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영조실록 127권, 영조 52년 3월 6일 정축 12번째기사 1776년 청 건륭(乾隆) 41년

신시에 소렴례를 행하다

신시(申時)에 소렴례(小殮禮)를 행하였다. 왕세손이 침문(寢門) 밖에 부복(俯伏)하고 집사(執事) 박명원(朴明源)·김한기(金漢耆)·김효대(金孝大)가 소렴례를 행하였다. 하령하기를,

"모든 일은 헷갈리게 되기 쉬우니, 집사들이 각각 의대(衣襨)를 가지고 차례로 깔라."

하였다. 집사하는 자가 먼저 용문석(龍紋席)을 설치하고 그 다음에 욕(褥)을 깔고 그 다음에 교(絞)121) 를 깔고 그 다음에 유청 금선 금(柳靑金線衾)을 깔고 그 다음에 백운문 대단 고(白雲紋大緞袴)를 깔고 그 다음에 진홍 강사포(眞紅絳紗袍)를 깔고 그 다음에 옥색·자적·초록 광직 삼색 중치막(玉色紫的草綠廣織三色中赤莫)을 깔고 그 다음에 연록 운문 대단 협수(煙綠雲紋大緞狹袖)·연두색 희문단 협수(烟荳色稀紋緞狹袖)를 깔았다. 끝나고서 협시(挾侍)가 영상(靈床)을 염석(殮席)에 옮겨 모셨다. 집사하는 자가 우임(右袵)하고 빈 곳을 남광직 토수(藍廣織吐手)·백광직 행전(白廣織行纏)·다홍 대단 도포(多紅大緞道袍)·다홍 항라 조복(多紅杭羅朝服)으로 채웠다. 금(衾)을 여미려 하는데, 왕세손이 영상(靈床)을 잡고 반호(攀號)122) 하며 떨어지지 않으므로, 신하들이 교(絞)를 묶기를 청하였다. 교를 묶고 나자, 왕세손이 부복해서 곡하여 극진히 애도하고 자리에 있던 자도 다 곡하였다. 협시(挾侍)와 집사가 어상(御床)에 도로 모시니, 왕세손이 영상 동쪽에 나아가 부복해서 곡하여 극진히 애도하고 자리에 있던 자도 다 곡하였다. 별간역(別看役) 허규(許圭)가 어상곁에 들어가 견양(見樣)을 내었는데, 길이는 일곱 자이고 너비는 두 자 한 치이고 높이는 한 자 한 치였다. 종척(宗戚)과 여러 신하들이 물러나갔다. 소렴할 때의 의대(衣襨)는 다홍 광직 공복(多紅廣織公服)·옥색 유문단 배자(玉色有紋緞背子)·강사포(絳紗袍)·남유문사 도포(藍有紋紗道袍)·보라 유문단 중치막(甫羅有紋緞中赤莫)·백초 횡교(白綃橫絞)·초록 유문사 답호(草綠有紋紗褡𧞤)·초록 유문단 장의(草綠有紋緞長衣)·백초 장교(白綃長絞)·다홍 광직 조복(多紅廣織朝服) 【상(裳)·폐슬(蔽膝)을 갖추었다.】 ·초록 유문 향직 중치막(草綠有紋鄕織中赤莫)·유록 금선 금(柳綠金線衾)·두록 유문단 중치막(豆綠有紋緞中赤莫)·보라 유문릉 중치막(甫羅有紋綾中赤莫)·

