡), 서평포 만호(西平浦萬戶) 이인철(李仁哲)은 모두 임기가 만료된 후 다시 1년 동안 그 벼슬을 더 맡도록 하였다. 전주 판관(全州判官) 조용재(趙容在), 무주 부사(茂朱府使) 윤성선(尹性善), 순창 군수(淳昌郡守) 김온순(金蘊淳), 신계 현령(新溪縣令) 김갑근(金甲根), 황간 현감(黃磵縣監) 김병헌(金炳憲), 임실 현감(任實縣監) 서증보(徐曾輔)에게는 모두 별천(別薦)의 예를 시행하였다.

함흥 판관(咸興判官) 황종규(黃鍾奎), 청풍 부사(淸風府使) 조진운(趙鎭運), 고양 군수(高陽郡守) 민태호(閔台鎬), 김포 군수(金浦郡守) 정기화(鄭夔和), 청도 군수(淸道郡守) 김석근(金奭根), 영천 군수(榮川郡守) 서광두(徐光斗), 용인 현령(龍仁縣令) 이학재(李鶴在), 양성 현감(陽城縣監) 이민항(李敏恒), 연천 현감(漣川縣監) 유남규(柳南珪), 옥과 현감(玉果縣監) 김도근(金度根), 용안 현감(龍安縣監) 유택동(柳宅東), 의령 현감(宜寧縣監) 서유영(徐有英), 신령 현감(新寧縣監) 윤직의(尹稷儀), 비안 현감(比安縣監) 조명교(趙命敎)는 모두 승진시켜 주었다. 서흥 부사(瑞興府使) 서원보(徐元輔), 영해 부사(寧海府使) 남종학(南鍾鶴), 삭녕 군수(朔寧郡守) 김병훈(金秉薰), 가평 군수(加平郡守) 김진(金瑨), 마전 군수(麻田郡守) 조백승(曺百承), 영평 군수(永平郡守) 이헌경(李憲絅), 낙안 군수(樂安郡守) 유완근(柳完根), 합천 군수(陜川郡守) 이승락(李承洛), 풍기 군수(豐基郡守) 이용하(李龍夏), 창평 현령(昌平縣令) 이종신(李種信), 기장 현감(機張縣監) 장덕오(張德五), 청안 현감(淸安縣監) 장봉규(張鳳逵), 대동 찰방(大同察訪) 진병섭(陳秉燮), 장수 찰방(長水察訪) 김택기(金宅基), 자여 찰방(自如察訪) 정종학(鄭鍾學), 송라 찰방(松羅察訪) 임수동(林秀東), 창락 찰방(昌樂察訪) 장석묵(張錫默), 황산 찰방(黃山察訪) 김경흡(金慶洽), 경양 찰방(景陽察訪) 이태영(李泰永), 벽사 찰방(碧沙察訪) 천우현(千禹鉉), 연원 찰방(連原察訪) 백홍수(白弘洙), 성환 찰방(成歡察訪) 이택(李澤)에게는 모두 아마(兒馬)를 하사하는 은전을 베풀었다.

서북 첨사(西北僉使) 김석희(金錫禧), 안의 첨사(安義僉使) 오영준(吳英俊), 고성 첨사(固城僉使) 오성초(吳聖初), 미조항 첨사(彌助項僉使) 이석현(李錫玹), 서생 첨사(西生僉使) 이면식(李勉植), 덕포 첨사(德浦僉使) 이두현(李斗賢), 풍산 만호(豐山萬戶) 강효준(康孝俊), 지세포 만호(知世浦萬戶) 송계묵(宋桂默), 소기 만호(所己萬戶) 장남(張楠), 보산 별장(保山別將) 장익기(張益箕), 가산 별장(架山別將) 한백규(韓百揆), 마마해 권관(馬馬海權管) 장우철(張禹喆), 운총 권관(雲寵權管) 조지현(趙贄顯), 진동 권관(鎭東權管) 이용헌(李龍憲), 서수라 권관(西水羅權管) 이장회(李長會)에게는 모두 활과 화살과 통개(筒箇)를 상으로 베풀었다.


  • 【원본】 7책 3권 34장 B면【국편영인본】 1책 221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인사-임면(任免) / 왕실-사급(賜給)

  • [註 017]
    새서(璽書) : 어새(御璽)를 찍은 유서(諭書).

議政府以"殿最著績守令分等覆"啓。 施賞有差。 安岳郡守李彙重昌原府使李明錫金海府使許傳宣川府使李南輔善山府使金炳愚公州判官閔致序金堤郡守李乾夏金山郡守金秉淵龍岡縣令兪初煥振威縣令李承謙, 竝施璽書表裏之典。 長淵縣監金聖求阿耳僉使趙履錫惠山僉使鄭輔源, 竝許用防禦履歷。 慶州營將具明鉉、南虞候金憲祖, 竝許用邊地履歷。 高敞縣監吳永運南海縣監洪冀錫, 竝許用營將履歷。 端川府使柳昌魯寶城郡守申錫源沃溝縣監李昌鎬陽德縣監申棨, 竝特爲加資, 許用營將履歷。 全羅左水虞候洪淳學, 守令差送。 忠州牧使閔禹世定山縣監黃芝仁濟原察訪金瑛默金井察訪洪䕫鍾柔遠僉使張泰翼白峙僉使李裕衡西平浦萬戶李仁哲, 竝滿瓜後更加一年。 全州判官趙容在茂朱府使尹性善淳昌郡守金蘊淳新溪縣令金甲根黃磵縣監金炳憲任實縣監徐曾輔, 竝以別薦例施行。 咸興判官黃鍾奎淸風府使趙鎭運高陽郡守閔台鎬金浦郡守鄭䕫和淸道郡守金奭根榮川郡守徐光斗龍仁縣令李鶴在陽城縣監李敏恒漣川縣監柳南珪玉果縣監金度根龍安縣監柳宅東宜寧縣監徐有英新寧縣監尹稷儀比安縣監趙命敎, 竝陞敍。 瑞興府使徐元輔寧海府使南鍾鶴朔寧郡守金秉薰加平郡守金瑨麻田郡守曺百承永平郡守李憲絅樂安郡守柳完根陜川郡守李承洛豐基郡守李龍夏昌平縣令李種信機張縣監張德五淸安縣監張鳳逵大同察訪陳秉燮長水察訪金宅基自如察訪鄭鍾學松羅察訪林秀東昌樂察訪張錫默黃山察訪金慶洽景陽察訪李泰永碧沙察訪千禹鉉連原察訪白弘洙成歡察訪李澤, 竝施兒馬賜給之典。 西北僉使金錫禧安義僉使吳英俊古城僉使吳聖初彌助項僉使李錫玹西生僉使李勉植德浦僉使李斗賢豐山萬戶康孝俊知世浦萬戶宋桂默所己萬戶張楠保山別將張益箕架山別將韓百揆馬馬海權管張禹喆雲寵權管趙贄顯鎭東權管李龍憲西水羅權管李長會, 竝施弓箭筒箇之賞。


  • 【원본】 7책 3권 34장 B면【국편영인본】 1책 221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인사-임면(任免) / 왕실-사급(賜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