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영조실록 108권, 영조 43년 3월 10일 갑술 7번째기사 1767년 청 건륭(乾隆) 32년

친잠 후 조현의의 절차

친잠 후 조현의(朝見儀)는 다음과 같다. 하루 전에 상침이 전하의 자리를 편전 북쪽 벽 조금 동쪽에, 왕비의 자리는 전내(殿內) 북쪽 벽 조금 서쪽에 설치하는데, 모두 남향으로 한다. 향안(香案) 두 개를 전외(殿外) 좌우에 설치하고 혜빈의 배위는 전정(前庭) 길 서쪽에, 왕세손의 배위는 길 동쪽 조금 남쪽에, 왕세손빈의 배위는 혜빈의 자리 뒤에, 명부의 배위는 그 뒤에 설치하는데, 모두 동쪽이 위가 되게 하며, 자리를 달리하고 겹줄로 하되, 모두 북향으로 한다. 그날에 상공(尙功)이 대나무 상자에 누에고치를 담아 안상에 둔다. 3각(三刻) 전에 명부가 각기 예복을 갖추고 모여오며, 2각 전에 혜빈이 예복을 갖추면 수규가 앞에서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간다. 왕세손이 익선관·곤룡포를 갖추면 전빈이 앞에서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고, 왕세손빈이 예복을 갖추면 수규가 앞에서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며, 전빈이 명부를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간다.

시각이 이르면 상의가 꿇어앉아 중엄을 계청하고 조금 후에 외판(外辦)을 계청한다. 전하가 익선관·곤룡포를 갖추면 상궁이 앞에서 인도하여 나가 자리에 오르고, 왕비가 예복을 갖추면 상궁이 앞에서 인도하여 나가 자리에 오른다. 향로의 연기가 피어 오르면 산선(繖扇)·시위는 평상시의 의식대로 한다. 사찬이 ‘사배’라고 하고 전찬이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하면, 혜빈·왕세손·왕세손빈 이하 명부가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상공(尙功)이 상자(箱子)를 받들고 전하의 좌전(座前)으로 가면 전하께서 일어선다. 상공이 받들어 보인 후 왕비의 좌전으로 가서 올리면 왕비가 서서 받아 상의에게 주고, 상의가 꿇어앉아서 받아 상복(尙服)에게 준다. 전하가 자리에 오르고 왕비도 자리에 오른다. 사찬이 ‘사배’라고 하고 전찬이 ‘국궁·사배·흥·평신’을 창하면, 혜빈·왕세손·왕세손빈 이하 명부가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상의가 좌전으로 나가 부복하여 꿇어앉아 예필을 아뢰면, 전하가 자리에서 내려오고 왕비도 자리에서 내려와 안으로 들어간다. 수규와 전빈이 각기 혜빈·왕세손·왕세손빈 이하의 명부를 인도하여 나간다. 【수견의(受繭儀)이다. ○반사문(頒赦文)은 위의 친경조(親耕條)에 보인다.】


  • 【태백산사고본】 73책 108권 18장 A면【국편영인본】 44책 246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농업-권농(勸農) / 농업-양잠(養蠶)

○親蠶後朝見儀。 前一日, 尙寢設殿下座於便殿北壁少東, 王妃座於殿內北壁少西, 俱南向。 設香案二於殿外左右, 設惠嬪拜位於前庭道西, 王世孫拜位於道東少南, 王世孫嬪拜位於惠嬪位之後, 命婦拜位於其後, 竝東上, 異位重行俱北向。 其日尙功以竹箱, 盛繭置於案。 前三刻, 命婦各具禮服集到, 前二刻, 惠嬪具禮服, 守閨前引入就位。 王世孫具翼善冠袞龍袍, 典賓前引入就位, 王世孫嬪具禮服, 守閨前引入就位, 典賓引命婦入就位。 時至尙儀跪, 啓請中嚴, 少頃啓請外辦。 殿下具翼善冠袞龍袍, 尙宮前導以出陞座, 王妃具禮服, 尙宮前導以出陞座。 爐烟升, 繖扇侍衛如常儀。 司贊曰四拜, 典贊唱鞠躬四拜興平身, 惠嬪王世孫王世孫嬪以下命婦鞠躬四拜興平身。 尙功奉箱詣殿下座前, 殿下立。 尙功奉示後, 詣王妃座前進之, 王妃立受以授尙儀, 尙儀跪受以授尙服。 殿下陞座, 王妃陞座。 司贊曰四拜, 典贊唱鞠躬四拜興平身, 惠嬪王世孫王世孫嬪以下命婦鞠躬四拜興平身。 尙儀進當座前俯伏跪, 啓禮畢, 殿下降座, 王妃降座還內。 守閨典賓各引惠嬪王世孫王世孫嬪以下命婦出。 【受繭儀。 頒敎文見上親耕條。】


  • 【태백산사고본】 73책 108권 18장 A면【국편영인본】 44책 246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농업-권농(勸農) / 농업-양잠(養蠶)