보라 향직 장의(甫羅鄕織長衣)·초록 광직 도포(草綠廣織道袍)·보라 유문릉 장의(甫羅有紋綾長衣)·남공단 협수의(藍貢緞狹袖衣)·남광직 도포(藍廣織道袍)·보라 유문 대단 장의(甫羅有紋大緞長衣)·보라 공단 협수의(甫羅貢緞狹袖衣)·초록 유문릉 장배자(草綠有紋綾長背子)·옥색 유문단 중치막(玉色有紋緞中赤莫)·남공단 중치막(藍貢緞中赤莫)·두록 유문단 중치막(豆綠有紋緞中赤莫)·두록 유문릉 장의(豆綠有紋綾長衣)·연남 공단 중치막(軟藍貢緞中赤莫)·옥색 유문릉 장의(玉色有紋綾長衣)·두록 무문주 장의(豆綠無紋紬長衣)·다홍 광직 도포(多紅廣織道袍)·자적 유문단 답호(紫的有紋褡𧞤)·난두색 답호(爛豆色褡𧞤)·남공단 중치막(藍貢緞中赤莫)·침향 희문단 장의(沈香稀紋緞長衣)·백운문 대단 고(白雲紋大緞袴)·연남 공단 중치막(軟藍貢緞中赤莫)·다홍 유문릉 답호(多紅有紋綾褡𧞤)·남광직 토수(藍廣織吐手)·자적 향직 중치막(紫的鄕織中赤莫)·옥색 광직 장의(玉色廣織長衣)·백광직 행전(白廣織行纏)·초록 광직 중치막(草綠廣織中赤莫)·옥색 향직 장의(玉色鄕織長衣)·옥색 광직 중치막(玉色廣織中赤莫)·남선단 도포(藍扇緞道袍)·보라 궁초 장의(甫羅宮綃長衣)·초록 광직 중치막(草綠廣織中赤莫)·초록 대단 답호(草綠大緞褡𧞤)·옥색 유문 광직 장의(玉色有紋廣織長衣)·자적 광직 장의(紫的廣織長衣)·유록 대단 답호(柳綠大緞褡𧞤)·옥색 유문사 배자(玉色有紋紗背子)·두록 광직 장의(豆綠廣織長衣)·초록 유문사 배자(草綠有紋紗背子)·보라 유문릉 장의(甫羅有紋綾長衣)·두록 유문단 배자(豆綠有紋緞背子)이었다. 소렴례가 끝나자, 조정(朝廷)에서 중궁전(中宮殿)에 정후(庭候)하고 정원(政院)·옥당(玉堂)·약방(藥房)에서 중궁전·혜빈궁(惠嬪宮)·세손궁(世孫宮)·빈궁(嬪宮)에 정후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83책 127권 29장 B면【국편영인본】 44책 536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註 121]
    교(絞) : 염습할 때에 시신을 묶는 베. 교포(絞布). 염포(殮布).
  • [註 122]
    반호(攀號) : 반백비호(攀柏悲號)의 준말. 중국 삼국(三國) 시대 위(魏)나라의 왕부(王裒)가 아버지 왕의(王儀)가 사마 소(司馬昭)의 손에 죽자, 묘소 곁에 초막을 짓고 시묘(侍墓)하면서 조석(朝夕)으로 묘소 곁에 있던 잣나무를 붙잡고 곡하니, 나무가 눈물에 의해 고사(枯死)했다는 고사(故事). 즉 어버이의 상(喪)에 몹시 슬퍼함.

○申時行小〔殮〕 禮。 王世孫俯伏於寢門之外, 執事朴明源金漢耆金孝大行小殮禮。 令曰: "凡事易致錯亂, 諸執事各以衣襨, 次次鋪列。" 執事者先設龍紋席, 次鋪褥, 次鋪絞, 次鋪柳靑金線衾, 次鋪白雲紋大緞袴, 次鋪眞紅絳紗袍, 次鋪玉色紫的草綠廣織三色中赤莫, 次鋪草綠雲紋大緞狹袖、烟荳色稀紋緞挾袖。 訖, 挾侍移奉靈床於殮席。 執事者右袵, 補空處用藍廣織吐手、白廣織行纏、多紅大緞道袍、多紅杭羅朝服。 將殮衾, 王世孫扶靈床, 攀號不離, 諸臣請結絞。 結絞訖, 王世孫俯伏哭盡哀, 在位者皆哭。 挾侍及執事, 還奉于御床, 王世孫詣靈床東, 俯伏哭盡哀, 在位者皆哭。 別看役許圭入御床傍, 出見樣, 長七尺, 廣二尺一寸, 高一尺一寸。 宗戚諸臣退出。 小殮時衣襨, 多紅廣織公服、玉色有紋緞背子、絳紗袍。 藍有紋紗道袍、甫羅有紋緞中赤莫、白綃橫絞、草綠有紋紗褡𧞤、草綠有紋緞長衣、白綃長絞ㆍ多紅廣織朝服ㆍ 【具裳蔽膝。】 草綠有紋鄕織中赤莫、柳綠金線衾、豆綠有紋緞中赤莫、甫羅有紋綾中赤莫、甫羅鄕織長衣、草綠廣織道袍、甫羅有紋綾長衣、藍貢緞狹袖衣、藍廣織道袍、甫羅有紋大緞長衣、甫羅貢緞狹袖衣、草綠有紋綾長背子、玉色有紋緞中赤莫、藍貢緞中赤莫、豆綠有紋緞中赤莫、豆綠有紋綾長衣、軟藍貢緞中赤莫、玉色有紋綾長衣、豆綠無紋紬長衣、多紅廣織道袍、紫的有紋緞褡𧞤、爛豆色褡𧞤、藍貢緞中赤莫、沈香稀紋緞長衣、白雲紋大緞袴、ㆍ軟藍貢緞中赤莫、多紅有紋綾褡𧞤、藍廣織吐手、紫的鄕織中赤莫、玉色廣織長衣、白廣織行纏、草綠廣織中赤莫、玉色鄕織長衣、玉色廣織中赤莫、藍扇緞道袍、甫羅宮綃長衣、草綠廣織中赤莫、草綠大緞褡𧞤、玉色有紋廣織長衣、紫的廣織長衣、柳綠大緞褡𧞤、玉色有紋紗背子、豆綠廣織長衣、草綠有紋紗背子、甫羅有紋綾長衣、豆綠有紋緞背子。 小殮禮畢, 朝廷庭候于中宮殿, 政院、玉堂、藥房, 庭候于中宮殿、惠嬪宮、世孫宮、嬪宮。


  • 【태백산사고본】 83책 127권 29장 B면【국편영인본】 44책 536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