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정조실록 6권, 정조 2년 9월 2일 무자 1번째기사 1778년 청 건륭(乾隆) 43년

노량에서 대열을 행하다

노량(鷺梁)에서 대열(大閱)을 행하였다. 임금이 융복(戎服)을 갖추고 여(輿)를 타고 인정문(仁政門)을 지나 말을 타고 행전(行殿)에 나아가 말에서 내려 막차(幕次)에 들어갔다. 병조 판서 이휘지(李徽之)가 수가(隨駕)하는 군병을 덜어내어 데리고 신지(信地)에 가서 오영(五營)을 벌려 세울 것을 계품(啓稟)하였다. 조금 있다가 임금이 갑주(甲胄)로 고쳐 입고 전좌(殿座)에 올라가니, 병조 판서가 대열례를 행할 것을 계청하였다. 선전관이 꿇어앉아 초취(初吹)·재취(再吹)·삼취(三吹)를 계품하고, 좌통례(左通禮)가 외판(外辦)되었으니 말을 타고 진발(進發)할 것을 계청하였다. 병방 승지가 남백 신전(藍白信箭)을 선전관에게 줄 것을 계청하였는데, 선전관이 이를 받들고 앞으로 나아가 관왕묘(關王廟)에 들어가 전배례(展拜禮)를 행하였다. 말을 타고 진발하여 교장(敎場)의 원문(轅門) 밖에 도착하니, 병조 판서가 주필(駐蹕)할 것을 계품하였다. 선전관이 꿇어앉아 취타(吹打)를 그칠 것을 품하였다. 중영에서 화포를 한 방 쏘아 소리를 낸 다음 천아성(天鵝聲)을 부니, 각영에서 깃발을 점검하고 크게 고함을 쳤는데 모두 세 번 하였다.

원문을 활짝 여니 임금이 원문으로 들어가 고삐를 잡고 천천히 가며 각영을 두루 들른 다음 정로(正路)를 따라가서 단(壇) 아래에 이르러 말에서 내려 여를 탔다. 단 위에 올라가 여에서 내려 좌차에 올라가니, 병조 판서가 진문(陣門)을 조금 열기를 계품하고, 선전관이 진문을 조금 열고 호령하여 쇠[金]와 소취타를 울리게 할 것을 계품하였다. 병조 판서와 중영 대장이 참현례(參峴禮)를 행하고, 단에 올라가 깃발을 올리니, 인하여 각영의 대장들이 본진(本陣)으로 돌아갔다. 병조 판서가 각영의 대장들을 부를 것을 계청하니, 선전관이 각영의 대장을 부르는 것을 계품하여 행하였다. 대각(大角)을 세 번 소리내어 불고 교룡기(交龍旗) 아래에 서서 각영을 향하여 초요기(招搖旗)를 한 번 휘두르니, 각영의 대장이 인기(認旗)를 흔들어 응답한 다음 단기(單騎)로 달려와서 단 아래에 모였다. 병조 판서가 반서(班誓)하기를 계품하고, 이어 단의 윗쪽에 가서 방울을 흔들면서 서고(誓告)하기를,

"이제 대열을 행하여 군병들에게 싸우는 방법을 가르치니, 앞으로 나가고 뒤로 물러가고 왼쪽으로 가고 오른쪽으로 가는 것을 한결같이 병법대로 할 것이다. 명을 따르고 따르지 않음에 따라 상과 벌이 있을 것이니, 힘쓰도록 하라."

하니, 각영의 대장들이 일제히 응답하고 나서 차례로 머리를 조아렸다. 이어 단에 올라가서 차례로 무릎을 꿇고 관기(官旗)를 모아 발방(發放)을 들을 것을 계품하고, 각기 수기(手旗) 하나씩을 본진에 내려보내어 각영의 중군이 각자의 하영(下營)에서 일체를 발방하였다. 병조 판서가 징을 울려서 호령할 것과 숙정포(肅靜砲)로 호령할 것을 계품하였고, 또 각영 대장에게 조련하게 할 것을 계품하였다. 오영이 열진(閱陣)을 합칠 것을 명하고, 또 훈영(訓營)·금영(禁營)·어영(御營)이 진을 합칠 것을 명하고, 수영(守營)과 총영(摠營)이 진을 합칠 것을 명하였다. 또 각영이 길을 나누어 행영(行營)할 것을 명하고 또 각영이 변하여 영을 합쳐 거기진(車騎陣)을 치도록 명하였다. 이 일이 끝나자 각영의 대장이 숙정패(肅靜牌) 앞으로 나와 공과 죄를 심사받았다. 병조 판서가 꿇어앉아 각영의 대장을 신지(信地)로 돌아가게 할 것과 깃발을 내릴 것을 계청하였다. 병조 판서가 꿇어앉아 대열례가 이루어졌음을 고하니, 임금이 소차(小次)에 들어가서 갑주를 벗고 융복을 입은 다음 좌차에 올라가서 영의정 김상철(金尙喆) 등에게 하교하기를,

"무릇 대열은 열성조에서 으레 행하여 오던 예(禮)이기 때문에 나도 또한 삼가 고사를 준행한 것이다."

하고, 해가 기울어서야 환궁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6책 6권 35장 B면【국편영인본】 45책 58면
  • 【분류】
    군사-병법(兵法)

○戊子/大閱于鷺梁。 上具戎服乘輿, 出仁政門, 乘馬詣行殿, 降馬入幕次。 兵曹判書李徽之啓稟隨駕軍兵除出, 領往信地, 列成五營。 少間, 上改具甲冑陞座。 兵曹判書啓請, 行大閱禮。 宣傳官跪稟初吹、再吹、三吹。 左通禮啓請外辦乘馬進發。 兵房承旨啓請藍白信箭, 以授宣傳官。 宣傳官奉以前行, 歷詣關王廟, 行展拜禮, 乘馬進發, 至敎場轅門外。 兵曹判書啓稟駐蹕。 宣傳官跪稟吹打止。 中營一聲放砲, 吹天鵝聲各營點旗, 吶喊共三次。 大開轅門。 上入轅門, 按轡徐行, 歷過各營, 遵正路, 至壇下, 降馬乘輿, 至壇上, 降輿陞座。 兵曹判書啓稟小開門。 宣傳官啓稟小開門, 號令鳴金小吹打。 兵曹判書及中營大將行參現禮, 陞壇升旗。 各營大將仍回本陣。 兵曹判書啓請召各營大將, 宣傳官稟行召各營大將, 號令吹大角三聲, 交龍旗下立。 各營招搖旗一麾。 各營大將以認旗應之, 單騎馳集壇下。 兵曹判書稟班誓, 仍至壇頭, 振鐸而誓告曰: "今行大閱, 以敎人戰, 進退左右一如兵法。 用命、不用命, 厥有賞罰, 勖哉。" 各營大將齊聲應之, 次第叩頭, 仍上壇, 以次跪啓稟, 聚官旗聽發放。 各以手旗一麾, 下送本陣。 各營中軍各自下營, 一體發放。 兵曹判書啓稟鳴鐸號令及肅靜砲號令, 又啓稟各營大將操鍊。 命五營合閱陣。 又命訓禁御三營合陣, 守摠兩營合陣。 又命各營分路行營。 又命各營變爲合營車騎陣訖。 各營大將至肅靜牌前, 査功罪。 兵曹判書跪請各營大將回信地落旗。 兵曹判書跪告大閱禮成。 上入小次, 釋甲冑, 御戎服陞座, 敎領議政金尙喆等曰: "凡大閱, 卽列聖朝應行之禮, 故予亦謹遵故事耳。" 日晩還宮。


  • 【태백산사고본】 6책 6권 35장 B면【국편영인본】 45책 58면
  • 【분류】
    군사-병법(兵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